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리보기
기본 정보
도메인에 관심을 가지고 상황에 맞게 개발할 줄 아는 개발자입니다. - 주어진 상황에 맞게 적절한 수준으로 빠르게 개발합니다. - 쉽게 유지보수 할 수 있도록 개발합니다. 여러 관계자분들의 협력을 이끌어내고, 조율하여 정해진 기간내에 최적의 결과물을 만들어낼 수 있습니다. - 목적을 위해 PO, PD, 백앤드 등 관계자분들과 대화하는 것을 좋아하고, 능숙합니다. 팀과 함께 개발하는 것을 좋아하고, 팀원들을 성장하게 도와주는 것을 좋아합니다. - 팀원 모두가 만족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려고 노력합니다. - 팀원들의 개성을 존중하면서 팀이 일관된 코드 스타일로 개발하는 것을 지향합니다. - 개발과 일을 통해 팀원들의 만족도를 높여왔습니다.
경력
핏펫(Fitpet)
팀장 | 프론트앤드팀 | 재직 중
2022.11. ~ 재직 중 (2년 4개월)
팀원들의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 EoA, 의사결정회의 실행.
모노레포(Turborepo) 를 적용하여 파편화된 코드 통합.
핏펫몰 백오피스, 핏펫몰, 건강 서비스, 커뮤니티 서비스, 플레이 서비스 개발.
고미코퍼레이션
프론트앤드 개발 리더 | 파트너센터 파트, 코어개발 파트
2020.07. ~ 2022.11. (2년 5개월)
고미몰에 제품을 위탁/판매하는 기업 고객들을 위한 파트너센터.
내부 직원들을 위한 파트너센터 어드민 개발.
키스채권평가
IT전략실 | IT전략실
2006.11. ~ 2020.07. (13년 9개월)
채권평가 프로그램 개발
고객사 데이터 연동/송수신 프로그램 개발
ABS 평가 및 평가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요건 분석 및 기획 문서 작성
프로젝트
업무 효율 향상을 위한 다양한 시도
핏펫(Fitpet)
2024.02. ~ 2024.08.
프로젝트: EoA(Essence of Agile) 도입 및 팀 업무 효율 향상
배경
불확실성이 높은 개발 환경에서 팀의 생산성을 높이고 업무 방향성을 명확히 하기 위한 방법 필요.
팀원 간 협업 효율성을 향상시키고, 팀원들 스스로가 해야할 일을 더 명확히 인식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고자 함.
EoA 도입
매일 아침 EoA 를 진행
각 팀원이 현재 진행 중인 업무를 공유하고, 직면한 불확실성과 장애 요소를 논의.
업무의 우선순위를 정리하며, 팀원들이 높은 집중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지원.
"무엇이 가장 중요한가?"에 대한 팀의 공통된 이해를 구축하여 목표 달성에 집중.
주간 의사결정 회의
팀원들이 원하는 개발 방향 및 아이디어를 자유롭게 제안하고, 팀 전체가 논의하여 최종 결정을 합의.
결정된 내용을 문서화하여 추후 회고 및 개선 과정에서 참고 자료로 활용.
성과 및 효과
업무 효율성 향상
불확실성을 조기에 해결하고 업무 방향을 명확히 설정하여 업무 병목 현상 감소.
다른 팀원이 생각하지 못한 과점으로 도움을 줄 수 있어 상호 유대감 증가.
팀원 만족도 증가
의사결정 과정에 팀원들의 의견이 적극적으로 반영되며, 팀원들이 효능감을 느낄 수 있는 환경 구축.
회고에서 "효능감을 느낀다. 내가 기여했다는 느낌이 든다."는 긍정적 피드백 다수 획득.
주요 활동 및 역할:
EoA의 개념을 AC2 교육에서 학습 후 팀에 도입.
도입 과정에서 팀원들이 변화에 쉽게 적응할 수 있도록 충분한 설명과 점진적 적용 방식 활용.
회고를 통해 지속적으로 방식을 개선하며, 팀의 개발 문화를 정착시키는 데 기여.
