채용공고 올리기

차상권님을 응원해보세요!

좋은 제안에 열려있어요

미리보기

기본 정보

이름
차상권
직업
백엔드
간단 소개

다양한 실무 경험을 바탕으로 효율적인 개발을 추구하는 백엔드 개발자, 차상권입니다.

자기소개

자기소개

[효과적인 소통]

효과적인 소통은 제 백엔드 개발에서의 핵심 가치입니다. 명확하게 의사소통하고 팀원들과 긴밀하게 협력하여 복잡한 문제를 해결했습니다. 다양한 배경과 지식을 존중하며 팀 내 의견 조율에 주력했습니다. 이를 통해 효율적이고 원활한 프로젝트 진행을 도모했습니다.

[다양한 개발 접근]

다양한 개발 상황에 적합한 탄력적인 솔루션을 제공했습니다. 새로운 기술 도입에 열려 있으며, 간결하면서도 효과적인 코드 작성을 추구합니다. 다양한 개발 스택에 능숙하게 대응하며, 팀원들과의 협업을 중시하여 고객 요구에 맞는 안정적이고 혁신적인 서비스를 구축했습니다.

[빅데이터 분석 경험]

빅데이터 분석 기법을 활용하여 핵심어 추출, 연관어 파악, 카테고리 분류 예측, 그리고 긍부정어 식별 등의 다양한 작업에 참여한 경험이 있습니다. 이를 토대로 비즈니스 의사 결정에 과학적으로 기여하는 데 주안점을 두었습니다.

[데이터 분석 관련 자격증 취득]

데이터 분석 관련 자격증으로 ADsP, NAVER Cloud Platform Certified Professional, 그리고 SQL 개발자 자격증을 취득했습니다. 이를 통해 다양한 데이터를 분석하고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었습니다. 데이터에 기반한 의사결정과 혁신적인 솔루션 제공에 기여하기 위해 항상 노력하고 있습니다.

교육

소속/기관명

상무고등학교

종류 | 전공

고등학교 | 문과

재학 기간 | 재학 상태

2010.03. ~ 2013.02. | 졸업

소속/기관명

전남대학교

종류 | 전공

대학교(학사) | 지리학과

재학 기간 | 재학 상태

2013.03. ~ 2019.02. | 졸업

대외활동

활동명

SSAFY(삼성 청년 SW 아카데미) 1기

소속/기관명

삼성, 고용노동부

연도

내용
<hr> <h5>전문 교육 수강</h5> <p>프로그래밍 언어, 데이터베이스, 웹 개발 등과 같은 다양한 IT 분야에서 전문적인 교육을 받았다. 이를 통해 기초적이고 전문적인 기술 스킬을 향상시킬 수 있었다.</p> <h5>프로젝트 참여</h5> <p>팀원들과 함께 현업에서 발생할 만한 다양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프로젝트에 참여했다. 이를 통해 협업 능력과 문제 해결 능력을 키울 수 있었다.</p>
활동명

삼성 상시 SW 역량테스트 A형 합격

소속/기관명

삼성

연도

내용
<hr> <h5>역량확인</h5> <p>SSAFY에서 얻은 스킬을 활용하여 스스로 SW 문제를 해결하는 능력을 확인할 수 있는 소중한 기회였다. 이를 통해 배운 지식과 기술을 실전에 적용하고, 자체적으로 문제를 해결하는 데 자신감을 얻을 수 있었다.</p>

자격증

자격증명

데이터분석준전문가(ADsP)

점수 | 발급기관

합격 | 한국데이터베이스진흥원

취득연월

2023.03.

자격증명

NAVER Cloud Platform Certified Professional

점수 | 발급기관

합격 | NAVER Cloud

취득연월

2023.05.

자격증명

SQL개발자(SQLD자격)

점수 | 발급기관

합격 | 한국데이터베이스진흥센터

취득연월

2023.07.

기술 스택

기술 스택

Java, Python, Spring Boot, JSP, mybatis, PostgreSQL, MySQL, Anaconda, Keras, Beautifulsoup, Selenium, JavaScript, apache-tomcat, jQuery

경력

회사명

(주)대호이엔지

직급 | 부서 | 근무 유형

주임 | 개발팀

근무 기간

2019.09. ~ 2020.07. (11개월)

담당 업무
<hr> <h4>[공간정보 솔루션 , GIS 개발업무]</h4> <ul> <li>OpenLayers, GeoServer, PostGIS, PostgreSQL 사용</li> <li>토지 정보, 지적 업무에 서비스 제공</li> </ul> <h4>[배치 작업]</h4> <ul> <li>토지정보 및 건물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일괄 적재</li> <li>스프링 스케쥴러(Spring scheduler) 사용</li> <li>GPKI(정부 공공 키 인프라) 시스템 표준 API 연계</li> </ul>
회사명

