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리보기
기본 정보

- 가설 검증을 위한 지표 설계와 실험 설계에 익숙합니다 - 다양한 경험과 협업을 바탕으로 커뮤니케이션 능력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 논문 및 연구의 수식을 이해하고 코드 구현에 능숙합니다
기술 스택
Python, bigquery, SQL, SQLD, Tableau, looker-studio, Google Cloud Platform, GitHub, Pandas, Numpy, R, PostgreSQL, 자기계발, Docker, Matplotlib
경력
(주)골든플래닛
파트장(시니어 매니저) | DX엔지니어링 데이터분석 유닛 | 재직 중
2023.04. ~ 재직 중 (1년 11개월)
파견 업체 데이터 분석 업무 리드
오비이랩
선임연구원 | 분석팀
2021.03. ~ 2023.04. (2년 2개월)
데이터 분석 업무 및 컨설팅
기초과학연구원 뇌이미징 연구단
연구원 | CLMN LAB
2019.10. ~ 2020.09. (1년)
연구 실험 설계 및 데이터(뇌영상 및 임상데이터) 분석
가천대 뇌과학연구원
연구원 | 정신의학팀
2019.02. ~ 2019.09. (8개월)
뇌영상 및 통계분석
프로젝트
프랜차이즈 지리정보 기반 상권 분석 플랫폼 구축
골든플래닛
2023.04. ~ 2024.01.
- 주요 역할 : GCP 기반 상권 분석 플랫폼 분석파트 PL
- 업무 성과 :
- 기존점 상권 분석 및 자기잠식 효과 분석 진행
- 매장 별 고객 방문 지표 설계 및 구축
- 신규점 입점 관련 매출 예측 모델링 및 상권 분석 진행
- 분석 활용 위한 데이터 모델링 및 파이프라인 구축(bigquery, vertex-ai)
인과구조 수정의 필요 충분 조건 :현저성과 양립 가능성에 관하여(석사연구)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인지심리전공
2017.07. ~ 2018.12.
- 주요 역할 : 인과적 관계의 수정에 대한 필요 요건을 연구하기 위한 실험 설계/진행 및 데이터 분석
- 업무 성과 :
- 인과 추론 연구 가설을 검증하기 위한 논문 기반의 지표 및 로그 설계
- 정확한 구성 지표(인과 구조의 판단)와 로그(이전 데이터 확인 여부 등) 수집을 위한 실험 화면 구성 설계 및 제작(Python GUI)
- 실험 데이터 분석(Mixed ANOVA) 및 학위 논문 작성
공공데이터 공모전(불법촬영 고위험지역 탐색)
사이드프로젝트
2019.05. ~ 2019.08.
- 주요 역할 : 불법촬영 고위험 지역 도출을 위한 데이터 분석 (R)및 시각화(PowerBI), 추가적 액션 제안
- 업무 성과 :
- 자료조사를 바탕으로 불법촬영 위험도 지표(인구밀집도 및 화장실과 거리 기반)을 정하고 이를 바탕으로 공공데이터를 분석해 고위험지역 예측 및 선정
- 고위험지역의 위험도 감소를 위한 액션 제안(순찰 코스 선정, 불법촬영 탐지키트 비치)
경도인지장애 선별 및 알츠하이머 조기진단 모델링
오비이랩
2021.06. ~ 2022.06.
- 주요 역할 : 자사기기의 경도인지장애 선별 및 치매 조기진단의 효능 입증을 위해 데이터 관리 및 데이터 분석 모델링
- 업무 성과 :
- 병원과 협업으로 진행하는 임상 데이터 퀄리티 체크 및 ETL(추후 R/D를 위해 데이터 베이스화를 위해 데이터 모델링 및 데이터 적재 진행)
- 논문 조사와 다양한 방법론(기본 통계 방법론 ~ CNN 기반 Tranfer feature extractor)구현 및 분석으로 타사 유사 알고리즘 이상의 정확도(약 85%) 구현
- 핵심가설(아밀로이드 베타 가설)의 취약성 조기 발견(추후 핵심 가설 연구의 연구조작 사실이 뉴스로 알려짐) 및 프로젝트 방향 수정 유도
헬스맥스 뇌 인지점수
오비이랩
2021.03. ~ 2023.04.
