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리보기
기본 정보

현대적인 기술 스택을 활용한 서버 개발에 큰 열정을 가진 백엔드 개발자 박서현입니다. 현대적인 기술 스택이라 하면, 넓게는 현재 개발자들이 사용하는 모든 기술 스택이라고도 할 수 있습니다. 그 중에서도 실시간성 과 관련된 기술 스택에 많은 관심이 있습니다. 유저와 유저, 서비스와 유저 그리고 개발자와 유저들 간의 상호작용 을 실시간으로 전달하고, 보여줄 수 있도록 하는 기술 스택들에 관심이 많습니다.
기술 스택
Docker, AWS, Node.js, TypeScript, TypeORM, JPA, Google Cloud Platform, REST API, GraphQL, NestJS, MySQL, webstorm, Java, PHP
경력
주식회사 플필
사원 | 개발팀 | 재직 중
2024.06. ~ 재직 중 (11개월)
플필 ( https://plfil.com/ )
Backend Developer
팀 구성 : 프론트엔드 1명, 백엔드 1명
● 온라인 캐스팅 플랫폼
● Backend Developer
● DB 스키마,API 설계, 도메인 모델링 및 백엔드 개발
- 배우 프로필 조회, 추가, 수정, 삭제 관련 백엔드 개발
- 약 2만 명의 배우 프로필 조회 시, 속도 개선
● AWS 인프라 관리 및 대응
● 스프린트 방식의 프로젝트 진행 및 애자일 기반 태스크 관리 문화 구축 - Notion 을 활용하여, 소규모 팀에 적합한 업무 관리 툴 을 만들고, 업무 관리에 적극적 참여
Node.js / NestJS /TypeORM / REST API / AWS / MariaDB / Git
Python3, AWS Lambda
주식회사툰스퀘어(Toonsquare)
사원 | 개발팀
2023.05. ~ 2024.05. (1년 1개월)
투닝 보드 ( https://tooning.io/board )
Backend Developer, Technical Project Manager
팀 구성 : 디자이너 1명, 프론트엔드 1명, 백엔드 1명
● 교육용 실시간 협업 툴 서비스
● Backend Developer, Technical Project Manager
● DB 스키마,API 설계, 도메인 모델링 및 백엔드 개발
- 보드 내 사용자별 개별 권한 부여하는 로직
- 보드 내 설정, 그룹 및 포스트 작성, 포스트에 대한 댓글 및 리액션 남기기 기능 개발
- 개발 보드 내부 사용자들 간의 실시간 동기화 기능 개발
● GraphQL의 Resolver에서 단일 책임을 가진 구조로부터 Controller, Service, Repository 패턴을 적용하여 레이어 분리
● Custom Repository 도입
● Jest 를 활용한 단위 테스트 작성과 테스트 문화 정착
● 요구 사항 분석, 일정 관리, 업무 배분, QA 전반 관리
● 스프린트 방식의 프로젝트 진행 및 애자일 기반 태스크 관리 문화 구축 - 약 2개월 내에, mvp 수준의 서비스 개발 성공 및 런칭
Node.js / Fastiyfy /TypeORM / Graphql / AWS Appsync / MySql / Git
Angular / ionic framework
투닝 월드 ( https://world.tooning.io )
Backend Developer
팀 구성 : 디자이너 1명, 프론트엔드 2명, 백엔드 2명
● 글로벌 웹툰 커뮤니티 서비스
● Backend Developer
● 기존 모노레포에서, 북미 대상으로만 서비스하기 위해, 투닝 월드 소스 코드 분리
● GraphQL의 DTO 개념을 적용한 Input, Output 데이터 클래스 설계 및 리팩토링
● Docker compose 를 이용하여, 로컬 개발 환경 최적화에 기여
● 비즈니스를 위한 기여
- i18n 라이브러리를 활용하여 다국어 지원을 위한 번역 기능 적용 및 파이프라인 구축
- Google Analytics 4와 Google Tag Manager를 이용한 사용자 행동 추적 이벤트 설정
Node.js / NestJS / Fastiyfy / TypeORM / Graphql / Rest API / MySql / Git / Docker, compose
(주)맵시
팀원 | 개발팀