모노레포(Turborepo) 적용
핏펫(Fitpet)
2024.10. ~ 진행 중
프로젝트: 모노레포 전환을 통한 프론트엔드 개발 환경 개선
배경
입사 당시 개발팀은 3개의 독립적인 스쿼드로 나뉘어 각각 별도의 레포지토리에서 개발을 진행.
각 레포는 Next.js 버전, 스타일 라이브러리, 코드 컨벤션 등이 상이하여 동일한 기능을 중복 개발하고 있었으며, 유지보수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존재.
구조조정 이후 조직 구조가 개편되면서 스쿼드가 폐지되고 프론트엔드 팀으로 통합되었으며, 4명의 인원이 모든 프론트엔드 개발을 담당.
문제 해결 접근 방식
모노레포(Turborepo) 적용 결정
다수의 레포를 유지하며 발생하는 비효율성을 개선하기 위해, 점진적으로 모든 프로젝트를 모노레포로 통합하기로 결정.
단계적 통합 전략
개발 주기가 비교적 빈번하지 않은 레포부터 시작하여 테스트 및 적용을 병행.
비즈니스 로드맵에 영향을 최소화하며 안정적으로 작업을 진행.
초기 성공 사례를 기반으로 나머지 두 개의 레포도 점진적으로 통합.
주요 작업 및 성과
Next.js 업그레이드
모든 레포의 Next.js 버전을 14.3으로 업그레이드.
공통 패키지 개발
여러 프로젝트에서 중복 사용되던 코드들을 하나의 공통 패키지로 통합.
주요 패키지
ESLint, Prettier를 통한 코드 컨벤션 표준화.
Date 및 String 처리 유틸리티 함수.
Sentry를 활용한 통합 에러 추적 및 모니터링.
운영 효율성 향상
모노레포 도입 후 동일한 기능을 중복 개발하는 사례가 사라졌으며, 코드 유지보수 시간 30% 이상 단축.
하나의 레포에서 작업하다보니 서로의 코드를 볼 기회가 많아져, 자연스럽게 논의, 리뷰가 활발해짐.
릴리스 프로세스가 간소화됨.
핏펫몰 백오피스 개발
핏펫(Fitpet)
2023.02. ~ 진행 중
프로젝트: 신규 백오피스 개발 및 전환 작업
목표: 기존 노후화된 백오피스 시스템을 단계적으로 신규 백오피스로 전환하여 유지보수 효율성을 높이고, 새로운 기능을 추가하며 내부 운영 비용을 절감.
기여 항목
기존 백오피스 데이터와 기능 분석을 통해 전환 계획 수립 및 단계별 전환 전략을 실행.
셀러용 백오피스를 새로 설계 및 개발하여, 셀러의 데이터 관리 및 운영 효율성을 극대화.
주요 기능: 상품 등록 및 관리, 배송 정보 관리
셀러 피드백을 반영한 UX/UI 개선으로 사용자 만족도 증대.
운영 및 기획과의 주기적인 리뷰를 통해 요구사항을 명확히 하고 우선순위 설정.
성과
기존 백오피스의 유지보수 비용을 줄이고, 신규 백오피스에서 운영 안정성과 편의성을 강화.
내부 운영 비용을 크게 줄임.
기술 스택
React, Tailwindcss, React-Hook-Form, Zod, TypeScript, Vercel
핏펫몰 개발
핏펫(Fitpet)
2023.02. ~ 진행 중
프로젝트: 핏펫몰 - 반려동물 전용 이커머스 플랫폼 개선
프로젝트 개요:
반려동물 용품 구매를 위한 핏펫몰 이커머스 플랫폼의 주요 기능 개선 및 운영 효율성 향상.
노후화된 라이브러리 및 구조를 현대화하여 유지보수성과 성능을 개선.
장바구니, 주문서, 쿠폰 기능을 포함한 핵심 기능의 재개발 및 브랜칭/배포 전략 수립.
기여 항목
장바구니, 주문서, 쿠폰 기능 재개발
장바구니
사용자의 구매 편의성을 높이기 위해 UX/UI를 전면 개선.
주문서
복잡한 주문 프로세스를 간소화하고, 오류 발생률 감소를 위한 로직 개선.
프론트에서 처리하고 있던 각종 금액 관련 로직을 백엔드에서 처리할 수 있도록 논의하려 처리.
