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리보기
기본 정보
제품과 유저를 최우선으로 하는 3년차 프론트엔드 개발자 오준상입니다. 팀의 리소스를 줄이는 작업에 관심이 많습니다. 기술이 제품에 어떻게 영향을 줄 수 있을지 고민합니다. 현재 산업기능요원으로 복무중입니다 (22.03 ~ 25.01)
기술 스택
경력
주식회사인프랩
사원 • 프로덕트팀
온라인 개발자 커리어 플랫폼인 인프런과 개발자 커리어 플랫폼인 랠릿을 개발 및 유지보수 하였습니다.
- 온라인 개발자 강의 플랫폼인 인프런의 레거시 스팩을 유지보수
- 레거시 코드를 typescript와 react로 재개발
- 개발자 커리어 플랫폼인 랠릿 typescript, react를 이용하여 개발 및 유지보수
- 인프런 서비스의 통합 디자인시스템 신규 기능 개발 담당
- 개발자 리소스를 줄이기 위한 사내 라이브러리에 기여
- 인프런 로드맵 에러 모니터링 시스템 구축
- 인프런 로드맵 페이지 LCP 모니터링 시스템 구축
- 인프런 컨텐츠 빌더 제작
(3년 8개월 | 정규직)
프로젝트
인프런 서비스 국제화
인프랩
인프런 해외 결제 추가
[프로젝트 설명]
인프런의 해외 진출을 위해서 협업사와 함께 해외 결제 서비스를 붙이는 프로젝트 입니다.
[주요 내용]
기존 로직을 활용하여 작업할 수 있도록 확장적인 구조
인프랩
인프런 장바구니 개편
[프로젝트 설명]
인프런의 제품 구매를 담당하는 수강바구니 페이지를 레거시 스펙에서 nextjs로 개편하는 프로젝트입니다.
[기술스택]
typescript, react, nextjs, valtio
[주요내용]
레거시 코드를 최대한 이관하여 테스트코드를 작성하여 안정성을 높였습니다.
클래스 기반의 레거시 코드를 최대한 활용하기 위해, valtio라는 프록시 기반 상태관리 라이브러리를 사용했습니다.
nextjs static build를 통해 CSR 배포를 진행했습니다.
인프랩
인프런 강의 목록 페이지 개편
[프로젝트 설명]
인프런의 강의들을 탐색할 수 있는 페이지인 강의 리스트 페이지를 레거시 스펙인 express + ssr에서 nextjs로 개편하는 프로젝트 입니다.
[기술스택]
typescript, react, nextjs
[주요내용]
공통적으로 다양한 곳에서 사용되는 강의카드를 공통 컴포넌트화 했습니다.
LCP 모니터링 및 대시보드 구축으로 항상 페이지 속도를 신경 쓰도록 환경을 구축했습니다.
인프랩
인프런 강의 상세 빌더 제작
[프로젝트 설명]
인프런에서 지식공유자들이 사용할 강의 소개글을 워드프레스와 비슷한 형태로 제작할 수 있도록 하는 프로젝트 입니다
프로젝트 구축 및 데이터 흐름을 설계하고 빌더 개발을 담당하였습니다.
[기술스택]
typescript, nextjs, react, craft.js(빌더 라이브러리)
[주요내용]
- 강의 빌더를 오픈하여, 기존에 에디터분들이 작성하시던 업무를 줄이고, 오픈된 강의 수를 50% 증가시켰습니다.
- express를 이용한 SSR과 react 환경에서 동일한 결과물을 보여주기 위한 데이터 저장방식을 도입했습니다.
- 빌더 결과물을 정적 분석하여, SEO를 검사하는 익스텐션을 개발했습니다.
- 노출되는곳과 수정하는곳의 차이가 있어야 하는 상황에서, 데이터 추출 시에 전처리 프로세스를 개발하여 처리하였습니다.