2023.03. ~ 2023.05. (3개월)
맵시 스트림
Backend Developer, Technical Project Manager
팀 구성 : 기획자 1명, 디자이너 1명, 프론트엔드 1명, 백엔드 2명 ( Netty Server 1명, API Server 1명 )
● 실시간 선박 데이터 처리 및 선박들의 항해 정보를 열람할 수 있는 서비스
● Backend Developer, Technical Project Manager
● 전체 아키텍처 설계, 데이터베이스 스키마, API 설계, 도메인 모델링 및 백엔드 개발
● 여러 개의 서버에서 발송되는 실시간 선박 데이터의 송×수신 및 디코딩을 위한 AIS Hub Netty Server 개발
- AISHUB 외부 TCP 서버에서 1일 10GB, 초당 120KB 으로 전송되는, 시계열 데이터를 서비스 성격에 맞게, 선박별 위치 데이터로 DB 적재
● Google Cloud Platform의 Cloud Build를 활용한 배포 자동화 구축
● 요구 사항 분석, 프로젝트 일정 관리, 업무 분담 및 QA 전반적인 진행 관리
Java / Spring Boot / Netty / Webflux / Socket / GCP / MySql / Git
주식회사카운터컬쳐컴퍼니
팀원 | 개발팀
2021.07. ~ 2022.06. (1년)
EDKPOP ( https://edkpop.com )
Junior Software Engineer
팀 구성 : 디자이너 1명, 프론트엔드 1명, 백엔드 1명, 풀스택 2명
● 글로벌 K-POP 교육 플랫폼에서 해외 결제 PG사(PayPal, Stripe 등) 연동 및 결제 기능 개발 담당
- 고객의 구매 과정에서 주소와 추천인 코드를 수집하는 과정 관리
- 결제 완료 시 Webhook을 통해 전송된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 시스템 구현
- 결제 처리를 위한 다양한 PG사의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전략 패턴을 적용함으로써 코드 재사용성과 유지보수성 개선
● Php, JavaScript, HTML, CSS가 혼합된 레거시 코드에서 UI와 비즈니스 로직을 분리하여 시스템의 유지보수성을 개선하고, 마이그레이션 작업에 기여
● phpunit 을 활용하여, 단위 테스트 작성
● 비즈니스 발전을 위한 기술적 기여
- 글로벌 서비스의 사용자 경험을 향상시키기 위해 다국어 번역 기능을 적용하고 관련 파이프라인 구축
- Google Analytics 4와 Google Tag Manager를 활용하여 사용자 행동을 추적×분석하는 이벤트 설정
Php / phpunit / HTML CSS / Javascript / Git / Jira / Confluence
EDKPOP Blog ( https://edkpop.com/blog/board )
Junior Software Engineer
팀 구성 : 디자이너 1명, 풀스택 1명
● EDKPOP 매니저들이 수강생들과 효율적으로 소통할 수 있는 서비스 개발
● 프로젝트 요구사항 정의, 시스템 설계, 개발 실행, QA, 그리고 코드 리팩토링 전반 진행
● 기존 절차지향적 접근에서 객체지향적 패러다임으로 전환하며, 로깅 메커니즘 전반에 걸친
리팩토링 수행
● CKEditor 라이브러리를 통합하여 사내 직원들이 사용하기 쉬운 블로그 플랫폼 개발
Php / phpunit / HTML CSS / Javascript / Git / Jira / Confluence
교육
고려대학교 세종
대학교(학사) | 사회학과
2013.03. ~ 2018.02. | 졸업
거제옥포고등학교
고등학교 | 문과
2010.03. ~ 2013.02. | 졸업
대외활동
커리어 NEXTSTEP 1기 수료
NEXTSTEP
2024
교육과 학습이 업무 성과에 직접적으로 기여하도록 하는 것에 초점을 둔 교육과정입니다.
- Domain Modeling 작성하기
- System Architecture diagram 작성하기
- Task(or issue) list 또는 WBS(gantt chart) 작성하기
위와 같은 과제를 수행하며, 실무와 동떨어진 공부가 아닌, 실무 속에서 더욱 성장할 수 있는 방향에 대해 고민하고, 공유하고, 배웠습니다.