쿠폰 기능
다양한 쿠폰 조건 및 할인 정책을 지원하는 유연한 로직 구현.
백오피스에서 다양한 종류의 쿠폰을 쉽게 발행할 수 있도록 개발.
정기발행쿠폰, 브랜드 전용 쿠폰, 카테고리 전용 쿠폰 등
성과
장바구니 담기 부터 결제 까지 진행되는 퍼널 개선
조직적 기여
1. 브랜칭 및 배포 전략 수립
브랜칭 전략 수립 및 자동화
팀원들과 함께 브랜칭 전략을 설계하여 확정된 내용을 빠르게 전파할 수 있었음.
개발, 스테이지, 프로덕션 배포 전략을 명확히 정의하여 릴리스 안정성 확보.
배포 후 Github Action 을 통해 release note 생성, Jira release 생성
성과
릴리스 과정에서 발생하던 병목현상 제거, 평균 배포 시간 단축.
원하지 않는 브랜치가 배포되어 롤백하는 상황이 없어짐.
2. 노후화된 라이브러리 최신화 및 디자인 시스템 구축
Ant Design 제거 및 디자인 시스템 구축:
기존 Ant Design(Antd)으로 작성된 대부분의 공통 컴포넌트를 제거하고, 디자인 시스템에 맞게 기본 컴포넌트를 재구성.
점진적인 교체 방식으로 부작용을 최소화하고 기존 코드와의 호환성 유지.
성과:
팀 전체의 디자인 일관성 확보 및 신규 기능 추가 시 개발 속도 증가.
유지보수 비용 감소 및 코드 가독성 향상.
3. Type Generate 적용
GraphQL 및 REST API에 Type Generate 도입
전사적으로 신규 API 는 REST 방식으로 진행하기로 결정.
백엔드팀에게 API 명세(Open API Spec) 를 생성하여 협업할 것을 요청.
API 명세를 이용하여 Type Generate.
Request, Response, Enum 등의 타입이 자동 생성되어 코드 작성 시 생산성이 향상됨.
성과:
API 완성 전에 명세를 이용하여 프론트 작업이 가능해짐.
기술 스택
Next.js, Styled-Components, GraphQL, React Query, TypeScript, Vercel
건강 서비스 개발
핏펫(Fitpet)
2023.02.
프로젝트 1: 건강 커뮤니티 서비스 개발
프로젝트 개요
사용자들이 건강 관련 정보를 공유하고 소통할 수 있는 신규 커뮤니티 서비스를 개발.
앱 내 웹뷰(WebView)를 활용하여 서비스 제공, 빠른 개발 및 유지보수를 목표로 함.
프로젝트 2: 반려동물 병원 검색 및 예약 서비스 웹 전환
프로젝트 개요
기존에 앱 전용 서비스로 구현되었던 병원 검색 및 예약 기능을 SEO 최적화와 개발 리소스 절감을 위해 웹 기반으로 전환.
앱에서는 새로 개발된 웹 서비스를 웹뷰 형태로 통합하여 일관된 사용자 경험 제공.
기여항목
Next.js 기반 SEO 최적화:
검색 엔진에서 병원 정보를 손쉽게 탐색할 수 있도록 SSR 적용
주요 페이지(검색 결과, 병원 상세 정보 등)에 기본 SEO 정보와 JSON-LD 를 추가.
리소스 효율화:
웹으로 전환하여 팀의 개발 리소스를 줄이고, 앱과 웹의 기능을 통합하여 유지보수를 간소화.
기술 스택
Next.js, Emotion, GraphQL, React Query, TypeScript, Vercel
플레이 서비스 개발
핏펫(Fitpet)
2022.11. ~ 2023.02.
프로젝트 1: 반려동물 활동 서비스 개발
프로젝트 개요
반려동물의 활동 내역을 입력하고, 이를 바탕으로 적립금을 획득할 수 있는 서비스 개발.
사용자 참여도를 높이고, 반려동물 관리에 동기를 부여하는 기능 제공.
기여항목
급여 기록하기
반려동물의 급여 내역을 간편히 입력하고 저장할 수 있는 기능 구현.
