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리보기
기본 정보

스포츠 마케터로 일하다가 더 빠르게 비즈니스 성과를 만들고 싶어 개발을 시작했습니다. 웹은 비용을 절감하면서도 효과적으로 수익을 창출할 수 있는 도구였고, 직접 만들고 검증해보고 싶었습니다. 프론트엔드 개발자로 약 2년 동안 일하며, 예외 상황을 빠르게 인지하고 잠재적인 빈틈을 보완해 서비스를 더욱 견고하게 만드는 데 집중해왔습니다. 이를 위해 꾸준히 배우고, 지식을 공유하는 것을 중요하게 생각합니다. 프리랜서로 활동하며 특강 강사, 심사위원, 외주 프로젝트 기획 및 개발을 직접 수행했고, 현재 브로즈에서 프론트엔드 개발자로 다양한 도메인에서 경험을 쌓으며 여러 경우의 수를 고려해 문제를 해결하고 있습니다. 또한, 우먼잇츠 스터디 리더와 AWS 프론트엔드 소모임 오거나이저로 활동하며, 협업은 지식을 나누고 배우는 과정에서 완성된다고 생각해 경험을 공유하고 있습니다.
기술 스택
TypeScript, React, Next.js, storybook, react-query, scss, TailwindCSS, styled-components
경력
주식회사브로즈(BrozCorp.)
Software Engineer | 개발팀 | 재직 중
2024.02. ~ 재직 중 (1년 1개월)
생산성 향상과 QA 문화 구축
QA 문화 구축
팀 내 QA 표준화가 없어 수정 사항 우선순위를 가리기 힘들었음.
주변 자문을 통해 테스트 케이스(TC)에 대해 학습한 뒤, 기획 의도와 관련된 주요 가설 위주로 테스트 케이스를 새롭
게 설정.팀원 성향마다 추가요청 사항 작성 및 전달.
TanStack Query, React-hook-form 사내 도입
기존 프로젝트에서 상태 관리 체계가 부재해 한 컴포넌트의 props가 최소 10개 이상 전달되어 복잡한 디버깅 및 최적화 문제 존재.
React19에서 Context API의 일부 개념이 사라지는 변화에 대응 필요.
React-hook-form 도입으로 form 상태 관리 로직 30%이상 감소.
React-hook-form을 이용해 비제어 / 제어 컴포넌트를 기획에 따라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구조 변경.
상태 함수 분리해 관리 할 수 있도록 TanStack Query 도입 및 디버깅 시 생산성 기여.
기존 CRA 환경 Next.js App router, Vite로의 마이그레이션
CRA 지원 중단으로 개발 환경 변경의 필요성.
기존 CRA 프로젝트를 Next.js(App Router) 또는 Vite로 전환.
Hydration 에러 등 마이그레이션 중 발생할 수 있는 주요 문제 해결.
사내 커머스, 어드민 서비스개발
유저 구매 후 티켓 사용 과정 처리 및 예외 관리
유저가 구매 후 받은 티켓을 사용하기 위한 과정에서, 올바르지 않은 경로로의 접근(예: 예외 URL)에 대한 차단 처리 구현.
각 예외 상황에 맞는 페이지별 UI를 제공하여 유저 경험을 보호하고 원활한 서비스 흐름을 유지.
기획 및 디자인 팀과 협업하여, 각 예외 상황에 적합한 UI/UX 변경 사항을 요청하고 구현.
판매 현황 대시보드 및 제품별 유저 사용 완료 일괄 처리 기능 개발 및 개선
대시보드에서 유저가 제품별 사용 완료를 일괄 처리할 때, UI가 변경되지 않았음.
유저가 의도를 파악하지 못하고 새로고침하거나 더블클릭으로 서버 요청을 반복하는 문제가 있을 것이라고 생각.
Optimistic UI를 도입하여 일괄 처리 시 UI가 즉시 반영되도록 처리.
Alert 대신 우측 상단의 토스트 메시지를 띄워 처리 상태를 안내.
유저가 반복적으로 alert을 보며 에러를 심각하게 인식할 수 있겠다는 가설을 세우고 적용.
대규모 리조트 XR 가이드 서비스
검색 기능 개발.
React Devtool을 활용한 리랜더링이 되는 부분을 최소화하는 최적화 진행.
NAVER Map 기반 테마 길 시각화 및 거리 기반 유틸리티 함수 개발.
각 테마 길의 주요 지점을 나타내는 좌표 간 Polyline을 연결하여 길을 시각화.
거리 기반 Polyline 정리 유틸리티 함수 작성.
각 좌표 간의 거리를 계산하여 Polyline 연결 상태를 검증.
설정된 임계값(예: 50m)을 초과하여 연결된 Polyline을 비정상적인 연결로 간주하고 제거.
이를 통해 의도치 않은 잘못된 경로 시각화를 방지하고, 데이터의 신뢰도 확보.
밸류와이즈
Software Engineer (Front End) | 개발팀
2023.10. ~ 2023.11. (2개월)
Next-auth와 AWS cognito 통합한 로그인 구현
클라이언트에서 로그인 요청 시, 웹 로컬 스토리지에 5개의 provider과 사용자의 정보가 저장되는 문제 확인.
