채용공고 올리기

이찬석님을 응원해보세요!

지금 만족하고 있어요
혁신적
성실함
책임감
목표 지향적
비전 지향

미리보기

기본 정보

이름
이찬석
직업
백엔드 개발자
간단 소개

[300학점의 학구열, 배우는 것을 두려워하지 않고 도전하는 개발자입니다.] - 4500시간, 약 300학점의 대학과정 및 SW 교육. 항상 배우고 도전하며 성장하는 개발자입니다. - 모든 일에는 배움이 있고 그 배움은 항상 성장과 동반된다고 생각합니다. 그래서 배움을 위해 새로운 것에 대해 도전하려 합니다. 항상 배우는 자세로 성장하는 개발자가 되겠습니다.

기술 스택

기술 스택

Java, Spring Boot, MariaDB, MySQL, Python, C++, spring-jpa, Android

경력

회사명

DGB대구은행

직급 | 부서 | 근무 유형

사원 | ICT개발부

근무 기간

2023.10. ~ 2023.11. (2개월)

담당 업무

대구은행 내 수기로 관리되고 있는 산업안전보건 관리 업무를 전산화하여 당행의 ESG 경영 실천을위한 Web 시스템 개발.

주어진 요구사항을 분석하여 이에 맞는 화면 구성부터 비즈니스 로직까지 FullStack 담당하고 서버환경 구축 및 배포까지 전반적인 프로젝트 담당

  • 당행 시스템으로 직원 외에는 접근이 불가하도록 회원관리

  • 각 직책에 맞는 페이지 접근 및 권한을 위한 Security 적용

  • 전자 서명을 위하여 해당 직원에게 알림 전송

  • 정기적 평가를 위한 평가서 생성 및 요청을 위하여 Batch를 이용하여 주기적 확인

  • 모든 개인정보 및 패스워드 암호화되어 DB에 보관

  • 개인정보가 포함된 내용 출력 시 마스킹 처리되어 표시

  • 세션을 이용하여 5분이상 조작이 없을 시 자동 로그아웃

회사명

(주)큐어스트림

직급 | 부서 | 근무 유형

연구원 | AI SW 개발부

근무 기간

2020.11. ~ 2022.05. (1년 7개월)

담당 업무
  • 강화학습 기반 완전 자율형 인공췌장 시스템 프로젝트 참여. 혈당 측정기로부터 데이터 값을 수집하고 인슐린 주입기를 제어하는 어플리케이션 개발. HW와 BLE 통신 제어 구현.
  • OpenSource Application 분석 및 개발

프로젝트

프로젝트명

제 13회 임베디드 소프트웨어 경진대회 : 인텔 부문

소속/기관명

기타

프로젝트 기간

2015.05. ~ 2015.12.

프로젝트 내용
  • Intel의 edison board를 이용하여 실내의 소음을 측정하여 인지하고 예방할 수 있는 IoT 스텐드, 앱, 웹 구현

  • 보드와 연결된 진동센서. 사운드로부터 데이터를 수집

  • 데이터 기반 층간소음 정도를 측정하여 소음 정도를 스탠드의 불빛과 push 알람을 통해 소음정도를 인지

  • 소음 데이터를 기록하고 분석하여 볼 수 있는 웹, 앱 구현

  • 앱으로 보드 제어 가능한 IoT 스텐드 구현

프로젝트명

제 14회 임베디드 소프트웨어 경진대회 :인텔 부문

소속/기관명

기타

프로젝트 기간

2016.05. ~ 2016.12.

프로젝트 내용
  • Intel의 curie board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쓰러짐을 인식하고 위치정보 전달 등 상황을 조치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앱 구현

  • 보드에 내장된 자이로, 가속도센서로 사용자의 쓰러짐을 인식

  • BLE를 이용하여 앱에 신호 전달

  • 앱에서 GPS를 이용하여 등록된 사용자 및 유관기관에 메세지 전송

  • 근방에 동일한 앱을 사용하고 있는 사용자에게 BLE를 이용하여 Push 알림 전송

프로젝트명

IoT Data Hackathon

소속/기관명

기타

프로젝트 기간

2017.11. ~ 2017.11.

프로젝트 내용
  • 실시간 버스 도착 정보를 바탕으로 진입하는 버스 순서대로 버스번호를 정류장에 설치된 LCD 판에 앞에서 부터 차례대로 표시하여 버스정류장 자동 대기 장소를 설정하는 임베디드 시스템 구현

  • 공공데이터포털로부터 실시간으로 해당 정류소에 정차하는 버스의 정보를 API를 이용하여 획득

  • 버스 진입 순서에 따라 유동적으로 버스 정류장 대기장소 변경

  • 재차 인원 정보를 이용하여 버스의 혼잡 여부 제공

프로젝트명

실내위치측위 경진대회

소속/기관명

이동통신연구실

프로젝트 기간

2017.07. ~ 2019.10.