현재는 기수장으로 활동하였으며, 교육 과정 종료 후에도, 정기적으로 네트워킹 모임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자격증
정보처리기사
필기 합격 | 한국산업인력공단
2024.03.
OPIC
intermediate Mid(IM) 1 | ACTFL
2019.10.
외국어
영어
일상 회화 가능
자기소개
현대적인 기술 스택을 활용한 서버 개발에 큰 열정을 가진 백엔드 개발자 박서현입니다.
현대적인 기술 스택이라 하면, 넓게는 현재 개발자들이 사용하는 모든 기술 스택이라고도 할 수 있습니다. 그 중에서도 실시간 성 과 관련된 기술 스택에 많은 관심이 있습니다. 유저와 유저, 서비스와 유저 그리고 개발자와 유저들 간의 상호작용을 실시간으로 전달하고, 보여줄 수 있도록 하는 기술 스택들에 관심이 많습니다.
그리고, 급변하는 현대 사회 속에서, 유저들의 피드백을 빠르고 정확하게 반영하기 위한 노력도 끊임없이 하고 있습니다.
그 일환으로, 사내 레거시 코드 Node.js GraphQL 프로젝트를 NestJS, Spring 의 MVC 구조를 참고하여 점진적 리팩토링을 진행했습니다. DTO 도입, 단일 레이어에서, Controller / Service / Repository 레이어 분리, Base Entity Object 생성 등과 같은 작업들을 통해, 중복 코드를 줄이고, 코드 안정성을 높였습니다. 이러한 작업들은 이후, 기능 확대 및 수정을 빠르게 반영하는 데 밑거름이 되었습니다.
이는 신규 프로젝트 Tooning Board(투닝 보드) 서비스 런칭 후, 6개월 동안 누적 약 2만 명의 유저 확보에 큰 기여를 하였습니다.
또한, 안정적인 서비스 제공을 위해 테스트 주도 개발(TDD) 문화를 도입하는 데 앞장서고 있으며, 코드의 신뢰성을 높이는 데에도 소홀히 하지 않으려고 노력하고 있습니다.
그 외에도, 프로젝트 관리에 있어서도 능동적이고 효과적인 접근을 추구하는 저는, 앞으로도 지속적인 성장과 혁신을 통해 백엔드 개발 분야에서 중추적인 역할을 하고자 합니다.
Q. 개발 공부를 시작하게 된 계기는?
대학 시절 전공한 사회학 전공 과목인, 문화 정책 수업에서, 개발자가 되겠다는 꿈을 가지기 시작했습니다.
1인 가구 증가 추세와 더불어, 홀로 밥먹는 사람들이 증가하며, 이들이 "혼자 먹고싶어하지만, 동시에 함께 먹고싶어한다." 라는 욕구가 존재함을 확인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정책안으로, "소셜 다이닝"을 위한 플랫폼을 제안하였습니다. 이 때, 실제 서비스 중이었던, 소셜 다이닝 관련 서비스의 모임들을 분석하여, 지속성이 높은 모임의 특징들을 정리하여 발표하였습니다.
제안에만 그치지 않고, 이를 어떻게 실제로 만들고, 운영할 건 지에 대한 고민을 하던 중, 내가 만들어보고싶다. 라는 생각을 시작으로, 안드로이드 개발 공부를 시작하였습니다.
Q. 개발자로서, 미래 계획은?
향후 10년 간은, 개발자로서의 경험을 충분히 하고싶습니다.
그 이후에는, 개발 관련 교육 분야 혹은 프로젝트 매니징 업무에 관심이 있습니다.
개발자로서의 경력 이전 경험들,
초, 중등 학원에서 수학을 약 2년 가르친 경험과,
대학 시절, 사회학을 전공하며, 팀을 이끌고, 발표했던 경험들과 약 10년 간의 개발 실무 경험들이 모이면, 큰 빛을 발할 것이라 기대합니다.
이렇듯, 개발 능력 뿐만 아니라, 인문학적 소양을 갖춘 개발자, 박서현 에 대해서 궁금하다면,
연락주세요. 커피챗도 환영합니다. Email Github Linked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