채용공고 올리기

허강주님을 응원해보세요!

지금 만족하고 있어요
책임감
협업 지향
목표 지향적
커뮤니케이션
적응력

미리보기

기본 정보

이름
허강주
직업
프론트엔드 개발자
간단 소개

반복되는 작업을 자동화 하고 비효율적인 프로세스를 개선하는 걸 좋아합니다. 팀 구성원들의 업무 효율을 위해 백오피스 툴을 제작 하고, git-action 을 활용한 PR 자동화 프로세스를 적용한 경험이 있습니다. 좋은 동료와 좋은 문화에 대한 갈증이 있습니다. 함께 재미난 것들을 만들어 보고 싶어요.

기술 스택

기술 스택

React, TypeScript, Next.js, Apollo, GraphQL, JavaScript, Node.js, react-query, storybook

경력

회사명

(주)바텍

직급 | 부서 | 근무 유형

책임 연구원 | 플랫폼사업 본부 웹 개발팀 | 재직 중

근무 기간

2021.01. ~ 재직 중 (4년 2개월)

담당 업무

메인 서비스 (Clever-Dent) 개발

  • FE 관련 기능 개발 및 유지보수

    • 환자관리, 예약, 전자 차트, 파일 첨부, 급여관리 등

    • 국가별 특별 요구사항 대응

    • 사용자 경험 개선을 위한 유지보수

  • 통합 로그인 서비스 개발

Admin 서비스 (Clever-Manager) 개발

  • FE 관련 기능 개발 및 유지보수

    • 신규 가입, 병원별 기능제한, 공지사항, 구독기간 관리 등

프로젝트

프로젝트명

기술부채 해결을 위한 SonarQube 도입 및 개발표준 정립

소속/기관명

(주) 바텍

프로젝트 기간

2024.08. ~ 2024.12.

프로젝트 내용

SonarQube 도입

  • 소스코드와 개발인력이 늘어남에 따라 유지보수와 관리에 어려움이 있어,

    이를 해소하고자 팀 내에 SonarQube사용을 적극적으로 건의하여 도입을 주도

  • 팀원들과 소스코드 분석 결과에 따른 코드 품질과 개발 편의성 사이에서의 고민을 통해 수정 방향성을 협의

개발 표준 정립

  • 개발자 마다 다른 스타일로 개발을 진행하여 유지보수와 신규 인력의 빠른 업무 적응에 어려움이 있어, 팀 내에 개발표준 문서의 필요성을 건의

  • 개인의 선호도 또는 개발 편의성 보다는 가독성과 유지보수성 관점에서 더 나은 선택이 어떤 것인지를 중심으로 협의

프로젝트명

메인서비스 개발 및 고도화 작업

소속/기관명

(주) 바텍

프로젝트 기간

2021.11. ~ 2024.12.

프로젝트 내용

메인 서비스 FE 개발

  • 환자 관리, 예약 관리, 전자차트, 수납 등 실제 치과에서 사용하는 핵심 기능 개발

  • 국가별 요구사항 반영 및 다국어 작업

서비스 고도화 작업

  • 서비스 확장에 따라 코드관리와 유지보수에서 한계를 느껴, TypeScript로 전환을 주도

  • 기존 React + JavaScript 로 작성된 코드를 Next.js + TypeScript 로 마이그레이션 진행

  • 기존 사용하던 MUI에서 자체 디자인 프레임 워크를 제작하여 사용하도록 변경

  • 파편화 되어있는 rest-api들의 통일된 에러처리와 유지보수를 위해 Tanstack-Query를 도입

기술스택 : React.js, Next.js, Apollo-client, GraphQL, i18n, Tanstack-Query, Styled-Component, Emotion.js

URL : https://dev.vnclever.com/

테스트 계정 정보 :

  • hospital : rkdwn

  • login ID : rkdwn

  • password : qwe123!@#

프로젝트명

통합 로그인 기능 개발

소속/기관명

(주) 바텍

프로젝트 기간

2021.06. ~ 2021.10.

