채용공고 올리기

이해를 바탕으로 개발하는 전희태님을 응원해보세요!

지금 만족하고 있어요
책임감
유연함
목표 지향적
고객 중심
긍정적

미리보기

기본 정보

이름
이해를 바탕으로 개발하는 전희태
직업
Android Native 개발자
간단 소개

많은 사용자가 자주 방문하는 제품을 내손으로 만들고 싶은 안드로이드 개발자 입니다. 사용자들이 본인도 모르게 불편함을 느끼고 있는 항목들을 캐치하여 자연스럽게 일상에 녹아드는 제품 개발을 목표로 하고있습니다. 최근에는 유지보수 관점에서 Clean Architecture와 멀티 모듈, Hilt를 이용한 의존성 주입등에 관심을 가지고 하루 알람이라는 앱을 제작중에 있습니다.

기술 스택

기술 스택

Java, Kotlin, Android Compose, REST API, RxJava, android-coroutine, JIRA, Slack, android-viewbinding

경력

회사명

주식회사 코매퍼

직급 | 부서 | 근무 유형

주임 연구원 | 기술개발실

근무 기간

2021.11. ~ 2024.05. (2년 7개월)

담당 업무

KO-Flight

무인 항공기를 이용한 자동 비행 경로 생성 및 비행 제어
포트폴리오 링크
https://victorious-fisher-47a.notion.site/Ko-Flight-0437661853734fb8a88d10fae30c5a9a

| Ko-Flight Ver 1.1 리팩토링 (24.01 ~ 24.05)

  • 모듈 분리를 통한 협업 효율성 60% 증가

  • MVVM 패턴 적용 및 DataBinding을 통한 드론 연결 상태 의존성 저하 및 앱 안정성 증가

  • Factory Method를 활용한 호환 기기 추가 개발 비용 60% 단축

  • 드론의 비전 센서 데이터 이미지 메타 데이터 비동기 동기화 기능 구현(고객 요구사항 충족)

  • 비 전문 사용자 접근성 개선을 위한 3D 경로 표출 기능 구현

  • 경로 생성 시 드론 짐벌 각 자동 생성 기능 추가

| Ko-Flight Ver 1.1 출시(24.09 ~ 24.12)

  • 경로 생성 알고리즘 추가 - 수평 비행

  • 구글 스프레드 시트를 활용한 i18n 다국어 지원 적용

  • 공공 기관 근무자의 보고서 작성을 위한 Start Point 전경 사진 추가 기능 제안 및 구현(고객 요구사항 충족)

| Ko-Flight Ver 1.0 출시 (23.03 ~ 23.08)

  • 프로젝트 초기 기획 부터 와이어 프레임 설계 개발 까지 주도적인 참여

  • 직관적인 자동 비행 경로 포인트 구분을 위한 포인트 구분 개념 제안(Start Point, Action Point, Transit Point)

  • 수직, 격자에 대한 자동 비행 경로 생성 알고리즘 개발 및 비행 제어 구현

  • Autel SDK 2.0을 기반으로 자동 비행 제어 기능 구현


DSM(Digital Safety Mapper)

디지털 시설물 안전 진단 플랫폼
포트폴리오 링크
https://victorious-fisher-47a.notion.site/DSM-Digital-Safety-Mapper-c20ee8a3556d4a7cbea0480cfb296d9b

| DSM Ver 1.0 리팩토링 (23.01 ~ 23.03)

  • Single Activity 구조 적용을 통한 데이터 요청 횟수 60% 절감

  • Databinding을 통한 UI 변경 보일러 플레이트 로직 제거

  • 망상, 박리, 백태 등 균열 외 손상 추가 기능 추가(패턴)

  • 유저 로그인 정보 AES 대칭 키 암호화 통신 구현

| DSM Ver 1.0 출시 (22.09 ~ 22.11)

  • WebView를 활용한 3D 모델 Viewer 구현

  • Retrofit과 Coroutine을 활용한 비동기 데이터 통신 구현

  • SSIV 라이브러리와 Canvas를 활용한 균열 그리기 기능 구현

  • 이미지 타일링 로드 기법이 적용된 라이브러리를 활용한 대용량 이미지 로드 속도 60%절감

| DSM 기능 설계 및 와이어 프레임 제작(22.05 ~ 22.08)

  • 태블릿 버전 와이어프레임 제작 및 기능 명세서 작성

    • 제안 사항

      • 기존 AutoCad를 사용했던 근무자를 위한 AutoCad와 유사한 방식의 균열 표현 기능 제안.

      • 외부 현장 근무자의 사용 환경을 고려한 펜을 이용한 균열 데이터 및 보수 데이터 추가 플로우 제안.

      • 공공 기관 근무자들의 레포트를 위한 보수 완료 보고서 양식 이미지 첨부 플로우 제안.

    • 와이어 프레임 제작

      • 사용자의 혼동을 줄이기 위한 기존 Web 환경에서의 화면과 싱크로율 90% 유지

      • 현장 근무자의 사용 편의 제공을 위한 ON/OFF형 그리기 도구 생성

      • 태블릿 상에서 제공되는 별도 균열 추가 및 보수 내역 추가 화면 구성 설계

프로젝트

프로젝트명

하루 알람

소속/기관명

개인 프로젝트

프로젝트 기간

2024.08. ~ 진행 중

프로젝트 내용

[프로젝트 개요]

형태 : Native App

내용 : 개인의 일정 관리, 알람 관리 및 일정 별 날씨 정보 앱

언 어 : Kotlin

GitHub : https://github.com/BIGJeon2/HaruAlarm

[Skill Keyword]

Compose, Hilt, Room, Coroutine, Retrofit2, Multi Module

[개발 이력]

Ver1.0 - 개발 중

  • Hilt를 통한 의존성 주입 기능 구현 완료

  • 각 기능 별 모듈 분리

  • Room을 통한 일정 저장 로직 및 공휴일 정보 저장 기능 구현

  • Retrofit과 Coroutine을 활용한 공공 API 공휴일 정보 요청 기능 구현

포트폴리오

URL

link

KO-Fligt 포트폴리오

노션
link

DSM 포트폴리오

노션
link

GibHub 주소

깃허브
link

안드로이드 기술 블로그

티스토리

자격증

자격증명

정보통신기사

점수 | 발급기관

한국산업인력공단

취득연월

2024.09.

자격증명

네트워크 관리사

점수 | 발급기관

2급 | 한국정보통신자격협회

취득연월

2019.09.

교육

소속/기관명

고려사이버대학교

종류 | 전공

대학교(학사) | 소프트웨어공학

재학 기간 | 재학 상태

2023.03. ~ 현재 | 재학 중

소속/기관명

용인송담대

종류 | 전공

대학교(전문학사) | 정보통신학과

재학 기간 | 재학 상태

2016.03. ~ 2021.02. | 졸업

자기소개

자기소개

[다양한 도전에 대한 적극적인 자세]

다양한 분야의 도전 경험이 빠른 성장으로 발전한다고 생각하여, 새로운 분야 및 기술에 대한 도전을 적극적으로 수용합니다.

[목표에 대한 집착]

도전에 실패 한다 하더라도, 이를 통해 얻게 된 경험을 돌아 보며, 해당 경험을 바탕으로 N번 반복 도전하여 목표한 목적을 달성합니다.

[사용자 관점에서의 시야]

제품은 사용자의 입장에서 바라봐야 유저의 만족도가 향상 된다고 생각합니다.

제품의 예상 사용자를 분석하고, 해당 사용자의 제품 사용 목적을 분석하여 기존 기능 개선과 신규 기능 적합성을 판단합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