프로젝트 내용

[2017 IPSN 실내위치측위 경진대회 : Smart-phone Base track - IEEE주관 ]

  • 일본에서 개최된 실내위치측위 경진대회인 INDOOR POSITIONING AND INDOOR NAVIGATION 2017 Competition의 Smartphone-base 트랙에 참여
  • WiFi를 이용한 알고리즘을 바탕으로 현재 위치를 측정하여 지도에 표시하는 앱 개발
  • 실내에 설치된 Wi-Fi의 위치와 기준 RSSI를 측정하여 구현한 알고리즘 기반으로 실내 전체에 각 위치별 Wi-Fi 정보(SSID, RSSI)를 나타내는 Map 생성
  • 실시간으로 Wi-Fi 정보를 얻어 RSSI 상위 3개의 Wi-Fi 정보에 대해서 구현한 Map에서 가장 유사한 위치를 현재 위치로 판단

[2018 IPSN 실내위치측위 경진대회 : Infrastructure free track- Microsoft 주관]

  • 포르투갈에서 개최된 실내위치측위 경진대회인 Microsoft Indoor Localization Competition - IPSN 2018의 Smartphone-base 트랙에 참여.
  • 보행자 추측 항법(PDR) 기반 알고리즘으로 위치 측위하여 지도에 표시하는 앱 개발
  • 스마트폰의 가속도, 자이로 센서를 이용하여 걸음 검출, 보폭, 회전각을 계산하여 시작위치를 기준으로 상대적인 위치를 측위

[2019 IPSN 실내위치측위 경진대회 : Smart-phone Base track - IEEE주관]

  • 이탈리아에서 개최된 실내위치측위 경진대회인 INDOOR POSITIONING AND INDOOR NAVIGATION 2019 Competition의 Smartphone-base 트랙에 참여.
  • AI 기반 Wi-Fi, 지자기를 통합한 알고리즘을 바탕으로 현재 위치를 측정하여 지도에 표시하는 앱 개발
  • 실내 환경에서 1m간격으로 Wi-Fi, 지자기 값을 수집하여 수집된 데이터와 위치를 기반으로 학습.
  • 실시간으로 Wi-Fi와 지자기 데이터를 얻어 모델에 적용하여 위치를 측위
프로젝트명

WebRTC 기반 화상회의 웹 서비스 구현

소속/기관명

삼성청년SW아카데미(SSAFY)

프로젝트 기간

2023.01. ~ 2023.02.

프로젝트 내용
  • WebRTC 기반 화상회의 웹 서비스 구현
  • Face-api.js를 이용하여 사용자 얼굴 인식 및 실시간 출석여부 확인
  • Web Speech Recognition을 이용한 STT기능으로 실시간 대화 표시
  • 회의 종료 후, 대화 내용을 지정된 양식에 맞춰 회의록 생성

[구현사항]
WebRTC 기반 화상회의 웹 서비스 구현

  • Openvidu OpenSource를 이용하여 P2P 통신
  • Face-api.js를 이용하여 사용자 얼굴 인식
  • Web Speech Recognition을 이용한 STT 구현

AWS EC2(Ubuntu)기반 Cluod 환경 구성

  • Nginx를 이용하여 proxy server 구성 및 보안 적용
  • Backend, Frontend, Database 등 프로그램들을 Docker화 하여 관리
  • Jenkins를 이용하여 GitLab과 연동 및 CICD 구축
프로젝트명

빅데이터 기반 오로라 및 유성우 예측 App 개발

소속/기관명

삼성청년SW아카데미(SSAFY)

프로젝트 기간

2023.02. ~ 2023.04.

프로젝트 내용
  • 오로라 예측
    • SWPC(Space Weather Prediction Center)의 데이터를 활용하여 KP 지수 예측
    • 단기 예측은 랜덤포레스트 모델, 3일 간의 예측은 LSTM 모델을 이용하여 KP 지수를 제공
  • 유성우 예측
    • 유성우가 나타나는 날짜의 범위 중 달에서 반사되는 빛의 양이 가장 적은 날짜를 찾아서 유성우를 관측하기 최적의 날짜를 제공
  • 오로라 및 유성우 관심 지역 설정 및 Push 알림 서비스
  • 방문한 지역에서 촬영한 오로라, 유성우 사진의 메타데이터와 AI 기반 인증 및 일지 서비스 제공

[구현사항]

  • Spring Multi module을 이용하여 API Server와 Batch Server를 하나의 Project에 구현
  • Android App과 API 통신을 위한 Spring Boot API Server 구현
  • R Server로 부터 예측된 결과값을 주기적으로 불러오기 위한 Batch Server 구현
  • 서로 다른 주기의 batch를 스케쥴을 이용하여 관리
  • FCM을 이용한 Android Push 알람 전송
  • 예측결과를 Redis를 이용하여 응답 속도 개선
프로젝트명

Eye Tracking 기술을 이용한 웹 서비스

소속/기관명

삼성청년SW아카데미(SSAFY)

프로젝트 기간

2023.04. ~ 2023.05.

