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리보기
기본 정보

7년차 풀스택 개발자입니다. 코더가 아닌 개발자로 성장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소통과 협업을 중요시하며 능동적으로 문제를 해결하고 다양한 상황에서 창의적인 해결책을 찾아내는 능력이 장점입니다. 주로 자바와 자바스크립트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기술 스택
Java, Spring Boot, JavaScript, Docker, Elasticsearch, Vue.js, MariaDB, Linux
경력
국민은행(주)
과장 | 인증사업부 | 재직 중
재직 중
전자문서팀에서 서버 개발 및 유지보수를 담당하며 안정적인 시스템 운영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Spring Framework를 활용해 1,000만 명의 사용자에게 실시간 문서 알림톡을 발송하는 시스템과 스케줄러를 설계 및 개발했습니다.
Kafka와 유사한 메시지 브로커 시스템을 직접 개발 및 도입하여 대규모 데이터 처리 환경을 최적화했습니다.
대량 데이터의 안정적인 관리와 운영을 위해 지속적인 유지보수 및 성능 개선 작업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토피도
대리 | DSU
2018.06. ~ 2023.04. (4년 11개월)
데이터 연구소 풀스택 개발자
수백 대의 에이전트에서 수집된 데이터를 가공, 저장, 분석할 수 있는 모니터링 프로그램 설계 및 개발
Spring 기반으로 RDB, NoSQL, Elasticsearch 등 다양한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한 프로젝트 수행
Vue.js를 도입하여 회사 내부 웹서비스 프레임워크 설계 및 개발
주요 프로젝트 경험
국가기록원 - 블록체인 기반 기록관리 플랫폼 구축 시범사업
Hyperledger를 활용한 블록체인 체인코드 개발
모니터링 프로그램(SMS, APM, DPM, 웹서버, 개인정보 등)
프로그램 리팩토링 및 대시보드, 통계, 알림 기능 개발
스마트안심요양서비스
IoT 데이터를 활용한 모니터링 시스템 설계 및 개발 (Vue.js 기반)
현대오일 패스워드 매니저 프로그램 구축
대규모 시스템 등록 및 에이전트 개발 (Angular 기반)
도로공사 챗봇 데이터 구축
BERT 모델을 활용한 챗봇 서버 구축 (Kubernetes, Docker 기반)
도로공사 데이터 안심구역 구축
Hadoop(Hive)을 활용한 데이터 연계 개발
회사 내부 웹서비스용 Vue 프레임워크 구축
사용자 중심의 재사용 가능한 컴포넌트와 구조 설계
프로젝트
도로공사 데이터 안심구역을 위한 연계,수집,저장 플랫폼 개발
토피도
2022.06. ~ 2022.12.
메타데이터 정보에 따른 데이터 파이프라인 처리 설계
Hadoop(Hive)을 활용한 데이터 분산처리 기능 구현
데이터 안심 구역(연계·수집·저장)의 관리/모니터링하기 위한 웹 개발(Vue)
스마트안심요양서비스
토피도
2021.06. ~ 2021.08.
요양원에 IoT를 적용하여 간호사들 업무 편의성 증진을 위한 프로젝트
IoT 데이터(공기, 기저귀, 온도, 습도 등) 관리 모니터링 설계 및 개발
실시간 이상징후 및 현황 데이터 지도 개발
분석 및 통계 기능 개발
모델 및 디바이스 관리를 위한 그리드 기능 개발
도로공사 챗봇 데이터 구축
토피도
2020.08. ~ 2020.10.
규정집을 학습시켜서 현장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챗봇 개발
bert로 학습시킨 모델을 docker 구성
여러 모델을 사용 및 관리하기 위해서 자체 kubernetes 기능 개발(docker 이미지 관리, 실행 및 중단)
bert 모델 관리를 위한 docker 모니터링 서비스 개발
사용 db : elasticsearch(버트에 질문할 데이터 저장용도), tsd(모니터링, 버트로그)
국가기록원 블록체인을 적용한 신뢰기반 기록관리 플랫폼 구축 시범 사업
토피도
2019.04. ~ 2019.12.
각 기관에서 보관하던 기록물에 블록체인을 적용해 신뢰성 확보를 위한 플랫폼 구축
Hyperledger fabric을 사용해서 국가기록원, 경남기록원, 경남도청, 행정안전부 노드를 구축하고 기록물 이관을 위한 분석, 설계 및 체인코드 개발
- 프라이빗 블록체인의 문제점 해결하기 위해 이더리움에 지속해서 해시코드를 블록에 올림
- 문서 열람만으로 해시가 바뀌는 무결성 검증 문제 해결
- 블록체인 구성을 docker 사용
- 성능개선[트랜잭션 처리 속도 : 150TPS (기존 100TPS - 체인코드 리팩토링)]
대국민 서비스 REST API 개발(기록물 진본 검증 및 이관 기록물 검색 등)
- 인증 JWT 적용
- 성능개선[검색서비스 응답시간 : 0.4s (기존 2s - 체인코드 리팩토링)]
포트폴리오
URL
자격증
정보처리기사
한국산업인력공단
2015.05.