- 주요 역할 :
- 자사기기의 인지능력 측정을 표준화하기 위한 인지점수 모델링
- 레포팅 시간 단축과 추후 레포팅 관리를 위한 내부 수행 알고리즘 엔진 교체 및 레포트 구현
- 모니터링을 위한 내부 대시보드 제작 및 배포
- 업무 성과 :
- 자사 임상데이터 기반으로 인지 점수 모델링 핵심 알고리즘 구현, 현재 서울 시내 약 12곳의 동사무소 및 보건소에서 헬스맥스사와 협업해 운영, 추후 확대 예정
- 소프트 웨어침과 협의로 내부 알고리즘 최적화를 위한 교체(Matlab -> Python)로 고정 비용 감소(연간 약 500
2000만원) 및 레포트 속도 향상(1분2분 -> 10초대) - 내부 대시보드(Redash/Metabase) 를 바탕으로 인지 점수 모델의 이상 확인 및 고도화, 집중 운영 지역 선정
외부 분석 의뢰 프로젝트
오비이랩
2021.09. ~ 2023.04.
혈관확장제(자이데나)의 인지능력 개선 검증, 인지중재치료의 인지능력 개선 검증, 침치료의 인지능력 개선 검증, 경도 인지 장애 판별 멀티모달(PET) 연구
- 주요 역할 : 자사기기를 활용해 임상적 효능을 입증하기 위한 연구들의 임상데이터 분석, 연구 실험 프로그램(GUI) 제작
- 업무 성과 :
- 자이데나 약물의 인지 능력 개선 효과를 데이터 분석(크로스오버 디자인 분석, Python)을 통해 검증, 현재 논문 출판을 위해 리비전 진행중
- 인지중재치료의 인지 능력 개선 효과 가능성을 데이터 분석을 통해 검증, 현재 후속 연구 준비중
- 침 치료의 인지 능력 개선 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연구 설계 및 인지 능력 평가 과제(DIGITSPAN 등) 프로그램(GUI) 제작
- 경도 인지 장애 판별을 위한 가설 설정 및 멀티 모달 데이터 분석(PET데이터와 연관시켜 분석 진행)으로 가설 검증, 현재 논문 출판을 위해 리비전 진행중
우울증 기반 연구 데이터 분석
가천대 뇌과학 연구원
2019.02. ~ 2019.09.
- 주요 역할 : 우울증 기반 가설을 PET 및 fMRI 뇌영상, 임상 데이터를 기반으로 찾아내고 데이터 분석 진행
- 업무 성과 :
- 생물학적 기반의 가설 설정을 위해 20편 이상의 임상 논문 탐색 및 지식 습득으로 우울증 모델 가설 설정
- 데이터 분석(Matlab, R)으로 우울증 모델 가설 설정 및 검증(Linear Mixed Model)
- 연구 결과 바탕으로 2019 IBRO 학술대회 포스터 발표 참석, 2020년 연구 논문 출판(IF: 2.94)
운동 학습 연구 프로젝트
기초과학연구원 뇌이미징 연구단 CLMN LAB
2019.10. ~ 2020.09.
- 수행 기간 : 2019.10 ~ 2020.09 (약 12개월 소요)
- 주요 역할 : 연구 논문 기반으로 운동학습 연구 설계, 실험 제작 및 데이터 분석 진행
- 업무 성과 :
- 30편 이상의 운동학습 연구 논문을 바탕으로 운동학습 fMRI 연구 설계 및 실험(GUI) 제작
- 파일럿 분석 진행(Shell Script 및 Python 기반 ML방법론 적용), 현재 해당 연구 타 연구원이 진행중
포트폴리오
URL
교육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대학원(석사) | 인지심리
2016.03. ~ 2019.08. | 졸업
성균관대학교
대학교(학사) | 수학/심리학
2009.03. ~ 2016.02. | 졸업
충주고등학교
고등학교 | 인문계 이과
2006.03. ~ 2009.02. | 졸업
자격증
GA4 데이터 분석 캠프 수료증
수료 | 데이터리안
2024.04.
