채용공고 올리기

김정욱님을 응원해보세요!

지금 만족하고 있어요
성실함
책임감
학습 지향
효율적
고객 중심

미리보기

기본 정보

이름
김정욱
직업
백엔드 개발자
간단 소개

기술 스택

기술 스택

Java, TypeScript, Python, Spring, Spring Boot, Node.js, NestJS, Docker, Git, GitHub, MySQL, PostgreSQL, Oracle, REST API, GraphQL

경력

회사명

넥스엔정보기술(주)

직급 | 부서 | 근무 유형

연구원 | 기업부설연구소

근무 기간

2021.12. ~ 2024.01. (2년 2개월)

담당 업무

도청 민간데이터 전처리 후 시/군별 적재, 데이터 활용 축제 분석, 데이터 시각화 업무 진행

회사명

주식회사가치데이타

직급 | 부서 | 근무 유형

인턴

근무 기간

2021.09. ~ 2021.11. (3개월)

담당 업무

C# Window form을 활용해 데이터베이스 관리 솔루션 개발

회사명

주식회사선도소프트

직급 | 부서 | 근무 유형

인턴

근무 기간

2021.07. ~ 2021.08. (2개월)

담당 업무

EXCEL VBA를 활용해 설문 자동화 후 시각화 프로그램 생성

포트폴리오

URL

link

https://kimbob.pages.dev/%EB%82%B4-%ED%94%84%EB%A1%9C%EC%A0%9D%ED%8A%B8/%EC%9E%90%EC%B7%A8%EC%83%9D-%EC%BB%A4%EB%AE%A4%EB%8B%88%ED%8B%B0

URL 링크

자격증

자격증명

정보처리산업기사

점수 | 발급기관

한국산업인력공단

취득연월

2022.06.

자격증명

리눅스마스터 2급

점수 | 발급기관

한국정보통신진흥협회

취득연월

2022.12.

자격증명

SQL개발자(SQLD자격)

점수 | 발급기관

한국데이터베이스진흥센터

취득연월

2023.04.

자기소개

자기소개

성장과정

어릴 때 저는 "성실"의 뜻을 무척이나 궁금해 했습니다. 아버지가 직접 나무를 베어 만든 벽시계에 우리집 가훈이라며 정성 성자, 참될 실자를 새겨놓으셨기 때문입니다. 어머니에게 물어보면 아버지같은 사람을 성실하다고 하는 것이라고 알려주셨습니다. 그 때의 저는 그 말이 와닿지 않았습니다. 그러나 자라면서 성실의 뜻을 알게 되고 아버지가 보여주셨던 멋있는 모습들이 전부 성실이라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맡은 일에 대해 책임감이 강하고 끝을 보는 성격이셨고, 이 덕분에 주변으로부터의 평판이 좋으셨습니다. 아버지의 성실한 모습을 보며 자라다 보니 저도 본인이 하는 일에 자부심을 가지고 프로 의식을 가지는 모습을 본받고 싶었습니다. 이러한 영향으로 저는 무엇보다 제가 하고싶어 하는 일을 찾는 것을 우선시하였고 제가 사랑하는 분야의 일을 하면서 주변 동료들에게 좋은 영향을 줄 수 있는 사람이 되기를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성격의 장단점

저는 제가 맡은 일이 제가 만족할 만한 완성도에 부합하지 않으면 만족할 때 까지 더 해보려는 성격을 갖고 있습니다. 이는 저 스스로는 장점인 성격으로 생각하지만, 단점으로 다가올 때도 있습니다. 업무시간이 끝났음에도 잘 풀리지 않은 부분에 대해 어떻게 해결할 수 있을지 계속 생각이 나고, 요구사항보다 더 가서 사용자가 편하도록 굳이 추가하지 않아도 되는 기능을 넣곤 합니다. 이런 제 성격은 일을 하고 있는 중에는 제가 저 스스로에게 피곤해 하기도 하고 누군가는 필요한 것만 빨리 끝내라고 하기도 합니다. 한 예로 인턴을 했을 때 하나의 프로젝트를 저 혼자 맡게 되었고 저는 처음 써보는 도구인 VBA로 프로젝트를 진행해야 했습니다.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VBA에 대해 점점 알게되고 제가 지금까지 만들어 오던 프로그램에 수정하기 힘든 허점들이 보이기 시작했습니다. 결과적으로 오랜 노력을 쏟은 프로그램을 3번이나 처음부터 다시 만들었습니다. 이 프로그램을 사용할 사용자에게 부끄러웠기 때문입니다. 물론 프로젝트 일정은 지키는 선에서 보완을 했고, 클라이언트의 만족으로 프로젝트는 잘 마무리하여 회사에 정규직 제안을 받을 수 있었습니다. 업무를 진행할 때 일정을 지키는 선에서 저의 이러한 성격을 활용하여 장점으로써 활용할 예정입니다.

직무관련 준비사항

원래 웹 개발 업무를 주로 하는 곳에서 근무를 한 것이 아니었다보니 온전히 웹 개발 공부를 위한 시간을 가져야겠다는 생각을 했습니다. 웹 개발을 하기로 마음먹은 후인 2024년 1월에 다니던 직장을 그만두고 1년동안 웹 개발의 전문성을 쌓기 시작했습니다. 웹과 가장 친숙한 언어인 javascript를 배웠고 추가적으로 NodeJS, typescript를 배웠습니다. 지금까지 배운 기술을 토대로 NestJS 프레임워크를 사용하는 법에 대해서 배웠습니다. 혼자 인프런이란 강의 플랫폼을 통해 강의를 보며 배웠는데, 이젠 혼자가 아닌 여러 사람과 팀을 이뤄 프로젝트를 진행해 보고 싶어서 소프트웨어 마에스트로에 지원하기로 결정했습니다. 이 때 부터 알고리즘과 Computer Science에 대해 자세히 공부하기 시작했습니다. 아쉽게 2차 시험에서 떨어졌지만 팀 플레이는 진행해보고 싶어서 같은 컴퓨터 전공인 여자친구의 학교 동기들과 함께 `자취만렙`이라는 프로젝트에서 백엔드 총괄 역할로 백엔드 서버 개발을 처음 팀프로젝트로 진행해 보았습니다. 이 때 GraphQL을 활용하며 잘 짜여진 API의 구조는 무엇일지 많이 고민해볼 수 있었습니다. 프로젝트가 잘 마무리된 후 더 많은 경험을 해보고자 네이버 커넥트재단에서 진행하는 부스트캠프를 신청했고, 2차 시험에 통과하여 챌린지 과정을 참여할 수 있었습니다. 이 과정을 통해 Computer Science에 대해 더 심도 깊은 공부를 할 수 있었고, 프로젝트 진행 전 어떻게 설계를 할 지와 어떻게 협업을 효율적으로 할 수 있을지를 배울 수 있었습니다. 그리고 Git을 직접 만들어 보기도 하면서 버전 관리 프로그램에 대해 깊게 이해할 수 있었습니다. 그 후 아직 프로젝트에서 활용해보지 못한 Spring 프레임워크와 Rest API 방식의 서버 구성을 배우기 위해 다시 인프런에서 혼자 강의를 들으며 학습했고, 이번엔 더 큰 프로젝트를 진행해보고 싶어서 기획, 디자인, 프론트엔드, 백엔드 팀원을 제가 직접 구한 후 팀을 만들어 Spring 프레임워크를 활용한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