라이브러리를 사용.
amazon-cognito-identity-js와 next-auth 사용.
credentials와 callback을 활용한 서버 사이드 처리 및 1개의 쿠키로 간소화.
결제 심사를 위한 페이지 개발 (공지사항, FAQ, 결제 페이지)
컴플라이언스 & RFC 대응을 고려한 개발진행
서비스 운영 시, 사용자의 개인정보는 컴플레인이 많이 일어나는 요소라는 것을 인지.
개인정보 위반 여부 컨펌 받은 후 개발 진행.
RFC 이메일 패턴, 회원 가입 시, 체크 박스 전체 동의 조건 등 개인정보 가이드에 맞게 개발.
프로젝트
렛플(letspl)
SF34(주식회사 에스에프써티포)
2024.01. ~ 진행 중
사용 기술: JavaScript,
Next.js(PageRouter)
, SCSS
, Redux
단순 퍼블리싱에서 프로그래밍 접근 방식으로의 문화 개선
무분별한 선택자 사용 및 CSS 오버라이드로 인해 브라우저의 렌더링 성능 저하 발생.
PR 템플릿 설명 JS Docs를 통한 문서화로 가이드 제작.
지속적인 화상 회의를 통해 팀원 간 지식 격차를 줄이고 원활한 협업을 유도.
디자인 토큰 기초 토대 마련 및 SCSS 구조화(함수 기반으로 코드량 감소, 클래스 생성 자동화)
약 4만줄 전역 레거시 CSS 제거.
페이지 로딩 속도 약 30% 개선.
레거시 CSS 제거 및 SCSS로의 리팩토링, 신규 서비스 개발
현재 서비스의 80%를 디자인 토큰이 적용된 SCSS로 변경.
튜토리얼 서비스, 기프티콘 충전 및 구매 서비스 개발.
NEAR(유기동물 통합관리 서비스)
개인
2023.09. ~ 2023.12.
소통 부분
주 2회(월, 목) 팀 전체 정기 회의 진행을 주도하면서, 각 팀별 진행 사항 보고 및 안건 해결
개발 팀 내 주 5일 짧은 스크럼으로 얼굴을 보며 책임감 강화, 진행 사항 체크
두 번의 팀원 탈퇴 했을 시, 결속력을 위한 팀원 1대 1 온라인 미팅 진행
기획과 개발 해결 가능성을 조율하기 위해 미팅 다수 주선
로그인 페이지 제작
@supabase/auth-helpers-nextjs를 이용한 미들웨어로 세션 관리
Code Exchange를 통한 로그인 관리
기존 로컬 스토리지로 들어오는 공개된 정보를 쿠키 처리
React-cookie를 이용한 자동 로그인 처리
Storybook 배포 자동화
정기적인 업데이트의 번거로움을 줄이기 위해 GitHub Actions를 활용하여 특정 브랜치에 푸시될 때 자동으로 배포되도록 설정
대외활동
프론트엔드 소모임 오거나이저
AWSKRUG
AWS 프론트엔드 소모임 모임 운영 지원.
cognito와 next-auth를 통합한 커스텀 로그인 페이지 만들기 연사
AWS 사용자 모임 - 프론트엔드 소모임
cognito-identity-js와 next-auth를 통합한 유연한 UI를 구축하는 경험을 공유.
next-auth의 credentials을 이용한 서버사이드 인증 처리 과정 소개.
기타 자료(링크):
(주) 멋쟁이사자처럼 프론트엔드 스쿨/스쿨 플러스 특강 강사 & 평가 심사위원
(주)멋쟁이사자처럼
1. 프론트엔드 스쿨 플러스 심사위원 (2023.12)
정규 프론트엔드 과정을 수료하고, 심화 과정을 수강한 학생들의 파이널 프로젝트를 심사 및 피드백.
기획 의도에 맞는 UX 설계 수준, 완성도 평가.
서비스 타입의 컴플라이언스 평가.
기본 동작 테스트 및 평가.
코드 레벨 피드백.
2. MVP 설정을 통한 파이널 프로젝트 준비하기 (2023.08)
특강 내용:
2시간 특강 + 2시간 맨 투 맨 멘토링 진행.
“3주의 시간동안 어떻게 효율적으로 프로젝트를 진행 할 것인가?”라는 관점에서 학생들이 많이 겪는 방해 요소를 정리.
mvp 소개.
IA & UserFlow, 백로그 등 개발에 앞서 제작해야 하는 과정에 대한 당위성 설명.
3. 개발 프로젝트 기획 방법 (2023.02)
특강 내용:
경험을 녹인 기획 프로세스에 대한 전반적인 설명.
도큐먼트 작성 방법에 대한 케이스 스터디.
4. github를 이용한 프로젝트 협업 방법 (2023.01)
특강 내용:
깃이슈, 마일스톤, 프로젝트 사용법 소개.
케이스 스터디를 통한 이해 고도화.
라이브러리의 깃 이슈와 디스커션을 활용한 정보 교환 사례 소개.
포트폴리오
교육
경동대학교
대학교(학사) | 스포츠마케팅학과
2017.03. ~ 2022.02. | 졸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