(주)스페이스빌더스

직급 | 부서 | 근무 유형

대리 | 개발팀

근무 기간

2020.07. ~ 2023.09. (3년 3개월)

담당 업무
<hr> <h4>[네트워크 구성 및 보안]</h4> <ul> <li>서버 OS 설치 및 네트워크, 방화벽 설정</li> <li>불필요한 포트 차단, 원격포트 변경</li> </ul> <h4>[기능 정의 및 데이터베이스 설계]</h4> <ul> <li>요구사항을 분석</li> <li>지도서비스, 클라우드, 공간분석, 데이터관리, 시스템 관리 기능 정의</li> <li>엔터티를 정의하고 속성 값 할당, 기본키 생성, 관계 설정</li> <li>code 테이블을 생성하여 그룹-코드를 공통적으로 관리</li> <li>권한 테이블을 생성하여 메뉴 및 기능 권한 관리</li> </ul>
회사명

주식회사퍼브

직급 | 부서 | 근무 유형

프로 | 솔루션팀

근무 기간

2023.09. ~ 2023.12. (4개월)

담당 업무
<hr> <h4>[LMS 시스템 구축]</h4> <ul> <li>HRD FLEX 구독 서비스 구축</li> <li>FLEX 회원, 회사, 회차를 기본키로 구독 서비스 구성</li> <li>학습 과정을 시리즈로 구성하여 구독자에게 제공</li> <li>회사, 부서, 개인 랭킹 및 통계 자료 제공</li> </ul>

프로젝트

프로젝트명

공유재산시스템

소속/기관명

대호이엔지

프로젝트 기간

2021.07. ~ 2021.12.

프로젝트 내용
<hr> <h4>프로젝트설명</h4> <ul> <li>관공서에서 사용되는 공유재산 데이터를 관리하기 위한 시스템 개발</li> </ul> <h4>역할</h4> <ul> <li><code>스프링 스케쥴러(Spring scheduler)</code>을 통한 <code>Batch</code> 구성으로 대규모 데이터 갱신 구현</li> <li><code>REST</code> 및 <code>SOAP</code> 방식으로 데이터 통신</li> <li><code>Postgresql</code>을 이용한 데이터 가공 및 DB적재</li> <li><code>OpenLayers</code>와 <code>MapTiler</code>을 사용한 공간정보 제공</li> <li>지속적인 유지보수 관리</li> </ul> <h4>경험</h4> <ul> <li>부동산종합공부시스템에서 데이터를 수집하는 과정에서 SHP파일을 geometry 데이터로 변환하는 과정에서 오류가 발생했다.</li> <li>로그 확인 및 디버깅을 통해 오류를 파악하고, 이를 try-catch 예외 처리를 진행했다. 그리고 실무에 영향이 가지않도록 트랜젝션 처리를 통한 데이터 안정성을 높혔다.</li> <li>지속적인 유지보수를 통해 초기에 존재하지 않았던 버그나 이슈를 파악하고 시스템에 안정성을 유지시켰다. 실제 사용자의 피드백에 따라 서비스의 기능을 개선하고 확장하여 품질관리에 기여했다.</li> </ul>
프로젝트명

스마트시티 통합플랫폼

소속/기관명

대호이엔지

프로젝트 기간

2021.01. ~ 2021.12.

프로젝트 내용
<hr> <h4>프로젝트설명</h4> <ul> <li>전라남도 22개 지자체의 데이터를 연계하여 스마트시티 서비스 제공</li> </ul> <h4>역할</h4> <ul> <li>CCTV 영상 제공 및 이벤트 모니터링을 위해 <code>WebSocket</code> 통신 사용</li> <li>공공데이터 포털에서 기상, 태풍, 황사, 재난정보 등의 데이터를 이용한 <code>실시간 모니터링</code> 구현</li> <li><code>NAT IP</code>를 통해 각 지자체 CCTV 관제센터에서 제공하는 실시간 영상을 <code>RTSP</code> 주소로 호출하여 사용자에게 제공</li> <li>다양한 VMS(Video Management System,영상관리시스템)에서 제공하는 CCTV 데이터를 공통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데이터를 <code>CCTV 수집 모듈</code>을 통해 JSON 객체로 치환했다. 치환된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에서 관리할 수 있도록 <code>CCTV 테이블을 설계</code></li> <li>지속적인 유지보수 관리</li> </ul> <h4>경험</h4> <ul> <li>프로젝트 매니저 역할 수행</li> <li>22개 지자체의 CCTV관제센터와 망연계 업체, 방화벽 업체, VMS 업체, 경찰청 등과 협조하여 <code>네트워크망을 구성</code>하였다.</li> <li>통합플랫폼 서버, 영상중계서버, 영반출서버, 영상수집서버 등 <code>서버간 통신</code>을 통해 부하 분산 및 확장성을 확보했다.</li> <li>단방향 통신 및 원격포트 변경을 통해 <code>시스템 보안을 강화</code>하였다.</li> <li>프로젝트를 통해 네트워크 지식과 보안정책에 대한 이해도를 높힐 수 있었다.</li> </ul>
프로젝트명