프로젝트 내용
  • 메인 플랫폼의 계정을 통해 자사의 여러 서비스에 로그인이 가능 하도록 하는 통합 로그인 기능 개발

  • 외부 API를 끌어다 쓰는것이 아닌 인증관련 서비스를 직접 구현

  • 자료나 정보가 매우 한정적인 상황에서 혼자 기술 리서치 부터 설계, 구현까지 진행

  • OIDC-오픈소스 를 활용해 구현

기술스택 : Typescript, Node.js, node-oidc-provider, OAuth 2.0

자기소개

자기소개

프론트엔드 개발자로서 사용자 경험을 개선하고, 개발 생산성을 높이는 것을 중요하게 생각합니다.
서비스의 성장을 돕기 위해 개발 표준 정립, 기술 부채 해결, 성능 최적화 등 다양한 기술적 도전을 지향하고 있습니다.

효율적인 개발 환경을 위한 개선

코드와 개발 인력이 증가하면서 유지보수성과 코드 품질을 높이는 것이 중요한 과제가 되었습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SonarQube를 도입하여 코드 품질을 측정하고 개선하는 문화를 정착 시켰습니다. 단순히 도입하는 것에서 끝나지 않고, 팀원들과 함께 코드 품질과 개발 편의성 사이의 균형을 맞추는 방향으로 협의하여 지속적인 개선을 목표로 하였습니다. 이를 통해 코드 리뷰 효율 증가, 신규 인력의 빠른 적응 등 긍정적인 효과를 얻었습니다.

복잡한 프론트엔드 로직 해결 경험

서비스 개발 과정에서 백엔드 데이터 타입 문제, 캐시정책 관리, 복잡한 상태 관리 등 다양한 문제들을 해결하며, 보다 안정적인 프론트엔드 구조를 설계했습니다.

  • 백엔드 데이터 타입 문제 해결


    GraphQL 스키마 기반으로 TypeScript 타입을 적용하고, string-union 으로 저장되는 데이터들에 대한 Type-guard를 위해 유틸리티 함수를 만들어 데이터 검증 로직을 추가 했습니다.

  • Apollo Client / Tanstack Query 의 캐시 및 중복 호출 관리
    GraphQL 쿼리 작성시 Fragment를 활용하여 쿼리 작성 효율을 높였습니다.
    Tanstack Query의 캐시를 최적화 하기위해 queryKey 관리용 함수를 만들어 불필요한 API 호출을 방지하였습니다.

  • 사용자 Form 상태 등 파편화 된 상태 관리 최적화
    React Context API 와 Reducer를 혼합한 패턴을 도입해 컴포넌트 간 파편화 된 상태를 관리하고 있습니다.
    입력 값에 대한 복잡한 로직이 필요한 경우 yup을 사용해 사용자 입력 validation을 하고 있습니다.

앞으로의 목표

프론트엔드 개발자로서 단순한 기능 구현을 넘어, 서비스의 성장과 유지보수성을 고려한 설계를 고민하는 것을 목표로 발전 해 나가고 싶습니다.

끊임없이 변화하는 프론트엔드 기술 트렌드를 학습하며, 더 나은 개발 문화를 만들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습관적으로 사용하던 라이브러리나 프레임워크의 동작 원리를 깊이있게 뜯어보고, 각 기술의 목적과 적절한 활용 방안을 고민하는 습관을 기르고 있습니다.

포트폴리오

URL

link

개인 블로그

깃허브

교육

소속/기관명

경북대학교

종류 | 전공

대학교(학사) | 소프트웨어

재학 기간 | 재학 상태

2015.03. ~ 2021.02. | 졸업

자격증

자격증명

정보처리 기사

점수 | 발급기관

한국 산업인력공단

취득연월

2020.08.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