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리보기
기본 정보
저는 인공지능과 SLAM에 관심을 두고 해당 분야를 공부하고 있습니다. 특히 컴퓨터 비전 분야에 흥미를 느끼며, 관련 이론과 기술 역량 모두 꾸준히 발전시키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
기술 스택
Python, Java, React, SQL, 인공지능(AI), 머신러닝, TypeScript, Linux, C++, Docker, Kotlin, Git, ros2, ros
경력
베어로보틱스(미국)
인턴 | SLAM
2023.07. ~ 2024.06. (1년)
라이다 SLAM 기능 향상
- 지도 작성의 정확성을 높이고, 현재 위치를 더욱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도록 최적화
- 평가를 위한 데이터 수집을 자동화하고 평가 결과를 그래프, 표와 이미지로 출력하여 분석과 근거 제공
- 사용된 기술과 사용 방법을 문서화
- SLAM에 전반적인 기술을 이해하고 최적화를 위해 ROS, PCL, RVIZ 등을 활용(python, C++)
데이터 업로더
- 특정 조건에 따라 로봇 로컬 스토리지에서 클라우드로 데이터 업로드
- 추후 오류 분석/디버깅 자료 수집에 사용
확률적 로보틱스 스터디
- SLAM에 대해 더욱 이해하기 위해 팀원들과 스터디를 진행
- 기본 확률 개념부터 KF, EFK, PF 등에 대해 공부
- 기존에 했던 SLAM 개발에 대해 다시 정리하고 이해하는 시간이 되었음
- 스터디 정리 : https://url.kr/tqxe5c
프로젝트
윈드 브레이크
개인 2명
2020.11. ~ 2020.12.
프로젝트 소개
자전거 무선 브레이크와 보조 기능 개발
- 보조 기능 : 브레이크 패드 교체 알람, 속력/이동거리 계기판, 전조등, 방향 지시
나의 역할
자전거 무선 브레이크, 브레이크 패드 교채 알람, 속력/이동거리 계기판 개발 담당
과정
제안서 및 개발 계획 작성
각 센서를 실사용에 맞게 데이터 값들을 전처리
센서들을 활용하여 각 기능을 개발 후 블루투스로 데이터 전달하여 동시에 작동이 가능하도록 연결
결과
해당 주제로 교내 대회에서 수상
느낀점
여러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처리할 때 추가 정보로 데이터를 구분하고, 조건이나 인터럽트에 신
중해야 함을 배움
자율주행 게임 에이전트 개발
개인 3명
2022.10. ~ 2022.11.
프로젝트 소개
모방 학습과 강화학습 비교를 위한 자율주행 게임 에이전트 개발
openAI Gym의 Car Racing 환경 사용
나의 역할
데이터 수집부터 모델 학습까지 전과정 참여
과정
교수님과의 주 1회 미팅으로 진행사항 공유 및 보완점에 대해 논의
게임 환경을 분석하고, 모방학습을 위한 데이터를 수집/가공 후 모방 학습 모델 개발
강화학습의 구성요소와 학습 방식에 대해 스터디 진행
강화학습 모델을 개발 후 모방학습과 성능 비교
결과
완주 실패부터 367점(모방학습), 861점(DQN)까지 성능 향상
느낀점
동일한 모델에도 불구하고 데이터 전처리 과정에 따라 달라지는 성능을 통해 전처리의 중요성을 배움
야간 운전 시야 개선 모델
개인 3명
2023.05. ~ 2023.10.
프로젝트 소개
밤 운전의 어두운 시야을 밝히고, 빛 번짐을 완화하여 운전자의 시야를 개선하는 인공지능 모델 개발
나의 역할
빛 번짐 완화 모델 개발
과정
이미지 생성(GAN) 모델 종류와 인공지능에 관해 공부(https://url.kr/wrgwnw)
학습에 필요한 데이터 수집과 데이터의 질을 높이기 위해 전처리
다양한 모델(SRGAN, pix2pix, cycleGAN) 학습을 시도
모델의 속도와 성능 개선
서비스 개발을 위해 웹과 연동
결과
CycleGAN을 사용하여 빛번짐 완화 모델을 개발하였지만 실시간 목표엔 도달하지 못함
느낀점
생성형 모델의 각 장단점을 학습을 통해 배울 수 있었음
포트폴리오
교육
부산대학교
대학교(학사) | 정보컴퓨터공학부
2020.03. ~ 2024.02. | 졸업
자격증
SQLD
합격 | Kdata
2023.04.
외국어
영어
비즈니스 회화 가능
자기소개
[ 업무를 이해하고 적극적으로 처리합니다. ]
저는 로봇의 SLAM을 인턴 생활을 통해 처음 접하게 되었습니다. 제가 담당하는 업무를 정확히 이해하고 배경 지식을 채우기 위해 스터디도 개별적으로 진행했습니다. 또, 일을 지시 받을 때, 제가 업무를 제대로 이해한 것이 맞는지 확인하는 과정을 반드시 거쳤습니다. 일이 모두 마무리된 후에는 관련된 기술과 지식을 회사 페이지에 정리하고 이를 멘토에게 확인 받아 잘못된 부분이나 놓친 부분이 없는지 확인했습니다.
[ 영어로 진행되는 업무에도 자신있습니다. ]
저는 미국에서 1년동안 인턴 생활을 한 적이 있습니다. 당시에 소통, 회의, 코드 리뷰까지 모두 영어로 진행되었기에 업무와 관련된 영어에도 익숙해져 있습니다. 만약 회사에서 해외 지사와 함께 공동 업무를 해야 하는 경우에도 저는 적극적으로 참여할 의향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