인프랩
인프런 로드맵 개선 및 기술스택 전환
[프로젝트 설명]
인프런 서비스에서 여러개의 강의를 묶어서 순서대로 학습할 수 있게 한 로드맵 기능을 신규스택으로 전환과 동시에 추가 기능을 개발 하는 프로젝트입니다.
기존의 express로 된 로직을 분석하여 누락된 기능을 문서화하고 이를 신규 스택으로 개발하였습니다.
[기술스택]
react, typescript, next
[주요내용]
로드맵의 사용성을 개편하여, 로드맵 참여수는 42%, 완주수는 76% 를 증가시켰습니다.
모노레포로 관리되던 기존 프로젝트들의 유령 의존성들을 해결하기 위해서 패키지 관리자를 pnpm으로 교체하였습니다.
pnpm으로 교체하는 과정에서, devops와의 협업으로 pnpm store를 캐싱하여, cache hit 시에 2분가량 걸리는 install을 5초 이내에 완료되도록 구성하였습니다.
lighthouse SEO와 성능 점수를 60점 에서 90점 이상으로 향상시켰습니다.
datadog을 이용하여 로깅 및 에러, LCP 모니터링 시스템을 구축하였습니다.
structure data를 활용하여 SEO를 증진시켰습니다.
인프랩
2023 인프콘 티저, 메인페이지 개발
[프로젝트 설명]
2023 인프콘에 사용할 티저, 메인페이지를 개발하는 프로젝트 입니다.
[기술스택]
티저페이지: javascript, express
메인페이지: gatsby, typescript, motion(framer)
인프랩
2022 인프콘 티저, 메인 페이지 제작
[프로젝트 설명]
2022 인프콘에 사용한 티저 페이지와 메인페이지를 개발하였습니다.
[기술스택]
- 티저페이지: typescript, react
- 메인페이지: wordpress, php
[주요내용] - 티저페이지 개발 시에 하루의 기간동안 빠른 처리와 비용 절감을 위해서 cloudflare의 정적 배포를 이용하였습니다.
- 하루만에 만든 페이지만, 하루 실사용자 8000명 가량을 처리하였습니다.
인프랩
개발자 커리어 플랫폼 (랠릿)
[프로젝트 설명]
개발자 커리어 관리 플랫폼인 랠릿을 개발하는 프로젝트 입니다.
구직자가 사용하는 B2C, 기업에서 사용하는 B2B, 어드민 중에서 B2B의 프론트엔드 개발을 담당하였습니다.
[기술스택]
- react, typescript, react-hook-form
[주요내용] - 랠릿용 자체 디자인 시스템을 개발 및 유지보수 하였습니다.
- redux로 작업된 form state 로직을 dx와 성능을 위해서 react-hook-form으로 재개발 하였습니다.
- 지표 세팅이 되어있지 않은 상황에서 신규 서비스 데이터 확보를 위해 PO와 소통하여 GTM과 GA를 이용해 환경을 구축했습니다.
개인
resume base
개발자 이력서를 기반으로 면접 질문을 생성해주는 사이드 프로젝트입니다.
프로젝트 기획 및 디자인, 백엔드 개발, 프론트엔드 개발, 인프라 구축까지 모두 혼자 담당하였습니다.
(현재 서비스 종료)
관련 글 : https://dis.qa/Kxb3
교육
대덕소프트웨어마이스터고등학교
고등학교 | 소프트웨어개발과
2019.03. ~ 2022.01.
졸업
대외활동
인프랩
인프콘 2024 패널토크
인프콘 2024에서 "목적 조직 구조 안에서 개발팀이 일하는 법" 이라는 주제로 패널토크를 진행했습니다.
https://www.inflearn.com/conf/infcon-2024/session-detail/904/
2024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제6회 sw융합 해커톤 대상
사용하지 않고 폐기되는 식재료를 공유 냉장고에 등록 및 교환하는 플랫폼을 기획, 개발하여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상을 수상하였습니다.
2019
자격증
정보처리기능사
기능사 | 한국산업인력공단
2019.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