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리보기
기본 정보

- 몰입하여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즐깁니다 - 어제보다 나은 오늘이 되기 위해 노력합니다. 그 일환으로 기술 서적 스터디를 운영 중입니다 - 팀의 생산성을 올리는 데 관심 있습니다. 각종 센서 세팅 자동화 프로그램, 프로젝트 자동 실행 스크립트, 프로젝트 테스트 스크립트를 만들어 배포하였고 이를 통해 작업 편의성을 향상시켜 팀의 생산성을 올리고 있습니다.
기술 스택
Java, Spring Boot, MySQL, JPA, JavaScript, NestJS, React
경력
주식회사웨어러블에이아이
주임 연구원 | R&D | 재직 중
2024.07. ~ 재직 중 (8개월)
인천 공항 T2 AM 자율 주행 차량 HMI 개발 (풀스택)
프로젝트 기획, 설계 개발까지 전 과정 참여 및 주도
효율적인 데이터 전송을 위해 개별 이벤트 구독 방식과 프로토콜 버퍼 도입 하여 CPU 사용량 30% 개선
Buffer 사용하여 IO 비용 98% 감소
QoS 설정을 통해 안정적인 서비스 환경 구현하고자 함
프론트 및 백엔드 실행 자동화 스크립트 작성하여 동료들의 편의를 도움
프로젝트
my-storage
개인
2023.10. ~ 2024.02.
GitHub: my-storage Repo
주요 목표
파일 시스템 트리 구조 설계 및 구현
트랜잭션 범위 최소화로 DB 부하 감소
파일 메타데이터 관리 안정성과 유지보수성 확보
핵심 역할 및 성과
폴더/파일 이동 및 경로 관리 개선
상위 노드 연결 재정의로 하위 경로 전체 수정 문제 해결
경로 정규화 통해 보안 문제 해결
폴더 삭제 로직 최적화
DFS(스택 사용) 방식 적용하여 메모리 사용량 절감
StackOverflowError 방지 로직 고려
파일 삭제 전략 수립
메타데이터와 실제 파일 삭제 간 동기화 이슈 → Dangling pointer 전략 도입
트랜잭션 최소화로 성능 유지
테스트 커버리지 80% 이상 달성
변경되는 비즈니스 로직 및 DB 스키마에도 안정적으로 대응
TickekEase
기타
2023.08. ~ 2023.10.
GitHub: TicketEase Repo
블로그: 프로젝트 정리
주요 목표
단일 서버 환경(vCPU 2, 메모리 8GB)에서 동시성 이슈 해결
티켓 결제 처리 성능 개선
핵심 역할 및 성과
동시성 제어 로직 개선
초기에는 전역 락 → 락 과다 경쟁 문제
ConcurrentHashMap
사용해 Bucket 단위 동기화 → 티켓 결제 TPS 약 2배 향상
스크럼 및 협업 문화
주 1회 이슈 공유 → 문제 해결 속도 향상
발생 이슈와 시도 방법 기록 후 팀원들과 공유하는 협업 프로세스 구축
네트워크/도구 비용 최소화
외부 Tool 도입이 어려운 환경 → Java 표준 라이브러리(Lock, Concurrent 자료구조)로 문제 해결
대외활동
C4cometrue (동아리)
기타
기간
2023.08 ~ 2024.06
활동 내용
개인 프로젝트 진행 my-storage Repo
동아리원 코드 리뷰
CS 및 알고리즘 스터디 운영
소규모 컨퍼런스 운영 ( 스텝으로 참여 )
삼성SW아카데미
삼성전자
기간
2022.07 ~ 2023.06
활동 내용
3번의 프로젝트 진행을 통해 개발 역량 향상
각 프로젝트에서 Java, Kotlin, Spring Boot, Android 를 이용해 개발 진행알고리즘과 웹 기반 교육을 통해 문제 해결 능력 향상
1년 간 다수의 스터디 조직 및 운영 (알고리즘, CS 스터디)
자격증
OPIc
IM1 | ACTFL
2023.03.
자기소개
"최고의 고객 경험을 만드는 개발자"
최고의 고객 경험을 제공하기 위해선, 탄탄한 컴퓨터 과학 지식이 필요하단 생각에 운영 체제, 네트워크 및 데이터베이스를 온라인 대학 공개 강좌를 통해 수강했습니다. 엔지니어는 이론을 프로젝트에 적용하는 게 중요하단 생각에, 개발한 프로젝트에 학습한 컴퓨터 과학 이론을 적용하여 개선했습니다.
"문제 해결을 위해 문제를 잘게 쪼개어 해결하는 것의 중요성"
학과 멘토링 프로그램을 만들기 위해 기획부터 시범 운영까지 했지만, 학내 정식 프로그램 채택에는 실패했습니다. 하지만, 이 경험을 통해 문제를 작게 쪼개어 하나씩 해결하는 것이 중요함을 깨달았습니다.
학습에 고민이 많은 신입생들을 돕기 위해 멘토링 프로그램을 만들고자 했습니다. 이를 위해 프로그램 운영 기획서 작성, 교수님과 학교 관계자 대상 설명 회의 개최, 프로그램 홍보, 운영 위원 모집 및 예산 관리 등 해야 할 일들을 작은 일로 쪼개고 차근차근 해결해 나갔습니다. 그 결과 학교에서 지원받아 한 학기 동안 학과 멘토링 프로그램을 시범 운영할 수 있었습니다.
특정 학과에만 지원하는 것을 형평성에 어긋난다는 이유로 학과 멘토링 프로그램이 정식 채택되진 못하였지만, 다음 학기에 학교 전체를 대상으로 멘토링 프로그램이 진행될 수 있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