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리보기
기본 정보

안녕하세요, 과거의 나에게 미래의 나에게 부끄럽지 않은 삶을 목표로 살아가는 강민서입니다🌱 부끄럽지 않은 삶을 살기 위해 자아 존중감을 가지고 어떤 어려움이든 극복할 수 있다고 믿으며 성장하고 있습니다. 실패와 어려움은 단순히 성장의 일부분으로 받아들이며, 이러한 자세와 경험은 개발자로서 끊임없는 성장과 성공을 위한 중요한 밑거름이 될 것입니다.
기술 스택
Django, Django-REST-Framework, Python
프로젝트
Egeek(에너지 절약)
순천향 SRC 리빙랩
2021.06. ~ 2021.12.
💡 Topic
기숙사 에너지 절약 솔루션
순천향 SRC 리빙랩 프로젝트 장려상
📝 Summary
팀원들과 기숙사에서 에너지를 낭비하는 일에 대해서 이야기 하다가 외출이나 외박 시에 불을 끄지 않고 자기 집이 아니기 때문에 신경을 잘 쓰지 않는다는 이야기가 나왔다. 그래서 학생이 qr코드로 접속해서 외출, 외박 일정을 선택하면 그에 따라 전기를 차단하라는 신호를 라즈베리파이로 보내주고 라즈베리파이가 해당 방의 전기를 차단하는 프로그램을 만들었다
🤚🏻 Part
팀장
기획 및 풀스택
🧑🏻💻 Team
하드웨어 개발자 3명
풀스택 개발자 1명
🤔 Learned
- qrcode 라이브러리를 사용하여 내가 원하는 정보를 담은 qr코드를 생성하는 방법을 알게 되었다
- 풀스택을 함으로써 1학년 때 공부한 django의 개념들을 익숙하게 다룰 수 있게 되었다(MVT 패턴, URL, 템플릿 태그, ORM)
Hello, Detector!
제 10회 대한민국 SW융합 해커톤
2023.07. ~ 2023.08.
💡 Topic
어린이 보호구역에 있는 불법주정차를 신고하는 프로그램
제 10회 대한민국 SW융합 해커톤 대회에서 진행한 프로젝트
📝 Summary
민식이 사건 이후 20만명이 넘는 국민 청원과 함께 법안이 발의된 후 민식이 법이 시행되었다. 하지만 최근 5년간 어린이 보호 구역 내 어린이 교통사고 현황을 살펴본 결과 실질적인 큰 감소율이 보이지 않아 원인을 분석해보았을 때, 불법 주정차로 인한 사각지대 발생이 문제라고 판단했고 이에 대해서는 아직 해결책이 제시되지 않고 있음을 확인했다
이를 개선하고자 Hello Detector를 개발하였고 Hello Detector의 휴대폰 앱 혹은 블랙박스 기기를 이용하여 불법 주정차량을 인식하고 신고하는 프로젝트를 진행했다
🤚🏻 Part
App/Server 팀장
기획 및 백엔드 개발
🧑🏻💻 Team
안드로이드 개발자 2명
머신러닝 개발자 2명
하드웨어 개발자 1명
백엔드 개발자 2명
🤔 Learned
- 그동안의 프로젝트를 통해서 깨달은 것들을 이번에 실천하면서 효율적인 협업 및 의사소통 능력을 키울 수 있었다
- 설계의 중요성
- 요구명세서 작성 → 플로우 차트 작성 → DB 설계 → API 명세서 작성
- 규칙의 중요성
- 팀원들과 규칙을 정하지 않으면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애매한 부분이 생기고 이런 애매한 부분에서 갈등이 생기는 것을 많이 경험했다. 그래서 이번 프로젝트에서는 규칙을 미리 정했다
- 팀장의 중요성
- django에 대해서 하나도 몰랐던 1학년 후배와 함께했다. 그래서 2주 동안 웹의 기초지식과 django 강의자료를 주고 공부를 해오라 했고 그 다음부터는 회원 관련 api를 만들어오라고 했다. 못하는거 아니깐 할 수 있는 만큼만 하라고 하고 완성된 api를 받으면 오류가 발생한 부분은 고치고 고친 부분은 디스코드에 기록하였다. 이런 식으로 반복하니 api 명세서보고 알아서 코드를 작성할 수 있게 되어 작업 속도가 빨라졌다.
