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리보기
기본 정보

무엇이든 시기에 늦지 않고자 준비하는 백엔드 개발자 정우진입니다. 현재 Java/Spring 기반의 유지보수 업체에서 근무 중이며, Python/Django를 활용한 사이드 프로젝트를 통해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있습니다. 새로운 기술에 대한 적응력이 뛰어나며, 현업에서 기존에 학습한 기술이 아닌 새로운 기술로 프로젝트 리드를 맡아 성공적으로 완수한 경험이 있습니다. 기술적인 공유에 관심이 많아 프로젝트 진행 중 겪었던 어려움과 유용한 정보를 지인들과 공유하고, 기술 블로그를 통해 이를 정리하는 습관을 가지고 있습니다.
기술 스택
Python, Flask, Django, Spring Boot, Java, JavaScript
경력
(주)카이런소프트
사원 | 연구개발부 | 재직 중
2024.06. ~ 재직 중 (7개월)
역할 및 업무:
담당자 배정 기능 추가를 통한 업무 분할 기능 구현
기능 및 데이터 추가에 따른 SQL 쿼리 수정
정기적인 고객 데이터 비교 분석 및 기능 정상작동 여부 모니터링 및 보고
사용 기술: Java, Spring, JSP, MySQL
성과:
효율적인 업무 프로세스를 위한 담당자 배정 시스템 구축
데이터 정합성 향상을 위한 쿼리 최적화 및 수정
시스템 안정성을 위한 정기 점검 및 보고 체계 마련
주식회사 온랩 (ONLAB.Co.,Ltd.)
계약직 | 서비스 개발부
2023.11. ~ 2024.01. (3개월)
역할 및 업무:
채용공고 관련 CRUD API 개발
JWT 기반의 인증/인가 처리
사용자 설문조사 데이터를 AI 모델에 입력 후 결과 반환 API 개발
사용 기술: Python, Flask, MySQL
성과:
효율적인 채용공고 관리 API 제공으로 업무 프로세스 단축
보안성을 강화한 JWT 기반 인증 시스템 구축
AI 기반 맞춤형 결과 제공을 통해 사용자 경험 개선
프로젝트
스마트팜 관수 시스템
팀 프로젝트
2024.10. ~ 2024.11.
인력 구성: H/W 1명, BE 1명, AI 1명, FE 1명
역할 및 업무:
MQTT를 통해 수집한 토양 수분 및 온습도 데이터를 바탕으로 AI 예측값 산출
웹소켓을 통한 실시간 데이터 제공
프론트엔드로부터 전달받은 제어 명령을 통해 밸브 제어
AI 모드 추가를 통한 자동화된 관수 시스템 구현
사용 기술: Python, Django, MySQL, MQTT, WebSocket
성과:
실시간 데이터 처리 및 밸브 제어를 통한 스마트팜 자동화 구현
AI 기반 예측 시스템을 통한 효율적인 농업 환경 제공
반려 식물 원격 관리 시스템
한밭대학교
2023.01. ~ 2023.11.
인력 구성: 백엔드 1명, 앱 개발자 1명, IoT 엔지니어 1명
역할 및 업무:
Node.js 기반의 서버 구축을 통해 모바일 앱과 IoT 디바이스 간의 통신 구현
센서 데이터를 수집하고, 이를 기반으로 자동화된 제어 로직 개발
RESTful API 설계 및 Git 브랜치 전략 수립 및 적용
사용 기술: Node.js, Express.js, MongoDB, MQTT, Git
성과:
실시간 센서 데이터 모니터링 및 제어를 통한 스마트 홈 환경 구축
모바일 앱과의 원활한 연동으로 사용자 편의성 증대
효율적인 코드 관리와 협업을 위한 Git 전략 도입
포트폴리오
교육
한밭대학교
대학교(학사) | 컴퓨터공학과
2022.02. ~ 2024.02. | 졸업
학점은행제
대학교(학사) | 경영학사
2021.02. ~ 2022.02. | 졸업
우송대학교
대학교(학사) | 미래기술학부
2020.02. ~ 2021.02. | 중퇴
자격증
네트워크관리사
2급 | (사)한국정보통신자격협회
2021.10.
자기소개
성장 과정 및 개발자로서의 가치관
어릴 적부터 문제 해결에 대한 흥미를 바탕으로 다양한 논리적 사고 활동을 즐겨왔습니다. 특히, 고등학생 때 컴퓨터 동아리를 직접 운영하며 동아리원들과 지식을 공유하고 함께 성장하는 경험은 소프트웨어 개발에 대한 열정을 키우는 데 큰 역할을 하였습니다.
이러한 경험은 자연스럽게 백엔드 개발자로서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처리하고 안정적인 시스템을 구축하는 데 매력을 느끼게 하였으며, 새로운 기술을 습득하고 이를 실무에 적용하여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에서 지속적인 학습과 도전을 통해 성장하는 개발자가 되고자 하는 가치관을 확립하는 데 기여하였습니다.
전공 및 경험을 통한 역량 강화
대학에서 컴퓨터 공학을 전공하면서 Java, Python, NodeJS 등의 언어와 Spring, Django, Flask, Express.js 등의 프레임워크를 활용한 프로젝트를 수행했습니다. 특히, 클라우드(AWS) 환경에서의 서비스 배포와 MariaDB, MySQL을 통한 데이터베이스 관리 경험을 통해 실무에 바로 적용할 수 있는 역량을 갖추었습니다. 또한, 실시간 데이터 처리, IoT 시스템 연동, AI 모델 연동 등 다양한 기술 스택을 활용한 프로젝트 경험은 저의 기술적 깊이를 한층 더 향상시켰습니다.
첫 직무로 SM을 선택하다
저는 첫 직무로 SM(서비스 매니지먼트)을 선택하여 입사하였습니다. 이는 단순한 기술 개발에 머무르지 않고, 고객과의 직접적인 소통을 통해 서비스의 전반적인 가치를 체험하고자 한 결정이었습니다. SM 업무를 수행하며 고객 피드백을 실시간으로 반영해 서비스를 지속적으로 개선하는 과정을 경험하였고, 이를 통해 고객의 요구사항을 깊이 이해하며 문제를 신속하게 해결하는 능력을 키울 수 있었습니다.
또한, SM 업무를 통해 전체 서비스 프로세스를 학습함으로써, 시스템의 운영부터 유지보수, 품질 개선까지 전반적인 흐름을 파악할 수 있었습니다. 이러한 경험은 SI(시스템 통합) 업무에서 요구하는 체계적인 시스템 설계와 프로젝트 관리에 큰 도움이 될 것이라 판단하였습니다. 결국, SM을 먼저 선택한 것은 SI로의 전환에 필요한 폭넓은 이해와 경험을 쌓기 위한 전략적인 결정이었습니다.
지원 동기 및 포부
백엔드 개발자로서 안정성과 확장성을 중시하는 시스템을 구축하고자 합니다. 다양한 프로젝트에서 습득한 기술 역량과 협업 경험을 바탕으로 귀사의 서비스 발전에 기여하고 싶습니다. 특히, 클라우드 환경과 IoT 기술이 결합된 혁신적인 솔루션을 개발하여 사용자 경험을 극대화하는 데 집중하고자 합니다. 앞으로도 꾸준한 자기 개발과 도전을 통해 최고의 백엔드 개발자가 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