채용공고 올리기

김다연님을 응원해보세요!

지금 만족하고 있어요
협업 지향
목표 지향적
꼼꼼함
효율적
리더십

미리보기

기본 정보

이름
김다연
직업
프론트엔드
간단 소개

주어진 환경에서 안주하지 않고 새로운 방식을 찾는 습관을 가지고 있습니다. 문제점을 파악한 후 개발 프로세스를 점진적으로 개선해 나간 경험이 있습니다. 최신 기술과 효율적인 방식을 탐구하는 데에 열정을 가지고 목표 설정 후 방향성을 가지고 행동합니다.

기술 스택

기술 스택

React, TypeScript, react-query, Vue.js, JavaScript, vitejs, Sass, storybook, supabase

프로젝트

프로젝트명

POV(Point Of Views)

소속/기관명

LG U+ SW교육과정 프론트엔드 1기

프로젝트 기간

2024.11. ~ 2024.12.

프로젝트 내용

프로젝트 요약

영화 취향이 비슷한 사람들과 클럽을 만들고 함께 리뷰를 공유할 수 있는 소셜 플랫폼

담당 업무

  1. 컴포넌트 설계 및 개발 [적용 과정 블로그]

  • Atomic Design Pattern 적용하여 일관된 컴포넌트 설계 및 개발

  • 재사용성과 사용자 정의 가능성을 고려하여 컴포넌트 분리 결정

  • 디자인 시스템 명칭 및 property 타입을 고려하여 100%의 atom 및 molecule 구현

  • NPM으로 배포하여 버전관리유지보수성 보장

2. 데이터 캐싱 최적화

  • react-query를 도입하여 데이터 캐싱 최적화 + 데이터 신선도 유지

  • useInfiniteQuery을 통해 무한스크롤을 구현하여 데이터 로딩 시간을 감축

  1. React 18 버전의 Concurrent Rendering을 적용

  • Suspense, ErrorBoundary을 적용하여 사용자 경험 및 UI 안정성을 개선

  • useApiError hook 유틸함수 작성 - 에러 핸들링을 설계하여 에러 발생 시 유저에게 가이드라인 제시

  1. UI 접근성 향상

  • 라이트테마, 다크테마를 구현하여 유저의 접근성을 향상

  • Moblie과 PC 2가지 버전의 반응형 UI를 구현

  • React-quill 라이브러리를 커스텀하여 글 작성 시 풍부한 에디터를 제공

  • tosspayments-sdk 사용한 간편한 PG 결제를 진행

프로젝트명

PETSTIVAL

소속/기관명

LG U+ SW교육과정 프론트엔드 1기

프로젝트 기간

2025.10. ~ 2025.10.

프로젝트 내용

프로젝트 요약

반려동물 관련 커머셜 상품을 구매할 수 있는 쇼핑 플랫폼

  • 기술스택: React, Vite, JavaScript, Axios, Zustand, Material UI, Styled-Component, ESLint, Prettier, Supabase(Edge Function + Deno), Vercel

  • [프론트엔드 레포지토리]

담당 역할

  • Frontend 팀원 5명 중 기획 및 개발 리드를 담당

  • 모바일 퍼스트(moblie-first) 환경 구축으로 사용자 친화적인 사용성 제공

  • Supabase Edge Function을 사용한 모든 주문, 결제 로직을 담당하며 커머스 서비스 로직 경험

  • 홈 페이지, 주문 상품 페이지, 페스티벌 페이지, 마이 페이지 담당

  • 페스티벌 참여 인증 기능 및 현장 QR 체크로 강화된 비즈니스 로직을 제공

프로젝트명

Gather-U

소속/기관명

LG U+ SW교육과정 프론트엔드 1기

프로젝트 기간

2024.09. ~ 2024.09.

프로젝트 내용

프로젝트 요약

반려동물 관련 커머셜 상품을 구매할 수 있는 쇼핑 플랫폼

담당 역할

  • 팀장으로서 기획 및 Frontend, Backend 개발 리드를 담당

  • 클라이언트 및 서버 보일러 플레이트를 설정하고 팀원들에게 풀스택 개발 방법을 공유

  • React Webpack -> Vite로 마이그레이션 - 빌드속도 7.66s -> 4.94s 로 2배 가량 개선

  • 회원가입로그인 구현 - Auth를 적용하여 안전한 인증 및 인가 시스템 구축

  • 카카오맵 API를 활용한 위치 검색 기능 구현 및 장소 정보를 지도로 제공

  • FullCalendar로 한 눈에 파악하기 쉬운 편리한 캘린더 정보를 제공

경력

회사명

안랩 나온웍스

직급 | 부서 | 근무 유형

인턴 | 제 1 연구소

근무 기간

2023.08. ~ 2024.01. (6개월)

담당 업무

수행 프로젝트 상세

국가보안기술연구소 아웃소싱 - SPTB(Scenario-Protocol-Test-Bed) 웹 개발

  • 서비스 구분 : 솔루션

  • 사용 기술 : Vue3, TypeScript, pinia, Sass, Quasar, Springboot, Spring Security, MariaDB, Kotlin, Gitea, jenkins

주요 내용

  • Web 프론트엔드, 백엔드 풀스택 개발

  • 기존 레거시 실행파일을 웹(Web)페이지로 전환

  • 기존의 페인포인트(pain-point)의 개선점을 찾아 클라이언트가 보다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개선

  • 시나리오 기반 제어 프로토콜(Modbus, OPCUA) 시험 환경 구축

[Frontend]

