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리보기
기본 정보
안녕하세요! 프론트, 그 이상을 지향하는 주니어 개발자 안소윤입니다.
기술 스택
JavaScript, HTML/CSS, React, 서비스 기획, Figma, 웹앱, UX 기획, React Native
프로젝트
랩실 및 창업동아리 활동
부산대학교
2024.07. ~ 2024.08.
활동 내역
IoT 랩실 (2024.7.16~8.30)
팀원 : 총 7명
Leader (1), Designer&Front-end (2), Back-end (2), Android (1), IOS(1)
> 방학기간 월~금 랩실 출근 및 창업동아리 활동 & 근무
> 근무 후 매일 회의를 통한 피드백, 개선, 프로젝트 준비
창업동아리 - 시작
BUSDAY
시작장애인을 위한 버스이용 어플리케이션
1. 팀 구성
Designer&Marketer (1), Android(1), Back-end(1)
2. 담당 파트
- 사업계획서 작성
- 앱 프로토타입 UXUI 디자인 총괄 (figma)
- 전문가 멘토링 후 아이템 수정보완
- 마케팅 방향 모색
3. 활동내역
- 시각장애인 기관 방문 및 아이템 구체화
- BUSDAY 아이템 발표 후 전문가 피드백
- PNU dream beats 창업 경진대회 참가
창업동아리 - It is IT
Techsol
이공계열 학생을 위한 AI 학습파트너 웹
1. 팀 구성
Designer&Marketer(1), Front-end(1), Back-end(1)
2. 담당 파트
- React, JavaScript를 이용한 랜딩페이지 개발
- 구글 애널리틱스 연동 → 총 13개의 전국 대학교 홍보게시판에 배포 후 분석
3. 활동내역
대외활동
대학연대 창업 네트워크 캠프 (서울대학교 지역인재양성 사업단)(2024.08.18~20)
- 특강 (사업아이템 소개서, PMF 찾기)
- 사업소개서 작성, 아이디어 구체화, 프로젝트 발표, 자유 네트워킹
대외활동
2024 동남권 LINK 3.0 글로벌 창업노마드 캠프&아이디어 경진대회(2024.8.28 ~ 31)
수상 : 동남권 LINK 3.0 사업단 협의회 우수상
- 현지 설문조사 후 현지 마케팅 방향 도출
- 글로벌 창업 노마드 아이디어 경진대회 발표
2024 코딩동아리 (코딱지) 프론트엔드 활동
교내 활동
2024.04. ~ 2024.12.
학습 기술
html, css, javascript, React
활동 내역
매주 온라인 미팅을 통한 스크럼 진행 → 프론트엔드 분야 간 일주일 학습 경험 공유, 멘토의 피드백
전체스크럼, 프론트엔드 분야 대표 발표 (’나만의 웹페이지를 소개합니다’)
netflix 클론코딩 (React)
개방형 클라우드 플랫폼 기반(K-PaaS) 서비스 개발 아이디어 공모전 준비
프로젝트
nom:ad
고향음식이 그리운 이들을 위한 자국 음식점 추천 서비스
1. 팀구성
Front-end (1) / Back-end (2)
2. 사용 기술
ReactNative, Websocket
3. 담당 파트
- 앱 프로토타입 UXUI 디자인 총괄 (figma)
- 아이템 구체화 및 기획 총괄
- 회원가입, 로그인, 메인, 프로필, 음식점 상세, 리뷰 페이지 CRUD
- 해시태그를 통한 검색 및 리뷰 기능 구현
- react-native-cookie-manager을 통한 토큰 관리
- react-native-maps와 식당 정보 연동, 마커띄우기
- websocket을 이용한 채팅기능 구현
교육
부산대학교
대학교(학사) | IT 응용공학과
2023.03. ~ 현재 | 재학 중
자기소개
프론트만 잘하는 프론트엔드 개발자가 아닙니다
개발자이지만 디자인에 관심이 많습니다. 실제 프로젝트를 진행하였을때 figma를 이용한 UXUI 디자인 및 프론트 업무를 3번 도맡아 하였습니다. 도맡아 한 프로젝트 모두 디자인 후 프론트까지 완성도 높게 만들 수 있었습니다. 또한 창업동아리에서 디자이너 및 마케터로 활동한 경험이 있어 프론트만 잘하는 개발자가 아닌, 넓은 시야를 가져 다른 분야들과 소통할 줄 아는 개발자입니다.
기획하는 것을 좋아하는 아이디어 뱅크입니다.
학부 학생회에서 1년간 기획부에서 활동하였습니다. 또한 공모전이나 프로젝트를 진행할때 대부분 리더와 기획 역할을 도맡아 하였습니다. 팀을 사기있게 이끌어가기도 하고, 팀원들과 함께 호흡을 맞추며 제가 기획한 것들이 실현될 때 행복을 느낍니다.
효율적이고 체계적인 협업을 좋아합니다.
수많은 프로젝트을 수행하고 다양한 팀원들을 만나면서 효율적이고 체계적인 업무의 중요성을 알게 되었습니다. 서로를 너무 배려하거나, 목표나 계획이 따로 없이 진행했던 프로젝트는 결국 무산되기 일수였습니다. 조금 힘들지라도 팀원 모두가 소통에 참여하며 기한을 두고 끝내는 식으로 방법을 바꾸니 좋은 결과들을 낼 수 있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