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리보기
기본 정보

기술 스택
Java, Spring Boot, JPA, querydsl, MySQL, Redis, AWS, Python
교육
단국대학교
대학교(학사) | 소프트웨어학과
2018.03. ~ 2024.02. | 졸업
대외활동
NBDream
농림축산식품 공공데이터 활용 창업 경진대회
공공 데이터 Open API를 이용하여 농업 활동 지원 서비스를 기획, 개발
D-Coding 개발 동아리
단국대학교 SW 교내 동아리
Springboot과 React를 이용하여 인플루언서-광고주 매칭 서비스 개발
4th Ne(o)rdinary 해커톤
University Make Us Challenge [UMC]
Springboot와 ReactNative를 이용한 논알콜 칵테일 추천 및 레시피 제공 서비스 개발
앱 런칭에 도전하는 대학생 IT 연합 동아리
University MakeUs Challenge[UMC]
Springboot와 Android를 이용하여 갤러리 앱 서비스를 개발
프로젝트
농부의 꿈
농림축산식품 창업경진대회 NBDream 팀
2024.05. ~ 2024.07.
Open API 기반 농업 활동 지원 서비스
주요 역할
기상청 Open API를 이용한 주간 날씨 조회 기능 구현
기상청 Open API 데이터 파싱 및 데이터 전후처리
기상청 API 호출 최소화를 통한 응답 시간 최적화(3s-> 0.5s)
농림축산식품부의 Open API 기반 기간별, 작물별 주요 농작업 일정 조회 기능 구현
커뮤니티 기능 구현
Cursor 기반 페이징을 통해 실시간 데이터 처리 능력 향상
Github Actions를 이용한 CI/CD 파이프라인을 구축하여 배포 자동화 환경 구축
회고
사용자의 니즈 파악을 위해 농업인의 인터뷰와 유사 앱 4개의 리뷰를 조사, 분석하며 사용자가 꼭 필요한 서비스를 구현하려고 노력하였고, 그 결과 45개 팀중 8등이라는 좋은 성과를 얻을 수 있었습니다.
날씨, 토지 분석, 특일 정보, 농작업 일정, 소셜 로그인 등 다양한 공공 데이터 및 Open API를 이용하며 데이터를 파싱하고 처리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깃허브 : https://github.com/WDTT-CodingClub/NBDream-Server
플레이 스토어 : https://play.google.com/store/apps/details?id=kr.co.wdtt.nbdream&hl=ko
Amachon
단국대학교 캡스톤 대회
2023.03. ~ 2023.06.
아마추어 개발자를 위한 프로젝트 매칭 서비스
주요 역할
프로젝트 기획, 백엔드 개발, 배포
Querydsl 을 이용하여 게시글 필터링 조회 기능 구현
JMeter를 이용한 성능 테스트 진행하여 게시글 조회 API 성능 2.1s -> 0.16s 로 13배 성능 향상
카테고리 조회를 위해 자주 사용되는 지역, 기술 태그를 Redis를 활용하여 Cache-Aside 전략으로 조회 성능 향상
단위 테스트 및 통합 테스트를 통해 테스트 커버리지 70% 달성
프로젝트 팀원 모집, 팀원 관리 기능, 메시지 기능 개발, 점수 기반의 간단한 팀원 추천 알고리즘 고안
회고
프로젝트 리더를 담당하여 개발 뿐 만 아니라 프로젝트 기획, 관리까지 직접 리드하며 시야를 넓힐 수 있었습니다.
성능 테스트를 통해 성능 개선을 경험하며, 안정성과 확장성이 높은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해 노력하게 되었습니다.
자세히 보기 : 아마촌
깃허브 : https://github.com/Project-AmaChon/Server
당신의 발자취
University MakeUs Challenge[UMC]
2023.01. ~ 2023.03.
일상, 여행에서의 소중했던 추억을 지도에서 위치와 함께 기록하는 갤러리 앱 서비스
주요 역할
Spring Security, JWT, Redis 를 이용한 인증/인가 기능 개발
피드, 댓글, 좋아요 등 SNS 기능 개발
AWS EC2, RDS, S3 기반의 인프라 구축
회고
첫 팀 프로젝트로, 전반적인 개발 프로세스, 협업 방식에 대해 많이 배울 수 있었습니다.
기술적으로 부족한 부분들에 대해 고민하고 Spring boot, JPA, Java 등 기본기를 공부하는 것에 집중하게 되었습니다.
자세히 보기 : 당신의 발자취
깃허브 : https://github.com/UMC-Foot-Step
자기소개
안녕하세요. 백엔드 개발자 이정우입니다. 저는 제 강점과 특성을 해시태그로 소개드리고 싶습니다.
#문제 해결자
한 프로젝트에서 외부 API 3개를 동시에 이용하는 주간 날씨 기능으로 인해 응답 시간이 느려졌던 문제가 있었습니다.
사용자의 요청마다 외부 API를 매번 호출하는 것은 매우 비효율적이라 판단하였고, 이를 개선하기 위해 캐싱, 타 날씨 API 활용, DB 저장 등 다양한 방법으로 접근하였습니다. 이 과정에서 요청 한 번에 10일 치 날씨 데이터를 받아오는 외부 API의 특성을 적극 활용하여, 날씨 데이터를 DB에 저장하고 3일 주기로 날씨를 업데이트하는 방식을 채택하기로 결정했습니다. 사용자의 요청마다 외부 API를 호출하는 대신 DB에서 요청하도록 개선하면서 외부 API 호출을 최소화할 수 있었고 그 결과, 평균 3~4s가 걸리던 응답 시간을 0.5s 내로 줄이며 응답 시간이 길어졌던 문제를 효율적으로 해결할 수 있었습니다. 이후에도 모든 지역의 날씨 정보를 미리 저장하는 대신, 사용자가 지역을 설정할 때 날씨 정보를 요청하도록 개선하여 작은 성능 향상을 이뤄냈고, 이러한 경험을 통해 문제를 효율적으로 해결하고 최적화하기 위해 더욱 고민하게 되었습니다.
#소통
개발자는 개발 역량도 중요하지만 무엇보다 소통 역량이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저는 소통 역량을 기르기 위해 다양한 프로젝트를 경험해왔습니다. 특히, 해커톤을 진행하며 기획자, 디자이너와 24시간 동안 협업하는 과정에서 소통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았던 적이 있었습니다. 문제의 원인은 기획자와 디자이너가 개발에 대한 경험이 거의 없어 개발 용어를 잘 모르고, 또한 실제 구현이 어디까지 가능한지 잘 모르기 때문이었습니다. 이에 저는 핵심적인 개발 용어만 신속하게 알려주었고, 기획과 관련해서 왜 구현이 불가능한지에 대한 의문을 해소시켜주며 대체 방법, 차선은 어떤 것이 있는 지 함께 고민하였습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더욱 원활하게 소통, 협업할 수 있었으며, 결국 성공적으로 프로젝트를 마칠 수 있었습니다.
이러한 저의 강점과 특성을 살려 백엔드 직무 수행를 문제없이 수행해내고 더욱 성장할 수 있는 개발자가 되고 싶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