채용공고 올리기

김가희님을 응원해보세요!

이직/구직 중이에요

미리보기

직업
프론트엔드 개발자
이름
김가희
간단소개

자기소개

자기소개
  • 사람을 생각하는 서비스
    저는 '만드는 사람과 사용하는 사람 모두가 사랑하는 서비스'를 만드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스타트업에서 웹 퍼블리셔로 근무하며 웹사이트 리뉴얼 프로젝트를 주도한 경험이 있습니다. 반응형 웹 구현과 메뉴 구조 개편을 통해 페이지별 방문자 수와 체류 시간을 30% 증가시킬 수 있었습니다. 이 과정에서 사용자 중심의 UX 설계와 개발이 서비스 성공에 필수적이라는 것을 깨달았습니다.

  • 성능 최적화에 집중하는 개발자
    제 개발 철학은 성능 최적화에 있습니다.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통해 성능 문제를 파악하고 개선하는 데 집중합니다. 예를 들어, 이미지 최적화와 코드 스플리팅을 통해 빌드 시간을 47% 단축하고, LCP 성능을 23% 향상시킨 경험이 있습니다. 실제 사용자 상호작용과 연관된 지표를 중점적으로 모니터링하며, 잠재적인 성능 병목 현상을 사전에 파악하고 해결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기술 스택

기술 스택
React
TypeScript
JavaScript
HTML/CSS
tailwind-css
Firebase
react-query
Next.js

프로젝트

프로젝트명
EVENTRIX
소속/기관명
기타 (FE 1명)
프로젝트 기간
2024.04. - 2024.05.
(2개월)
프로젝트 설명

구현 기능

  • 포트원 SDK를 통해 다양한 결제 옵션을 제공하여 결제 편의성 향상
  • 티켓 정보를 로컬 스토리지에 저장하여 장바구니 상태가 유지되도록 구현
  • 필터 및 정렬 옵션을 통해 이벤트 검색 기능 향상

React DevTools 프로파일러를 활용한 컴포넌트 렌더링 성능 개선

  • 문제: 복잡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로 인해 컴포넌트 렌더링 시간이 비효율적으로 증가
  • 해결: React DevTools 프로파일러로 컴포넌트 렌더링 병목 지점을 식별하고, 메모이제이션과 코드 스플리팅 기법을 적용하여 렌더링 속도를 50% 향상시킴

Bundle Analyzer로 빌드 최적화

  • 문제: 애플리케이션의 초기 빌드 시간이 사용자 경험을 저하시키는 주요 요인으로 작용함
  • 해결: Vite 환경에서 Bundle Analyzer를 사용하여 빌드 과정을 최적화하고, 불필요한 종속성을 제거 → 필수 리소스만 포함시켜 빌드 시간 47% 개선 (11.66초 -> 6.15초)

Lighthouse를 기반으로 LCP 성능 개선

  • 문제: 페이지 로드 성능 저하로 사용자가 컨텐츠를 보기 위한 시간이 길어지는 문제가 발견됨
  • 해결: Lighthouse 분석을 통해 주요 성능 병목 지점을 식별하고 이미지 리사이징 등을 통해 최적화해 LCP 63% 감소 (3.0초 -> 1.1초), 성능 점수 23% 증가시킴 (75점 -> 92점)

Github: https://github.com/soprue/eventrix
Service: https://eventrix.vercel.app/

프로젝트명
어댜!
소속/기관명
기타 (FE 2명/BE 2명/디자이너 1명/PM 1명)
프로젝트 기간
2024.03. - 2024.04.
(2개월)
프로젝트 설명

구현 기능

  • JWT를 사용하여 사용자 인증을 구현하고, 액세스 토큰을 통해 사용자의 로그인 상태를 유지
  • Kakao Maps API를 활용해 사용자가 원하는 장소를 지도에서 선택하고, 해당 장소에 대한 후기를 등록할 수 있는 기능 구현
  • ‘공유하기’ 팝업을 통해 콘텐츠 확산 및 사용자 참여도 증대

지도 기반 주소 검색의 성능 개선

  • 문제: 사용자가 지도 상의 마커를 드래그할 때마다 주소 정보 조회 함수가 과도하게 호출되어 응답 시간이 느려지고 전체적인 성능 저하가 발생함
  • 해결: 디바운스 기법을 적용하여 마커 이동 후 일정 시간이 지나기 전에는 주소 정보 조회 함수 호출을 중지함으로써 함수 호출 횟수를 대폭 감소시킴

