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리보기
기본 정보

안녕하세요, 더 나은 내일을 꿈꾸며 행동하는 박혜란입니다. 0에서 1을 이끌어 내는 태도로 누군가의 변화에 기여하겠습니다.
대외활동
코드코치
부산대학교
코드 코치는 청소년을 대상으로 아두이노, 마이크로비트 등의 교구와 SW를 활용한 코딩 교육을 진행하는 대학 연합 동아리입니다.
[참여형 교육 확대 및 커리큘럼 개편]
교육 초기, 지난 학습 내용을 쉽게 잊어 응용 활동에 어려움을 겪는 학생들이 많았습니다. 동시에 주제 간 약한 연관성으로 인해 단계적 교육 진행에 한계가 있다고 판단하였습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복습지를 활용한 워밍업 타임을 도입하고 수업 내용을 활용한 노래, 보드게임 등 참여형 수업을 적극적으로 확대하였습니다.
나아가 각 주차 마무리 실습에서 엮어 적용할 수 있는 주제들은 동일 주차에 배치함으로써 연관성을 강화한 커리큘럼을 완성하였습니다. 당시, 비전공자의 입장에서 교육을 준비하였기에 교육 대상자를 깊이 이해할 수 있었습니다.
학생 중심의 교육을 통해 복습 효과는 물론, 소극적으로 참여하던 학생들의 참여가 눈에 띄게 증가하였습니다. 그 결과, 95%의 높은 이해도를 바탕으로 최종 실습 수행률 100%를 달성할 수 있었습니다.
SK SUNNY 리웨어
SK
SK SUNNY 리웨어는 환경 및 의류폐기물에 대한 인식 제고와 도덕적 가치 형성을 돕는 참여형 교육 프로그램입니다.
[업사이클링 소재를 활용한 양말인형 제작 기획]
프로그램 진행 당시, 차별화된 경험을 통해 자원의 가치를 전달하고자 친환경 소재를 활용한 활동을 기획하였습니다.
해당 소재를 지원받기 위해 관련 기업을 조사하던 중, 대구 섬유 박람회 개최 소식을 접했습니다. 박람회에 방문해 탄소중립, 친환경 부스를 운영하는 기업들에 프로그램을 소개하고 기획안을 전달하였습니다. 당시 프로그램의 취지와 효과를 명확히 전달하기 위해 자원 절감 효과를 수치화하여 나타냈습니다.
이후 폐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진 업사이클링 충전재를 지원받을 수 있었으며, 수선집에서 버려지는 자투리천과 아동들이 더이상 신지 않는 양말을 활용해 버려지는 부자재를 최소화하였습니다.
그 결과, 마무리 설문에서 '버려지는 헌 옷이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잘 알고있다'는 답변이 30%에서 100%로 향상하였습니다. 뿐만 아니라 일반 준비물을 사용해 진행했을 때 대비 120kg의 이산화탄소를 절감할 수 있었습니다.
해피무브 더 그린
현대자동차
해피무브 더 그린은 환경, 봉사, 여행의 조화를 컨셉으로 활동하는 대학생 환경 봉사단입니다.
[국내 친환경 여행 기획]
데이터를 바탕으로 대구에서 인기있는 여행 유형을 분석한 후, 대구에서만 즐길 수 있는 친환경 여행 코스를 기획하였습니다.
가장 먼저, 한국 관광 데이터 랩 내에서 방문객의 연령대, 여행 키워드 언급량 데이터를 분석하였습니다.
그 결과 2~30대 방문객이 약 42%를 차지했으며 맛집, 카페와 같은 미식에 대한 언급량이 80%로 압도적이라는 것을 파악하였습니다.
위 데이터와 함께 대구광역시 홈페이지 내의 콘텐츠를 활용하여 장소별로 대구의 스토리와 친환경 요소를 함께 담아냈습니다. 문화재생사업을 통해 옛 폐건물이 문화공간으로 재탄생한 ‘수창 청춘 맨숀’, 비건밀카페와 리필 스테이션을 운영하는 ‘더 커먼’과 같이 특유의 '힙'함을 가진 장소들을 통해 색다른 대구의 모습을 보여주고자 하였습니다.
여행이 마무리된 후, 코스를 담아낸 숏폼 컨텐츠를 기획, 조회수 10,000회에 달하는 조회수를 기록하며 일상 속 자연스러운 인식 변화를 이끌어낼 수 있었습니다.
프로젝트
발달장애인의 의사소통을 돕는 언어모델 제안
대구광역시
2021.11. ~ 2021.11.
[발달장애인의 형태소 재배열 언어모델’ 제안]
교육 및 금전적 지원에 해당하는 기존 정책의 경우 공급자를 중심으로 설계되어 근본적인 문제 해결이 불가능하다고 판단하였습니다. 특히 발달장애인은 장애유형 중 10%를 차지함에도 불구하고 타 유형에 비해 준비된 정책이 미흡함을 확인하였습니다.
본질적인 문제 해결을 위해, 그들의 언어를 인정하는 방향에서 문제에 접근하였습니다.
발달장애아동의 문법 형태소 산출에 관한 논문 분석 결과, 산출 과정에 특정 단어를 반복하거나 배치가 뒤섞이는등의 특이 현상이 존재함을 알 수 있었습니다. 이에 기반해 발화 내용에서 언어 데이터를 수집 후 재배열함으로써 의사소통 환경 개선에 기여하는 언어모델을 제안하였습니다.
해당 모델을 통한 발달장애인의 주체적인 의사결정권 행사 및 일상 영위를 목표로 하였으며, 나아가 법정에서의 증인 자격 취득 등 공동체적 가치 창출 또한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합니다.
OTT의 급성장 속 영화관의 성장방향 제안
CJ 올리브네트웍스
2021.09. ~ 2021.11.
여러 매체에서 OTT와 영화관을 경쟁구도로 정의하는 것에 의문을 갖고 주제를 선정하였습니다.
OTT서비스와 영화관 간의 관계를 정의하고 영화관의 발전 방향을 제안하였습니다.
- 산업 간 관계 분석
OTT 도입이 아닌 코로나19가 상영 환경에 미친 영향이 절대적이었다고 판단하였습니다. 각 플랫폼별 장르 선호도 데이터 분석 결과, 각 플랫폼에 기대하는 영상물의 장르가 일치하지 않음을 파악하였습니다.
결론적으로 스트리밍 서비스가 극장을 완전히 대체하는 것은 불가능하며, 영상물 소비 활성화를 이끈 OTT는 영화관과 상생관계로 발전할 수 있다고 정의하였습니다.
- 방향성 제안
지속적으로 증가하고있는 아티스트 콜라보 콘텐츠의 강화를 통한 공간 활용을 제안하였습니다.
2022년 기준, 영화진흥위원회 통합 전산망을 통해 '공연'으로 분류된 작품수가 2018년에 비해 3배 증가한 것을 볼 수 있었습니다.
해당 콘텐츠와 팬덤 문화를 연계하여 집단이 연대할 수 있는 새로운 공간을 제공한다면 문화복합공간으로의 입지 확립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하였습니다.
교육
경북대학교
대학교(학사) | 식품공학부 식품응용공학전공
2021.03. ~ 2023.02. | 졸업
부경대학교
대학교(학사) | 식품공학과
2019.03. ~ 2021.02. | 중퇴
포트폴리오
기술 스택
Google Analytics, Exce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