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리보기
기본 정보

한 번 꽂힌 것에 몰두하는 타입이라 개발 과정에서 문제가 생기면 깊게 물고 늘어져서 해결해야 직성이 풀리는 타입입니다. 새로운 기술을 학습할 때도 필요한 부분만 얕게 공부하지 않고 샘플 앱을 만들고 실험한 과정을 블로그에 기록하고 있습니다. 취미로 프라모델을 조립하는 걸 좋아하는데 최대 9시간을 움직이지 않고 가만히 앉아서 만들어 완성한 적이 있을 정도로 하나에 꽂혀 푹 빠지면 그것 하나만을 집중할 정도로 집중력이 높은 편입니다.
기술 스택
Kotlin, MVVM
경력
주식회사 일산
주임 | 설계부
담당 업체를 관리하고 제품의 도면 제작부터 납품까지 관리하며, 한 달에 부품 몇 백종부터 크게는 장비 하나의 설계를 담당하였습니다.
프로젝트
발자국
스파르타 부트캠
강아지와 산책하고 기록하며, 다른 사람들과 커뮤니티로 정보를 교류하는 애플리케이션
기술 : Kotlin , MVVM , LiveData , RecyclerView , Firebase , 구글 맵 API
인원 : AOS 개발 3명
본인 역할
- 비지니스 로직과 UI를 분리하는 MVVM 아키텍쳐로 설계
- Navigation을 사용하여 각 Fragment간의 이동 경로 설정
- ViewModel을 통해 연결된 Fragment간의 데이터 이동 기능 구현
- APK 추출 및 배포 전 과정을 홀로 담당 하고, 버전을 바꿔 업데이트도 맡아서 함
- 팀원들의 역할 및 구현 기능 배분, 일정 관리
트러블 슈팅
- 내비게이션 바 사용으로 인한 Fragment들 간의 잘못된 연결로 제대로 연결되지 않아 강제 종료되거나 이동이 되지 않는 현상이 발생했지만 팀원들과 크로스체크를 하며 이동경로가 잘못되었거나, 액션ID가 잘못되어 앱이 죽어버리는 이슈 해결
- 배포 과정에서 메인 기능(구글 맵)과 구글 로그인 기능이 정상 작동하지 않았지만, 구글 플레이 콘솔의 SHA-1값을 Firebase에 추가하여 구글 맵과 로그인 기능 정상화
- 구현하고자 하는 기능은 많았지만, 인원과 시간 상의 문제가 있어 팀원 간의 의견 불일치가 발생했고, 필수 구현해야 할 기능과 추가 기능 구현 두 가지로 나눠 의견을 조율
기술 사용 이유
- MVVM을 사용하여 단일화 및 코드 구조 간소화, 유지 보수 용이
- Firebase를 이용하여 유저 정보를 수정 및 저장
- 구글 맵 API를 이용하여 지도를 띄우고 내가 걸어온 경로 확인 가능
- LiveData를 사용하여 실시간으로 유저들의 정보 및 위치 정보 저장
- RecyclerView를 사용하여 커뮤니티 페이지 및 산책 기록, 반려견 추가 등 정보가 추가될 때마다 화면 갱신 및 정보 추가된 화면 표시
포트폴리오
첨부파일
교육
중원대학교
대학교(학사) | 항공기계공학과
2015.02. ~ 2021.02. | 졸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