데이터를 기반으로 사용자에게 맞춤형 추천 기능을 제공하는 구조 설계.
체중 재기
반려동물의 체중 변화를 기록 및 추적할 수 있는 UI/UX 개발.
데이터를 시각적으로 표현하여 사용자 경험 향상.
성과
사용자 활동 데이터 저장 및 적립금 시스템 안정적으로 연동.
프로젝트 2: 핏펫 사진전 콘테스트 페이지 개발
프로젝트 개요
랜덤하게 반려동물 사진을 노출하여 사용자 흥미를 유도하는 콘테스트 페이지 개발.
기여항목
ISR 적용:
랜덤한 순서로 사진 노출하기 위해 SSG 가 아닌 ISR 적용.
데이터 요청 및 화면 렌더링 지연 최소화로 사용자 경험 개선.
조직적 기여: 프론트엔드 개발 프로세스 개선
팀 상황 및 개선 목표
주니어 프론트엔드 개발자로 구성된 팀에 합류하여 개발 효율성과 코드 품질을 높이기 위한 프로세스 개선 주도.
기여항목
코드 작성 방식 정착
Context API와 Custom Hook을 활용하여 Page/Component 와 비즈니스 로직을 분리하는 구조 도입.
코드 가독성 및 유지보수성을 향상시켜 팀의 개발 생산성을 높임.
Next.js에 적합한 폴더/파일 구조 도입
페이지와 관련된 컴포넌트, hook, 유틸리티 등을 같은 폴어에서 관리할 수 있도록 구조화.
코드 컨벤션 가이드 문서 작성
팀원들이 일관된 코드 스타일을 유지할 수 있도록 ESLint와 Prettier 설정 가이드 제공.
PR 및 코드 리뷰 문화 정착
PR 작성 및 리뷰 프로세스를 표준화하여 협업의 효율성 및 코드 품질 향상.
성과
팀 내 코드 일관성 유지 및 리뷰 과정에서의 소통 증가로 개발 속도 향상.
신규 팀원 온보딩 시간 단축 및 팀원들의 업무 만족도 증가.
기술 스택
프론트엔드: Next.js, TailwindCSS, React Query, TypeScript, Vercel
고미몰 파트너센터 및 내부 어드민 개발
고미코퍼레이션
2022.05. ~ 2022.08.
프로젝트 배경
고미몰에 제품을 위탁/판매하는 기업 고객들을 위한 파트너센터 구축.
주요 기능: 파트너사의 입점, 상품 등록, 판매 이력 대시보드, 정산 프로세스 지원.
빠르게 고객사의 요구를 충족하고 제품 방향성을 설정하기 위해 초기에는 AWS QuickSight를 활용하여 대시보드 중심의 서비스를 오픈.
이후 고객 피드백과 데이터 분석을 기반으로 자체 개발을 통한 기능 고도화를 단계적으로 진행.
내부 직원을 위한 파트너센터 어드민 개발.
고객사에게 제공되는 정보 외에, 내부 운영 및 관리 업무를 지원하는 추가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페이지 설계 및 개발.
기여항목
AWS QuickSight로 초기 MVP 대시보드를 신속히 구현, 서비스 출시 기간을 단축.
고객 요구사항을 빠르게 수집 및 분석하여 이후 제품 고도화 방향을 명확히 설정.
자체 개발로 파트너센터 기능 고도화
파트너사의 입점 및 상품 등록을 위한 사용자 친화적인 UI/UX 설계.
판매 이력 대시보드에서 실시간 데이터 조회 및 분석 지원.
정산 기능을 통해 매출 및 수익 데이터를 간편하게 확인 가능.
내부 어드민 개발
내부 직원을 위한 추가 데이터 페이지를 구현하여 파트너 센터의 전반적인 관리 및 운영 효율성을 높임.
기술 스택
React, Vite, TypeScript
GraphQL 및 React Query
Ant Design
react-i18next
AWS Amplify
성과 지표
MVP 대시보드 오픈 후 고객사의 초기 피드백을 통해 제품 방향성을 명확히 설정.
자체 개발로 전환 후 파트너센터 기능 완성도 증가, 고객사의 서비스 이용 편의성 향상.
내부 어드민 도입으로 운영 효율성 개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