미리보기
기본 정보

데이터와 테스트를 기반으로 문제를 분석하고, 스레드 덤프와 같은 정밀한 진단을 통해 API의 문제를 파악하며, 명확한 근거로 확실한 해결책을 제시하는 개발을 지향합니다. 다양한 기술을 개인 프로젝트를 통해 미리 습득하고, 이를 실무 상황에 맞게 접목하여 최적의 솔루션을 제공하고자 노력합니다. 최신 기술의 적용과 자동화를 통해 문제 해결과 성능 최적화를 주도하며, 업무 효율성을 극대화하는 데 집중하는 개발자입니다.
기술 스택
Java, Spring Boot, spring-jpa, github-actions, k8s, Docker, maven, gradle, multithread, Git
경력
디리아
대리 | 개발2팀 | 재직 중
2022.12. ~ 재직 중 (2년 3개월)
금융연계 시스템인 CruzLink 개발 및 구축업무를 중점으로 업무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CruzLink 는 금융 인터페이스 솔루션으로 금융 업무시스템인 MCI/FEP/EAI 의 기능을 수행합니다. CruzLink 업무 개발 / 가용성 및 부하 테스트를 중심으로 업무를 수행하였습니다.
비즈플레이
사원 | 경비지출개발팀
2020.10. ~ 2022.12. (2년 3개월)
사내 그룹웨어 비즈플레이 서비스 기업에서 경비지출팀에 속하여 웹 서비스 개발을 진행하였습니다.
비즈플레이에서 제공하는 서비스중 예약관리 시스템 서비스 개발과 경비지출 데이터와 고객사 ERP 를 연동해주는 BICs API 개발을 중점으로 개발하였습니다.
BICs 솔루션은 비즈플레이 SaaS 에서 처리되어진 경비처리 데이터를 고객사의 ERP 시스템에 연계 시켜 주는 인터페이스성 API 이며 해당 기능은 DB 배치작업과 API 통신으로 나뉩니다.
DB 배치작업의 경우는 ERP 동기화에 필요한 고객사의 직원정보 및 부서정보를 매일 지정한 시간에 조회하여 BICs 내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역할을 수행합니다.
API 작업의 경우 비즈플레이 SaaS 에서 경비처리 완료이후 BICs 의 API 를 호출 함으로써 해당 고객사의 ERP 에 경비처리 결과를 반영시켜 줍니다.
JDBC Template 을 기반으로 한 쿼리작업을 수행하며, JSON 전처리를 통해 고객사 데이터에 맞춤 작업해 주는 작업을 주 작업으로 진행하였습니다.
해당 서비스를 개발하면서 고객사 별 ERP 시스템에 맞춰 전달해야 되는 내용과 포멧을 커스텀하여 맞춰주는 작업을 진행하였습니다.
프로젝트
농협은행 디지털금융 플랫폼 전환 구축
디리아
2023.08. ~ 진행 중
농협은행의 인터넷뱅킹, 스마트뱅킹, 콕뱅킹, 올원뱅킹 등 주요 디지털 채널 서비스를 PaaS 플랫폼으로 전환하는 프로젝트에서 MCI(Multi Channel Interface) 개발을 담당했습니다.
MCI는 PaaS 플랫폼과 계정계 서버(SOCKET TCP 기반)를 연결하는 중추적인 역할을 담당하며, 주요 기능으로는 통신 프로토콜 변환과 요청 전문 포맷 전환이 포함됩니다. 농협은행의 모든 앱 서비스 트래픽을 처리해야 하는 만큼, 성능 개선과 부하 테스트를 중점으로 프로젝트를 진행하였습니다.
1년간 메모리 최적화, 통신프로세스 간소화, 거래 구조변경등 성능개선을 통해 최대 TPS 성능을 약 77.8% 향상 (1800TPS → 3200TPS / vCPU 16core 기준 CPU 사용률 70%)시키는 성과를 이뤄 냈습니다. 이를 통해 디지털 채널의 안정성과 확장성을 확보하며 농협은행의 디지털 전환 성공에 기여했습니다.
해당 솔루션은 추후 오픈이후 약 일 최대 거래량 2억 건 이 예상되며 해당 거래를 장애없이 수행할 예정입니다.
농협 올원뱅크 디지털전환 운영 및 유지보수
디리아
2023.06. ~ 진행 중
농협은행의 모놀리틱 구조로 운영되던 디지털 채널을 PaaS 플랫폼으로 전환하기 위한 선도 프로젝트로, 올원뱅크 앱서비스를 중심으로 한 MCI 개발 및 유지 운영을 담당했습니다.
추후 모든 디지털 플랫폼의 PaaS 전환을 계획하고 있는 가운데, 올원뱅크 앱서비스를 시범적으로 운영하여 PaaS 전환의 안정성과 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프로젝트였습니다.
프로젝트 초기 단계에서는 기존 시스템 유지보수를 중심으로 버그 수정과 장애 대응 업무를 수행하였으며, 이를 통해 안정성을 강화하고 향후 PaaS 전환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리스크를 최소화하는 데 기여했습니다.
해당 솔루션은 현재 올원뱅크 기준 일 최대 거래량 5,000만 건을 서버의 최소한의 부하로 장애없이 운영중에 있습니다.
포트폴리오
교육
항공대학교
대학교(학사) | 전자공학부
2013.03. ~ 2020.02. | 졸업
대외활동
직장인 동아리 (직딩) - zicdding
기타
쿠버네티스 환경에서의 DevOps 경험 및 Git-Ops 파이프라인 구축
회사의 향후 Kubernetes 기반 PaaS 전환을 대비하여, 쿠버네티스 환경에 대한 실무 경험을 쌓기 위해 해당 동아리에 참여하였습니다. DevOps 포지션으로 활동하며 Git-Ops 기반 파이프라인 구성과 Kubernetes 환경 구축을 주도하였습니다.
주요 업무로는 모노레포로 구성된 Node.js 기반 프론트엔드 프로젝트를 GitHub Actions를 활용해 CI/CD 파이프라인을 설계하고, 이를 동아리 서버에 배포하는 구성을 구현했습니다. 이후, 이 파이프라인을 AWS EC2 환경으로 마이그레이션할 계획입니다.
구체적으로:
• CI 구성: Yarn을 이용하여 Next.js 기반 프론트엔드의 CI 파이프라인 구축.
• CD 구성: ArgoCD, Kubernetes, Helm을 활용해 Kubernetes 클러스터에 애플리케이션 배포.
프론트엔드, 백엔드, DevOps 팀과 협력하여 서비스 MVP를 개발 중이며, 초기 기획과 구현 단계를 함께 진행하고 있습니다. 추후 클라우드 환경에서의 시범 서비스 오픈을 준비 중입니다.
이를 통해 Kubernetes와 DevOps 환경에서의 실무적인 경험을 축적하며, 서비스 운영 및 자동화 파이프라인 구축 능력을 강화했습니다.
자격증
CKA - (Certified Kubernetes Administrator)
75 | LF (Linux Foundation)
2024.10.
정보처리기사
실기 | 산업인력공단
202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