채용공고 올리기

오윤환님을 응원해보세요!

지금 만족하고 있어요

미리보기

기본 정보

이름
오윤환
직업
프론트엔드 개발자
간단 소개

안녕하세요 사용자 경험 향상을 위해 성능 최적화에 관심이 많습니다. 제 커리어의 밀도를 단단하게 만들 수 있는 직장을 찾고 있습니다!

기술 스택

기술 스택

JavaScript, Node.js, React, MySQL, Express, Docker, FastAPI, TypeScript, websockets

경력

회사명

네이버랩스주식회사

직급 | 부서 | 근무 유형

인턴 | 자율주행

근무 기간

2023.06. ~ 2023.11. (6개월)

담당 업무

자율주행 웹 대시보드 제작

역할 : 프론트엔드(React) / 백엔드(Fast-api)

구성 : 1인

기간 : 23.06 ~ 23.11 (6개월)

자율주행 차량 로그 데이터 관리 웹 시스템 구축

  • 20s 주행 데이터 재생 플레이어 제작 및 최적화
  • 주행 영상의 메타 데이터를 토대로 데이터셋을 제작하는 페이지 구현
  • Airflow DAG 진행도 실시간 조회 페이지 구축
  • 동일 DAG, 연속 DAG 트리거 자동화
  • CLI로 진행되던 Airflow 트리거 작업 웹 인터페이스로 구현
  • 데이터 취득 분포 및 주행 경로 조회 지도 컴포넌트 제작

프로젝트

프로젝트명

PushSwap Web Tester

소속/기관명

42Seoul

프로젝트 기간

2023.05. ~ 2023.12.

프로젝트 내용

PushSwap Web Tester

동기 및 목적

  • 42Seoul 과제인 PushSwap의 디버깅 및 테스팅을 웹으로 제공하여 편의성 향상
    랭크 시스템을 도입하여 학생들의 명령어 사용 횟수 최적화를 위한 흥미 유발

기간

  • 23.05 ~ 23.12 (8개월) - Visualizer : 1개월 / Tester : 5개월

사용 기술

  • Frontend : React, Typescript,
  • Backend : FastAPI, SQLite
  • ETC : Docker, AWS EC2

주요 기능

  • PushSwap 과제 설명 및 시연 페이지
  • Visualizer - 과제 결과물 시각화 및 디버깅 페이지
  • Tester - 서버에서 github repo를 클론하여 정해진 단위 테스트 진행 및 결과 반환
프로젝트명

42Cabi - 사물함 관리 시스템

소속/기관명

42Seoul

프로젝트 기간

2022.12. ~ 2023.05.

프로젝트 내용

42Cabi - 42Seoul 교내 사물함 관리 시스템

동기 및 목적

  • 42Seoul 학생들이 이용하는 사물함 400여 개의 대여 / 반납 및 관리를 제공하는
    웹 서비스의 v3 리뉴얼

기간

  • 22.12 ~ 23.05 (6개월)

팀 구성

  • 총 10인 (프론트엔드 5명, 백엔드 5명)

사용기술

  • Frontend : React, Typescript, Recoil, Axios
  • Backend : NestJS, MariaDB, NGINX
  • ETC : Docker, AWS EC2, Github Action

참여 내용

  • 유지 보수와 재사용성을 높이기 위한 Headless 컴포넌트 제작
  • 사용자 페이지를 확장한 관리자 페이지 제작

포트폴리오

URL

link

https://nani-story.tistory.com/

티스토리
link

https://github.com/oyhoyhk

깃허브

교육

소속/기관명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종류 | 전공

대학교(학사) | 컴퓨터공학과

재학 기간 | 재학 상태

2020.03. ~ 2023.02. | 졸업

외국어

외국어명

영어

점수

일상 회화 가능

자기소개

자기소개

새로운 것을 배우고 다양한 방법을 시도하는 것을 즐깁니다.

인턴십 동안 구현한 내용 중 자율 주행 차량의 로깅 데이터를 웹에서 시각화하고, 데이터 파이프라인을 웹에서 조회 및 제어를 하는 페이지를 만드는 것이 있었습니다.
로그 데이터 조회를 위해 ROS를 접하고, 데이터 파이프라인 관리 툴인 Airflow를 접하게 되었고 공식문서를 참고하여 원하는 기능을 만들었을 때 큰 보람을 느꼈습니다.
기술적인 챌린지에 부딪혔을 때에는 동료들과 여러 방법들을 논의하고 직접 프로토타입을 제작하여 성능을 측정하여 각 방법들의 장단점과 트레이드 오프를 고려하며 최선의 방법을 찾았습니다.
이런 일련의 과정들을 반복하면서 새로운 기술과 어려운 문제들을 마주 쳤을 때 해결할 수 있는 노하우와 자신감이 생겼습니다.

커뮤니케이션은 개발자에게 가장 중요한 능력입니다.

개발자에게 있어서 가장 중요한 능력을 꼽으라고 한다면, 단언컨데 커뮤니케이션 능력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저는 인턴 기간 동안 주기적인 미팅을 거듭하면서 협업자들과 주제를 정확하게 일치 시키는 것의 어려움과 중요성을 피부로 느꼈고, 커뮤니케이션 과정에서 생기는 피로감을 줄이고자 도표나 플로우 차트 같은 다양한 시각적 자료를 이용하여 최대한 이해하기 쉽게 설명하려 노력합니다.

성실함과 꾸준함은 저의 가장 큰 강점입니다.

저는 대학교 4학년 막바지에 개발 능력을 늘리고 협업 경험을 얻기 위해 2년 과정인 42서울에 참여하였습니다. 이 곳에서 저는 공통 과정을 빠르게 이수하고 취업, 혹은 심화 과정에 참여하기 위해 6개월 동안 주말 없이 매일 12시간 이상을 공부에 매달렸습니다.
그 과정에서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을 익히고 제 성장 곡선이 점점 가파라지는 것을 느끼며 6개월만에 공통 과정을 이수하였고, 계획한 대로 곧바로 인턴십에 참여하는 성취를 이뤘습니다.
오랜 기간을 인내한 결실이 주는 뿌듯함과 성취감을 바탕으로 어떠한 일이든 해낼 수 있다는 자신감을 얻게 되었고, 그 자신감으로 인턴십 기간 동안 새로운 도메인의 기술들을 익혀 프로덕트를 성공적으로 배포하면서 인턴십을 마쳤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