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리보기
기본 정보
구조를 이해하고 문제를 해결하는 개발자, 황정연입니다 어린 시절부터 만들기를 좋아하던 저의 즐거움이 개발이라는 직업을 찾는 돛이 되어주었습니다. 저의 꾸준함은 Unity 엔진을 통해 게임 개발을 시작하여 고강도 교육 수료, 이후 풀스택 플랫폼 구현까지 스스로 부족하다고 판단하는 부분을 지금도 꼭꼭 채워주고 있습니다. 모르는 것에 질문하고 의견이 다른 상대와 함께 조율해 나가는 것을 좋아합니다. 문제의 구조를 이해하고 체계를 파악하여 유사한 문제에 응용하는 것에 쾌감을 느낍니다.
기술 스택
JavaScript, Java, Node.js, Spring Boot, React, TailwindCSS, Python, AWS, Docker, GitHub, github-actions
프로젝트
직장인들을 위한 소모임 플랫폼 “소소소”
1인 프로젝트
2024.09. ~ 2024.12.
바쁜 직장인들이 잠시 나마 안식처를 찾고 서로 즐길 수 있는 플랫폼 소소소입니다. 회원가입을 통해 서비스 사용이 가능하며, 메일 인증을 통한 가입/OAuth를 통해 소셜 회원 가입, 두 가지 가입경로로 나누어집니다. 회원, 호스트 두 가지 타입으로 서비스 이용이 가능하며, 회원의 경우 자신의 개인 정보를 입력한 이후 원하는 소모임 에 가입 요청을 보낼 수 있습니다.
승인 여부는 소모임을 창설할 호스트에게 권한이 있습니다. 회원 간, 혹은 호스트 가입 신청자 간 websocket을 통해 실시간으로 소통이 가능합니다. Docker를 이용하여 React 그리고 Spring 어플리케이션을 컨테이너화 하여 배포를 용이하게 하였습니다. 서버는 CI/CD를 담당하는 Git Action을 통해 각각 Docker로 빌드하여 EC2 서버에 배포되도록 파이프라인이 구축되었으며, 데이터베이스는 RDS의 MySQL을 사용합니다.
1인 가구를 위한 반려식물 어플리케이션 “푸릇푸릇”
스파르타 코딩 클럽
2024.03. ~ 2024.04.
급증하는 1인 가구에게 필요한 니즈가 무엇인지 팀원과 함께 탐구하였습니다. 1인 가구에게 반려동물은 관리 면에서 상당히 부담스러운 만큼, 비용이나 시간 면에서 부담이 적은 반려식물을 키우는 사람들을 대상으로 하는 어플리케이 션 개발로 방향을 정했습니다.
반려식물 어플리케이션 푸릇푸릇은 1개월 간 6명(front: 2, back: 3, design: 1)이 서로 협동하여 기획 단계부터 배포 까지 무사히 마친 프로젝트이며, 서로 부족한 부분을 채워주면서 협력하는 소중한 경험을 주었습니다.
귀여운 고양이가 장애물을 피하는 달리기 게임 “Kitty Run"
1인 프로젝트
2023.05. ~ 2023.12.
제가 개발이라는 세계에 입문하도록 도와준 프로젝트 입니다. 3D 공간에서 무한으로 로딩되는 세계에서 귀여운 고양 이 캐릭터가 게임 속 장애물 Object를 피하면서 점수를 획득하는 게임입니다. 고양이 캐릭터는 직접 Blender로 제작을 하여 달리기 및 뛰기 등 애니메이션은 rigging이라는 방식을 사용하여 적용 시켰습니다.
무한으로 생성되는 세계는 절차적 생성 방식을 도입하여, 필요에 따라 주변 환경이 생성되고 삭제되도록 구현을 하였습니다. 발매한 지 1년이 지났지만, 꾸준한 학습을 통해 저의 역량의 성장으로 인해, 새로운 업데이트를 하기로 결정하였습니 다. Blender를 통한 3D 리소스 제락, Incksape을 통한 Material Map 제작 등, 완성된 게임을 발매하기 위해 꾸준히 나아가고 있습니다.
포트폴리오
자기소개
생명과학 대학교에 재학 시절 생명의 복잡함과 그 정교한 메커니즘과 작동 원리을 배우면서 감탄을 하였던 적이 기억이 납니다. 한편, 이러한 정교한 작동 원리를 이해를 하는 동시에 직접 구현을 할 수 있는 직업이 있을까? 라는 생각이 들었지만, 아직 개발자라는 직업에 대해 탐색을 하던 시기는 아니었습니다.
대학교 졸업 이후, 과거 잠시 유튜브를 통해 수익을 창출을 했던 경험을 삼아, 저의 오랜 취미이자 성취감을 주었던 “만들기”를 하고 싶다는 마음으로 우연히 “게임 개발”을 스스로 독학을 하면서 해나가기 시작했습니 다. 그때 저의 목표는 게임을 개발하고 발매한 다음, 유튜브 채널처럼 광고로 수익을 창출한다는 것이었습니 다. 꾸준한 노력 덕에 코드를 이해하기 시작한 저는 새로운 세계를 탐험하는 듯한 기분이었습니다.
복잡하면서 도 정교하고, 원리를 바탕으로 움직이는 프로그래밍 세계에 발을 딛게 되면서, 개발자가 되고 싶다는 결심을 가지게 되었습니다. 항해99라는 99일 간 하루 최소 12시간 고강도 이수 프로그램에 등록하였습니다. 이수 과정은 많은 정신적 에너지가 소요가 되었지만, 덕분에 팀원과 어떻게 업무를 분업화 하고 의견을 조율하고 함께 고민하고 해결 해나가는 방법을 터득하였고, 어려움을 함께 극복할 때마다 느끼는 그 쾌감이 저희가 99일 간의 여정을 무사 히 마치도록 해주었습니다.
수료 이후에도 저의 배움을 향한 길을 끝나지 않았습니다. 꾸준히 코딩 테스트 문제를 푸는 동시에, 독립적으 로 강의를 구매하여 학습을 진행하였습니다. 3계층 아키텍쳐로 시작한 백엔드 구현은 Entity와 Dto 계층을 포함시켜, 로직 간 데이터 전달의 객체화를 향상시켰고, 프론트에 대한 이해도 필요하다 생각하여 React를 학습, 이후에는 배포를 용이하게 해주는 CI/CD와 Docker로 무사히 개인 프로젝트를 완수할 수 있었습니다.
자격증
TOEIC
905 | ETS
2022.12.
교육
Udemy
사설 교육 | Unity 엔진 영문강의 Material 기본 등
2023.05. ~ 2024.09. | 졸업
스파르타 코딩클럽
사설 교육 | 항해99, Java 문법반 등
2023.12. ~ 2024.04. | 졸업
차의과학대학교
대학교(학사) | 의생명과학과
2015.03. ~ 2022.02. | 졸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