교육
한국정보기술연구원
사설 교육 | 공공 데이터 기반 java application 개발자 과정
2016.07. ~ 2016.12. | 졸업
세종대학교
대학교(학사) | 정보통신공학과
2009.03. ~ 2016.02. | 졸업
자기소개
[직무 경험]
프론트엔드
Angular v2와 Vue.js를 활용하여 다양한 프론트엔드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했습니다.
대규모 데이터를 다루는 대시보드 애플리케이션의 성능을 최적화하여 사용자 경험을 개선했습니다.
Highcharts와 같은 데이터 시각화 도구를 활용해 통계 데이터를 효과적으로 시각화했습니다.
백엔드
Hyperledger Fabric 및 이더리움 블록체인을 활용해 신뢰성 있는 기록관리 플랫폼을 구축한 경험이 있습니다.
Docker 기반의 컨테이너 환경에서 개발과 배포를 진행하며 시스템 안정성을 유지했습니다.
대규모 데이터 처리를 위해 다양한 데이터베이스(RDB, NoSQL 등)를 사용하고 Queue 시스템을 적용했습니다.
REST API 개발과 Swagger를 활용한 문서화를 통해 효율적인 협업 환경을 조성했습니다.
데이터 관리
Elasticsearch, NoSQL, RDB, TSD를 활용해 데이터 모니터링 및 분석 시스템을 설계하고 운영했습니다.
Hive와 Hadoop을 이용하여 대량의 데이터를 수집, 저장 및 관리하며 데이터 기반 의사결정을 지원했습니다.
전자문서팀 경험
스프링(Spring)을 활용해 약 천만 명의 사용자에게 실시간 알림톡을 발송하는 시스템과 스케줄러를 설계 및 개발했습니다.
Kafka와 유사한 메시지 브로커 시스템을 직접 개발 및 도입하여 대규모 데이터 처리 환경을 안정적으로 구축했습니다.
대량 데이터의 안정적인 관리와 운영을 위해 시스템 유지보수와 성능 최적화 작업을 수행했습니다.
[핵심 역량]
문제 해결 능력
모니터링 에이전트 증가로 인해 발생한 성능 이슈를 해결한 경험이 있습니다.
대시보드의 중복 데이터 및 주기적인 API 호출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 리팩토링 및 버전업 작업을 수행하였으며, localStorage를 활용한 데이터 캐싱과 API 최적화를 통해 처리량을 대폭 줄였습니다.
이 결과, 기존 5초당 12개의 API 요청(2MB)을 6개 요청(800KB)로 줄이고, scatter 차트의 처리 용량을 기존 1만 개에서 3만 개까지 확장했습니다.
커뮤니케이션 능력
팀장님의 퇴사로 인해 패스워드 관리 프로그램 업무를 인계받아 에이전트 개발, 기능 개선, 프로젝트 수행을 성공적으로 완료했습니다.
이사님, 이전 팀장님, 담당자와의 원활한 소통을 통해 현대오일 프로젝트를 마무리했으며, 추가 설치 작업까지 책임감 있게 진행했습니다.
기술 스택 다양성
AI, Typescript, React, Elasticsearch, GraphDB, Spring Batch 등 다양한 기술 스택을 학습하고, 이를 활용한 프로젝트에 적극적으로 참여했습니다.
새로운 기술을 빠르게 습득하여 프로젝트에 효과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유연한 자세를 가지고 있습니다.
프로젝트 관리
국가기록원 블록체인 플랫폼 구축 사업에서는 4개 컨소시엄이 참여한 대규모 프로젝트의 일정과 RFP 요구사항을 관리했습니다.
대전, 부산 등지에서 현장 미팅과 협업을 통해 모든 요구사항을 충족하고, 완료 보고를 성공적으로 수행했습니다.
창의성과 혁신
회사가 기존에 JavaScript만 사용하던 상황에서 Vue.js의 도입을 제안하고 주도적으로 회사 내부 프레임워크를 구축했습니다.
Vue 도입 후 팀원들에게 교육을 진행했으며, 각 팀의 요구사항을 반영한 웹서비스를 설계해 업무 효율성을 높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