공간정보시스템

소속/기관명

스페이스빌더스

프로젝트 기간

2021.10. ~ 2022.01.

프로젝트 내용
<hr> <h4>프로젝트설명</h4> <ul> <li>공간정보를 조회, 분석하고 지도 상에서 효과적으로 시각화</li> </ul> <h4>역할</h4> <ul> <li><code>PostGIS</code>를 활용하여 선택한 반경 내 데이터를 분석 다양한 형식의 파일(Excel, SHP)을 <code>Postgresql</code> 및 <code>Geoserver</code>를 통해 지도 레이어로 제공</li> <li>지도 영역을 선택하여 그 위치의 위성 영상을 시계열로 일괄 저장</li> <li>개발 초기부터 DB설계 및 기획 참여</li> <li>지속적인 유지보수 관리</li> </ul> <h4>경험</h4> <ul> <li>공간정보시스템 고도화 사업으로 시스템 기능향상 및 안정성을 도모했다.</li> <li>기존 기능은 유지하고 신규 기능(통계지도, 해양지도, 시게열지도)을 탑재했다.</li> <li>기존 시스템 유지보수를 지속적으로 관리하고 있었기 때문에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기능을 미리 알 수 있었다. 고도화 사업이 결정되고 나서 개발 초기부터 <code>DB 설계 및 기획</code>에 참여했다.</li> <li>행정망으로 구성되어 있어 지자체 서버실에서 서버를 직접 <code>설치 및 배포</code>했다.</li> </ul>
프로젝트명

스마트 군정시스템

소속/기관명

스페이스빌더스

프로젝트 기간

2023.06. ~ 2023.09.

프로젝트 내용
<hr> <h4>프로젝트설명</h4> <ul> <li>실시간으로 도시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빅데이터 분석을 통한 다양한관점을 제공하는 시스템</li> </ul> <h4>역할</h4> <ul> <li><code>HADOOP</code>의 <code>HBASE</code>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수집</li> <li>수집한 데이터를 <code>Python</code>으로 <code>자연어처리</code>를 통해 연관어, 핵심어, 카테고리 예측, 긍부정어 제공</li> <li><code>TF-IDF</code> 기법을 사용하여 문장 내 특정 단어의 중요도를 분석</li> <li><code>Keras</code>를 사용하여 모델의 카테고리를 예측하고, 긍부정 점수를 측정</li> <li><code>Word2Vec</code> 훈련을 통해 단어 벡터 간 유사도를 측정하여 연관어를 도출</li> <li>지속적인 유지보수 관리</li> </ul> <h4>경험</h4> <ul> <li>기존의 공간정보에 대한 업무뿐만 아니라 빅데이터 관련 분야로의 사업 영역을 성공적으로 확장함으로써, 다양한 분야에서의 개발에 도전했다.</li> <li>다양한 언론사에서 제공하는 뉴스 기사를 실시간으로 수집하고, 이를 기반으로 한 학습 모델을 개발했다. 이 프로세스에서 자연어처리와 학습 모델 생성을 위한 <code>Python 모듈</code>을 개발하였다.</li> <li>수집된 데이터를 가공하여 제공하기 위해 <code>Flask</code>를 사용하여 <code>API 서버</code>를 개발했다. 이 서버는 실제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화면을 구성하는 데 사용되었다.</li> <li><code>JAVA-Spring</code>을 활용하여 실제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화면을 개발했다. API 서버에서 가공된 데이터를 활용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했다.</li> <li>프로젝트에서 유효한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해 어떤 <code>형태소 분석기</code>를 사용할지, <code>불용어 처리</code>의 방법, 그리고 <code>카테고리 설정</code> 등에 대한 다양한 고민과 연구를 진행하였다.</li> <li>다양한 기술 스택을 활용하여 전체 시스템을 효과적으로 구현하였고, 사용자에게 가치 있는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성공적인 프로젝트로 이끌었다.</li> </ul>

포트폴리오

URL

link

GITHUB

깃허브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