프로젝트 내용
  • 시선추적기술을 이용한 시스템 제어 가능한 웹페이지 구현
  • OpenCV를 이용하여 동공 인식 및 좌표 화면 매칭
  • 화면을 9개로 분할하여 사용자가 바라보는 방향으로 마우스 커서 이동 (조이스틱 방식)
  • 글쓰기, 그림그리기 컨텐츠 제공

[구현사항]

  • Socket을 이용하여 웹과 서버간 실시간 사용자 이미지, 동공 좌표 통신
  • Python 기반 FastAPI 서버 구현
  • OpenCV 기반 사용자 얼굴 인식 및 동공 위치 추적
  • 동공 위치를 바라보고 있는 화면상의 좌표 매칭

포트폴리오

URL

link

[자율프로젝트] 동공추적기술을 이용한 화면제어 및 컨텐츠 제공 웹

깃허브
link

[특화프로젝트] 오로라/유성우 예측 App

깃허브
link

[공통프로젝트] WebRTC 기반 화상회의 서비스 프로젝트

깃허브

첨부파일

첨부파일명

자율프로젝트_동공추적기술을_이용한_화면제어_및_컨텐츠_제공_웹_.pdf

첨부파일명

특화프로젝트_오로라유성우_예측_App_.pdf

첨부파일명

공통프로젝트_WebRTC_기반_화상회의_서비스_프로젝트.pdf

첨부파일명

포트폴리오 노션.pdf

교육

소속/기관명

삼성 청년 SW아카데미(SSAFY)

종류 | 전공

사설 교육

재학 기간 | 재학 상태

2022.07. ~ 2023.06. | 졸업

소속/기관명

경북 SWAI아카데미 교육 대경혁신인재양성프로젝트(Hustar)

종류 | 전공

사설 교육

재학 기간 | 재학 상태

2020.05. ~ 2021.02. | 졸업

소속/기관명

영진고등학교

종류 | 전공

고등학교 | 인문

재학 기간 | 재학 상태

2009.03. ~ 2012.02. | 졸업

소속/기관명

영남대학교

종류 | 전공

대학교(학사) | 정보통신공학과

재학 기간 | 재학 상태

2012.03. ~ 2018.08. | 졸업

자격증

자격증명

ADsP

점수 | 발급기관

없음 | 한국데이터산업진흥원

취득연월

2024.03.

자격증명

정보처리기사

점수 | 발급기관

없음 | 한국산업인력공단

취득연월

2017.08.

자격증명

SQLD (SQL 개발자)

점수 | 발급기관

없음 | 한국데이터산업진흥원

취득연월

2023.07.

외국어

외국어명

영어

점수

일상 회화 가능

자기소개

자기소개

[끊임없이 배우고 도전하며 성장하는]

다양한 산업의 프로젝트 경험과 IT기술로서 고객을 만족시켜야 하며 이것은 제가 지향하는 "끊임없이 배우고 도전하며 성장하는" 개발자의 모습과 일치합니다.

4500시간 300학점, 관심 있는 분야에 대해 배우는 것을 두려워하지 않았습니다.

임베디드 소프트웨어 경진대회에서 HW와 SW 간 통신 및 App 개발, IoT Data 해커톤, 실내 위치 측위 등 주목받고 있는 이슈에 대해 직접 다루어 보며 개발 능력을 높였습니다. 매년 공모전 및 경진대회 등에 참여하며 문제점을 찾고 고민하여 이를 다양한 도메인에서 해결하며 기술적, 조직적 적응력을 함양해 왔습니다.

삼성청년SW아카데미에서의 교육과 프로젝트는 개발자로서 더욱 성장할 수 있는 계기였습니다. 단순히 IT기술을 활용하는 것을 넘어서 사용자의 니즈를 충족시키고 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UX/UI를 고려한 설계, 성능을 높이기 위한 적절한 기술 스택을 사용하기 위해 노력하였습니다. 그뿐만 아니라 개발자의 관점에서도 프로젝트를 바라보며 개발 환경 개선을 위한 빌드 자동화, 프로젝트 관리를 위한 환경 구축, 인프라 환경 설계 및 시스템 운영 등 개발자로서 실무에 가까운 환경에서 개발하며 고민하였습니다.

이러한 노력과 열정을 바탕으로 개발자로서 고객에게 최선의 솔루션을 제공하고 끊임없는 배움을 통해 개발자로서 성장을 이루어 가고 싶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