- 이를 통해 팀원이 경험이 없더라도 혼자 책임져야겠다는 생각은 버리고 능력을 끌어올리는 것도 팀장의 능력이라고 느꼈다
- 신고된 차량의 데이터를 제공해준 사용자에게 알람을 보내기 위해서 Firebase를 사용함으로써 특정 사용자 앱으로 알람 보내는 법을 알게 되었다
- 설계의 중요성
상권분석 서비스
개인(졸업논문)
2023.09. ~ 2023.10.
💡 Topic
상권분석을 위한 분산 빅데이터 서비스 시스템 구현
📝 Summary
기존 상권분석 서비스에서 원하는 상권영역의 분석 결과를 제공받기 위해 원하는 상권영역을 클릭해도 다시 목록에서 시군구부터 선택해줘야 하는 사용자 편의성 부족의 문제가 있다. 이에 대응하기 위해 User Interface 개선을 하고 방대한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해 분산 데이터베이스, 분산 시스템을 구성한다
🤚🏻 Part
개인 프로젝트
풀스택 개발
🤔 Learned
방대한 데이터를 저장해야 하기 때문에 수평적 확장이라는 개념을 알게 되었고 수평적 확장을 지원하는 MongoDB를 이용해 분산 데이터베이스를 구현함으로써 분산 데이터베이스의 동작을 이해하게 되었다
데이터 업로드 작업이 무거워 사용자 입장에서 즉각적인 반응 없이 지연이 발생하는 불편함이 생겼다. 이 불편을 해소하기 위해서 파이썬 기반의 분산 비동기 작업 큐 라이브러리인 Celery를 도입하여 해결했다
Celery를 도입한 뒤 사용자에게 즉각적인 반응을 보일 뿐만 아니라 3개의 파일을 업로드할 때 원래는 3188.03초가 걸렸지만 분산 시스템을 구성한 뒤에 1851.39초가 걸리면서 작업 시간이 41.98% 감소했다
실제머신(리눅스)에서 Docker 를 통해 분산 데이터베이스와 분산 시스템을 구성하면서 Docker의 기본 명령어를 사용해볼 수 있었다
포트폴리오
교육
순천향대학교
대학교(학사) | 컴퓨터공학과
2020.03. ~ 2024.02. | 졸업
대외활동
멋쟁이사자처럼 8기
멋쟁이사자처럼
- 코드 작성 능력 향상
GitHub을 활용한 협업과 Django의 MVT 패턴에 대한 깊은 이해를 통해, 프로젝트 요구사항에 맞는 코드를 작성하는 능력이 향상되었습니다. - 소통의 중요성
코로나로 인해 온라인으로 진행한 점과 대학생의 신분이기 때문에 각자의 생활로 인해 모이기 힘든 점으로 인해 소통의 중요성을 더 많이 깨달았습니다- 어떤 일을 할 때 혼자서 생각하지 않고 팀원들에게 공유 후에 진행하기
- 자신의 진행 상황을 실시간으로 업데이트하여 팀원들에게 공유하기
자격증
정보처리기사
한국산업인력공단
2023.09.
자기소개
1. 지원동기
저는 피클플러스의 서비스 확장 소식을 보고 큰 관심을 두게 되었습니다. OTT 이용자로서 중고 거래 사기 사건에 대해 인지하고 있었지만, 이를 해결하기 위해 새로운 관점에서 접근하는 피클플러스의 노력에 감명을 받았습니다. 특히 '작품 추천' 기능과 '작품 쇼츠'는 사용자 경험을 향상시키고, OTT 작품을 보다 효율적으로 찾아볼 수 있는 방법으로 보입니다. 이러한 혁신적인 아이디어와 사용자 중심의 서비스 확장은 피클플러스가 고객들의 니즈에 민감하게 대응하고 있다는 인상을 주었습니다. 저 또한 OTT를 즐겨 이용하는 사용자로서, 피클플러스의 이러한 노력과 가치에 공감하며 함께 성장하고 싶습니다. 학년 과 대표, 연구실 활동, 동아리 운영진 등 다양한 활동을 경험하며 기른 의사소통 능력과 스스로 성장하기 위해 끊임없이 공부하고자 하는 열정을 통해 사용자들의 편의를 위해 끊임없이 발전하는 기업 문화 속에서 제 역할을 수행하고 싶습니다.
