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리보기
기본 정보

기술 스택
Java, Spring Boot, Spring Security, spring-jpa, MySQL, aws-ecs, Docker, swagger
프로젝트
혼밥 메이트 매칭 서비스, 맛잇팅
2023.10. ~ 진행 중
[개요]
혼자 먹는 것이 어려운 메뉴나 음식을 공유하거나 새로운 사람들과 소통하면서 식사를 즐기고 싶은 사람들을 위한 식사 메이트 매칭 서비스
[담당역할]
FE 3, BE 3 중 백엔드 담당
[기술스택]
Java, Spring boot, MySQL, S3, Docker
[개발내용]
- No-offset 기반 페이지네이션 구현
- 위치 기반 서비스, 카카오 오픈 API 사용
- @Scheduled 사용을 통한 파티 상태 변경 작업 주기적 자동 실행
- API 명세서 Swagger 3.0 적용
- 도커 이미지 빌드 후 도커 허브를 이용하여 배포
북마크 공유 서비스, Twincle
2023.04. ~ 2023.08.
[개요]
관심있는 링크를 북마크하고 유저들 간에 공유할 수 있는 서비스
[담당역할]
Design 1, FE 2, BE 2 중 백엔드 담당
[기술스택]
Java, Spring boot, MySQL, AWS EC2
[개발내용]
- Spring Security를 활용하여 소셜 로그인 기능 구현
- GitHub Actions을 사용한 배포 자동화(CI/CD) 구축 및 AWS CLI 배포
- REST API를 기반으로 통신
포트폴리오
자격증
AWS Certified Cloud Practitioner
AWS
2023.10.
SQLD
한국데이터산업진흥원
2023.10.
정보처리기사
한국산업인력공단
2022.06.
자기소개
[솔선수범하는 개발자, 팀 전체의 효율성과 성과를 높이다]
저는 항상 팀워크나 협업에 대한 중요성에 대해 항상 강조하며 살아왔습니다.
이러한 가치관은 학창시절부터 다양한 조직 안에서 제가 먼저 팀원들을 도와주려는 노력과 솔선수범하고 주어진 일에 대한 책임감을 발휘할 수 있는 협업역량으로 이어졌습니다. 그리고 광주인공지능사관학교에서명의 팀원과1차 프로젝트를 진행하는 과정에서도 팀워크를 높이는 데 큰 도움이 되었습니다.
머신러닝 모델링을 통한 금 시세 예측 서비스를 개발하는 프로젝트에서 머신러닝 모델링을 하기 위해 데이터 수집하고10개의 파일을3명의 팀원이 나누어 데이터 전처리를 하기로 했습니다. 저는10개 중4개의 파일을 맡아 작업을 했습니다. 그런데2개의 파일 전처리를 맡은 팀원이 주피터 노트북에서 판다스를 통해 작업하는 것이 서툴러 진행 속도가 매우 느렸고,
이로 인해 기한 내에 일을 처리하는 것이 어렵다고 판단했습니다. 이에 데이터 전처리하기 위해 필요한 코드에 주석으로 설명을 추가한 파 일을 해당 팀원에게 공유하고, 팀원이 파일에 정리된 내용을 보고 작업할 수 있도록 적극 도왔습니다. 데이터 전처리 방법을 정리한 파일은 해당 팀원의 업무 효율을 높였을뿐만 아니라, 프로젝트 과정 내 내 전체 팀원이 공유하면서 추가로 작업해야 하는 경우 유용하게 사용됐습니다. 이렇게, 솔선수범하는 협업역량으로 실제 프로젝트에 있어서도 어떤 문제가 발생하여도 이를 적극적으로 해결하는 모습을 보여드리겠으며 실무 특성상 혼자서 이뤄나가는 것이 아니라 팀의 모두와 함께 문제를 협업능력으로 극복해내는 긍정적인 시너지를 이끌어 내는 개발자로 성장하겠습니다.
[모든 데이터 삭제의 위기, 빠른 대응과 협업으로 극복하다]
광주인공지능사관학교에서 5개월간 배운 내용들을 바탕으로 하는 최종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던 도중 여태까지 배우고 정리했던 파일과 프로젝트 데이터 분석 코드들이 있는 파일들이 모두 삭제되는 일이 생겼습니다. 이로 인해 프로젝트에서 사용해야하는 데이터 분석 내용들이 모두 다 사라져 프로젝트 일정에 차질이 생기는 문제가 발생했습니다.
좌절스러운 상황이었지만, 침착하게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는 생각으로 대책을 마련했습니다. 팀원들에게 현재 문제 상황을 알리고, 함께 해결할 수 있는 부분과 해결이 불가능한 부분을 논의하였습니다. 이를 통해 2가지 대안을 마련했습니다. 1)데이터 백업을 위한 조사와 실행: 각종 데이터 백업 프로그램, 사이트를 검색해서 최대한 파일을 복구했습니다. 결국 전체 파일을 복구하지는 못했습니다. 다행히 팀원들과 다같이 성장하자는 생각으로 제가 팀원들에게 전송했던 수업 내용 정리 파일들이 있어, 팀원들의 도움을 받아 사라졌던 파일들을 일부 되찾았습니다.
2) 프로젝트 일정 변경 요청; 데이터 분석을 처음부터 다시하느라 프로젝트 일정이 2~3일이 밀릴 것으로 예상했습니다. 팀원들에게 충분히 양해를 구하고 이틀간 프로젝트에서 사용해야 할 데이터 분석 파일들을 새로 만들어서 팀원들에게 다시 공유했습니다. 그리고 다음 일정인 머신러닝 모델링, API 구축 과정에서 일정을 재분배하여 이전보다 타이트하게 작업을 했습니다.
그 결과, 빠른 대책 마련과 팀원들의 적극적인 협조를 통해 문제 없이 프로젝트를 잘 마무리할 수 있었습니다.
이 경험을 통해 데이터 백업의 중요성을 알게 되었으며, 클라우드 서비스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저장, 백업해두는 습관을 들이게 되었습니다. 또한 문제 상황 속에서 합리적인 대응방안을 마련하고 팀원들과 협업해 나갈 수 있는 이성과 협업의 태도 또한 배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