SQL 개발자
개발자 | 한국데이터산업진흥원
2022.12.
자기소개
[실험적 설계가 익숙한 인지 심리적 데이터 사이언티스트]
어린 시절부터 탐구심이 많아 다양한 경험을 쌓아왔습니다. 다양한 것을 배우고자 응용성이 많은 수학을 전공하였고 이러한 수학적 지식을 바탕으로 연구하고자 인지 심리 대학원에 진학했습니다. 이후 석사 생활과 여러 연구소 생활을 거치며 연구를 설계해 데이터를 수집, 분석하며 자연스럽게 데이터를 다루고 여러 분석하는 일에 흥미를 가지게 되었고 데이터 사이언스 분야로 진로를 정하게 되었습니다. 그래서 배운 수리적, 인지적 기반을 바탕으로 데이터를 분석해 기업의 의사결정에 도움이 되는 분석을 이끌어내는 분석가를 목표로 하게 되었습니다.
[빠른 적응력과 발전력을 가진 커뮤니케이터]
저는 여러 분야의 경험과 다양한 팀원과의 협업 경험으로 익숙지 않은 분야에 대해 낮은 진입장벽과 빠른 적응력을 가지게 되었고 새로운 지식을 얻는데 어려움이 없습니다. 그리고 다양한 전공과 기본기 덕분에 새로운 분야에 대한 적응과 지식 습득이 빨라 새로운 팀과 프로젝트에 쉽게 적응합니다. 그리고 스스로 발전하고자 끊임없이 데이터 관련 세미나 및 책/강의들을 들으며 발전해 나가고 있습니다. 획득한 데이터 드리븐 문화들을 업무에 공유하고 적용하고자 지식 공유를 위해 내부 세미나와 코드 리뷰 문화를 도입하기도 했습니다. 또한 이러한 다양한 지식과 경험은 분석이외의 기획이나 소프트웨어 팀과 의견을 나눌 때도 서로의 이해를 높일 수 있어 다른 팀부서와 협업시 주도적인 역할을 수행해왔습니다.
[ 분석적이고 끊임없이 의심하는 성격]
저는 분석적이고 끊임없이 의심하는 성격입니다. 당연히 이해되어야 하는 내용이라도 저 스스로 이해되는 흐름이나 논리가 없다면 이해가 될 때까지 질문을 던지고 고민해 봅니다. 그래서 데이터를 바라볼 때 여러 가지 감정을 배제하고 여러 번 무엇이 어긋난 것은 없는지 정확한 것인지를 고민하고 더 나은 방안은 없을까 생각합니다. 경영에 대한 의사결정에 도움을 주기위해서는 이상적인 의견보다는 현실적이고 냉철한 내용을 전달해야 한다고 생각하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성향 때문에 너무 한 가지 일을 매달려 다음 단계로 넘어가기 힘든 일도 있었습니다. 이러한 단점을 극복하고 조금 더 일을 수월하게 진행하기 위해 다이어리를 작성하고 스스로 마감 기한을 정해 일을 진행하는 습관을 기르기 시작했습니다. 스스로 기한을 정해 무슨 일이 있더라도 그날까지는 마무리해 다음 단계로 넘어가도록 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저는 맡긴 일들을 처음부터 끝까지 모두 처리해야 직성이 풀리는 경향이 있습니다. 이렇게 모든 것을 다 진행하는 것은 주니어 시절 때는 어느정도 방해가 되지 않았지만, 저와 비슷한 성향의 리더분들과 일을 해보며 리더로서는 이러한 점이 오히려 방해가 될 수 있겠다는 걸 느꼈습니다. 좋은 리더의 자질을 갖추기 위해, 모든걸 다하기 보다는 팀원들과 적절히 일을 적정하게 분배하기 위해 노력했고, 팀내 세미나를 진행하고 업무를 같이 진행하며 팀원의 능력을 같이 향상시키기 위해 노력한 경험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