2. 자신의 성격 장점/단점
제 장점 중 하나는 목표를 설정하면 그것을 달성하기 위해 최선을 다한다는 것입니다. 목표를 세우고 이를 이루려는 노력은 프로젝트가 완료된 후 성과를 평가하고 더 나은 결과를 위해 개선할 점을 도출하여 저의 성장을 촉진하는 데 도움이 되었습니다. 예를 들어 1, 2학년 때 느낀 소통과 설계의 부족은 추후 'Hello Detector'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매주 회의, 실시간 진행 상황 공유, 다이어그램 사용 등을 도입하여 팀원과 협업하는 능력을 키울 수 있었습니다.
제 단점 중 하나는 목표를 설정하지 않으면 의욕을 잃게 된다는 것입니다. 이에 저는 한 목표를 달성한 후 일주일 이내로 다음 목표를 세우고 계획하는 일을 반복하여 의욕을 잃는 기간이 길어지지 않도록 노력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성격의 장단점을 인식하고, 그것에 맞게 행동하는 것은 제 인생을 조금 더 효과적으로 만들어 나가는 데 도움이 되고 있습니다.
3. 성장과정
고등학교 시절의 경험은 제 인생에서 중요한 전환점이었습니다. 그 당시, 성적 부진과 자존감 하락으로 인해 공부에 대한 열정을 잃고 포기하는 경험을 했습니다. 하지만 우연히 발견한 미래의 자신에게 쓴 편지를 읽고 아무것도 이루지 못한 저 자신이 너무 부끄러웠습니다. 그래서 저는 과거의 저에게, 미래의 저에게 부끄럽지 않은 사람이 되자고 결심했습니다. 부끄럽지 않은 사람이 되기 위해서 노력한 결과 저는 긍정적인 사고를 가지고 꾸준하게 노력하는 자세를 기를 수 있었습니다. 성적 또한 상승하여 상위 15%에 속하는 딘즈상을 받았으며 성적 장학금 대상자가 되는 경험을 했습니다. 이러한 경험을 토대로, 지금은 자아 존중감을 가지고 어떤 어려움이든 극복할 수 있다고 믿으며 성장하고 있습니다. 실패와 어려움은 단순히 성장의 일부분으로 받아들이며, 이러한 자세와 경험은 개발자로서 끊임없는 성장과 성공을 위한 중요한 밑거름이 될 것입니다.
4. 입사 후 포부
제 장점을 활용하여 책임감을 가지고 프로젝트 성공을 이끌어내는 개발자가 될 것입니다. 목표를 세우고 최선을 다하는 과정에서 얻은 경험을 토대로 프로젝트에 대한 책임감을 느끼고 있습니다. 과거의 소통과 설계의 부족을 극복한 경험을 통해 문제가 발생하면 빠르게 대응하고 효과적으로 해결하는 능력을 기를 것입니다. 주도적으로 일정을 관리하고 팀원들과의 소통 강화를 위해 다양한 방법을 도입할 것이며, 타인의 의견을 존중하고 팀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협업하는 데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것입니다.성과를 평가하고 개선점을 도출하여 지속적인 성장을 추구하는 태도를 유지하며, 새로운 기술과 도구에 대한 학습을 게을리하지 않을 것입니다. 프로젝트의 성공은 팀의 성과이며, 이를 위해 끊임없이 노력하고 팀원들과의 신뢰를 쌓아 나가는 개발자가 될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