1. 회원가입 및 로그인

  • JWT 만료 시 Regen Token으로 클라이언트 로직 구현 및 적용

  • 로그인 시에만 이용 가능하도록 페이지 보안 가드 설정

2. 메인 페이지

  • 로컬 스토리지를 활용하여 최근 설정 항목 리스트 즐겨찾기 기능 제공

3. 프로토콜 통신 설정 입력 페이지 및 결과 출력

  • 유효성 검증을 통한 입력값 설정

  • 설정값 저장 후 실시간 로그 데이터 출력 페이지 이동

4. 로그 조회 페이지

  • 날짜에 따라 해당 데이터 로그 조회 기능 구현

[Backend]

WhiteList IP를 구현하여 보안 강화

  • Data JOOQ로 접근 가능 IP, 활성화 관련 데이터 DB 관리

  • WhiteList IP CRD 기능 및 API 구현

  • IP filter 구현하여 허용 여부 판단 및 Security Filter 테스트

[CI/CD]

Jenkins & GITEA webhooks

  • 형상 관리를 위해 Gitea 이벤트 발생 시 jenkins에서 build 이후 배포 및 서비스 자동화 단계까지 진행

포트폴리오

URL

link

포트폴리오

노션
link

깃허브

깃허브
link

블로그

URL 링크

교육

소속/기관명

LG U+ SW교육과정 프론트엔드 1기

종류 | 전공

사설 교육 | SW 엔지니어

재학 기간 | 재학 상태

2024.06. ~ 2024.12. | 수료

소속/기관명

광운대학교

종류 | 전공

대학교(학사) | 데이터사이언스학부

재학 기간 | 재학 상태

2020.03. ~ 2024.02. | 졸업

소속/기관명

인천해원고등학교

종류 | 전공

고등학교 | 인문계

재학 기간 | 재학 상태

2017.03. ~ 2020.02. | 졸업

대외활동

활동명

LG U+ 유레카 프론트엔드 1기

소속/기관명

LG U+

연도

내용

교육 내용 요약

  • 웹개발 기초: Java 기초, 알고리즘, Springboot 기초, HTML, CSS, JavaScript, React

  • LG U+ 현직자 멘토링 진행

  • 알고리즘 & CS 스터디 진행

관련 팀 프로젝트

  1. 미니 프로젝트 -> 커뮤니티 플랫폼 웹 서비스(자율 프로젝트) Gather-U 프로젝트 수행

  2. 종합 프로젝트 -> 반려동물 커머스 플랫폼 관련 프로젝트 PETSTIVAL 프로젝트 수행

  3. 3⃣ 최종 융합 프로젝트

    -> 영화 및 소셜 플랫폼 관련 프로젝트 POV 프로젝트 수행

수상

  • 종합 프로젝트 부분 최우수상 수상

자격증

자격증명

정보처리기사

점수 | 발급기관

한국산업인력공단

취득연월

2024.09.

자격증명

SQLD

점수 | 발급기관

한국데이터산업진흥원

취득연월

2024.04.

자격증명

ADsP

점수 | 발급기관

한국데이터산업진흥원

취득연월

2021.09.

자기소개

자기소개

점진적으로 성장하는 재미로 개발합니다.

웹 개발에 대한 열정을 가지고 인턴, 교육을 수강하며 새로운 기술들을 습득한 경험이 있습니다. 인턴을 하며 Vue.js로 인터페이스를 개발하는 재미를 느꼈지만, 더욱 광활한 FE 기술을 접해보고 싶어 React를 배우기 위해 교육을 수강했습니다. React 라이브러리의 무한한 가능성과 꾸준히 업데이트되는 최신 기술들을 접하면서 최적화에 대해 관심이 많아졌고, 프로젝트를 더욱 효율적인 로직으로 구현하기 위해 여러 레퍼런스를 찾아보는 등의 노력을 거쳐 사용자 경험개발자 경험을 향상시키는 방식을 점진적으로 알아가게 되었습니다.

프로젝트를 진행할 때, 여러 팀원들과 각기 다른 방식으로 개발하게 되면서 컴포넌트 중복 및 재사용성 부족에 대한 비효율성과 결국 일관된 사용자 경험 제공이 어려워진다는 문제점을 파악했습니다. 따라서 디자인 시스템을 구축하여 개발자 경험 및 사용자 경험을 향상시키는 방식을 도입하며 기존의 문제점을 해결하였습니다.

또한, 데이터 캐싱 및 최적화를 위해 react-query를 도입하고, 결국 데이터 로직과 컴포넌트 로직을 분리함으로써 효과적인 관심사 분리로 깔끔한 코드를 작성할 수 있었습니다.

현재는 새로운 프레임워크를 접해보는 기회로 최적화에 유리한 Next.js로 블로그를 운영하며 개발 경험을 공유하는 일을 꾸준히 하고 있습니다.

문서 작성을 통한 커뮤니케이션 작업을 우선시합니다.

동료 개발자와 원활한 협업을 위해 Notion을 활용한 문서 공유 및 기술 적용 과정을 기록하는 등 효율적인 커뮤니케이션 방법을 제시해왔습니다. 개발 문서 템플릿을 제시하며 기록 및 공유의 탁월한 장점을 전파하며 하나의 커뮤니케이션 문화로 자리 잡게 되었습니다.

더불어 주요 개선 사항에 대해서는 PR(Pull Request)을 작성할 때 변경사항 및 테스트 결과 명확히 기술하고, 출처를 분명히 남기는 등 꼼꼼히 작성하여 개발자 간 기술 격차가 벌어지지 않도록 신경 쓴 경험이 있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