단계적 폼 퍼널 관리로 효율성 증대

  • 문제: 후기 등록 시 여러 단계로 이루어진 폼 처리 과정에서 다음 단계로의 전환과 데이터 관리가 복잡해지면서 사용자 경험이 저하됨
  • 해결: React의 useState 훅을 사용하여 각 단계별로 폼 데이터를 관리하고, 각 단계의 진행 상태를 명확히 표시하는 내비게이션 시스템을 구현함

Jira를 활용한 프로젝트 관리

  • 문제: 프로젝트 초기 단계에서 작업의 동시 진행으로 인해 팀원 간의 혼선과 업무 우선순위 설정의 어려움이 발생함
  • 해결: Jira를 도입하여 프로젝트의 모든 태스크를 체계적으로 정의하고 관리함 → 정기적으로 진행되는 회의에서는 논의된 내용을 Jira에 기록하여 모든 팀원이 최신 프로젝트 상황을 명확히 파악할 수 있게 함으로써, 팀 협업의 효율성과 프로젝트 전반의 품질을 향상시킴

Github: https://github.com/eodya/eodya-frontend

프로젝트명
SFACLOG
소속/기관명
기타 (FE 4명/디자이너 7명)
프로젝트 기간
2024.01. - 2024.02.
(2개월)
프로젝트 설명

구현 기능

  • Zustand를 활용해 모달 상태를 전역에서 관리하여 효율적으로 모달 컴포넌트를 관리할 수 있게 함

  • 재사용 가능한 공통 컴포넌트 설계로 코드 중복 감소 및 유지보수성 향상

모노레포 도입

  • 문제: 기존의 코드베이스에서 UI 컴포넌트와 비즈니스 로직이 혼합되어 있어 유지보수와 확장 작업이 어려웠음

  • 해결: 모노레포 구조를 도입하기로 결정하고, Next.js와 TypeScript에 최적화된 터보레포를 도구로 사용하여 프로젝트를 여러 패키지로 분할함 → 디자인 킷과 서비스 애플리케이션을 분리하여 각각 독립적으로 관리 및 확장이 가능하도록 하여 전체 프로젝트의 유지보수성과 확장성을 크게 개선함

Open Graph 메타데이터 최적화

  • 문제: 소셜 미디어 플랫폼에서 공유될 때 페이지 메타데이터가 적절히 표현되지 않아, 사용자의 클릭 유도가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함

  • 해결: Next.js 14의 generateMetadata 함수를 활용하여, Open Graph 프로토콜을 사용해 메타데이터를 구체적으로 정의하고 최적화함

디자인 시스템과 React Hook Form 통합

  • 문제: 프로젝트 초기에 구축한 디자인 시스템의 컴포넌트들이 React Hook Form의 폼 관리 요구 사항과 호환되지 않아, 폼 관리에 있어 일관성과 효율성이 떨어짐

  • 해결: 기존 디자인 시스템 컴포넌트들을 확장하여 React Hook Form과의 통합을 개선함 → 폼 필드, 유효성 검사 상태 및 에러 메시지를 표시할 수 있도록 컴포넌트의 프로퍼티를 수정하고, 사용자 입력 관리와 상태 추적을 보다 간편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기능을 강화함

Github: https://github.com/sfac-team-5/team-5-sfaclog

경력

회사명
주식회사 위버액티브
직책 • 부서
사원 • 웹 퍼블리셔
근무 기간 (근무 형태)
2022.04. - 2022.12.
(9개월 | 계약직)
담당 업무

회사 웹사이트 리뉴얼 및 포트폴리오 사이트 개발

  • 회사 대표 웹사이트 리뉴얼: 오래된 디자인과 비효율적인 UX를 개선하여 반응형 디자인과 직관적인 메뉴 구조를 도입 → 페이지별 방문자 수와 체류 시간 30% 증가
  • 포트폴리오 사이트 개발: 회사의 성과와 프로젝트를 한눈에 볼 수 있도록 카테고리별로 구성하여 사용자 경험을 극대화한 포트폴리오 사이트 구축

포트폴리오

타입
URL
타입
첨부파일

교육

소속/기관
한남대학교
종류 | 전공명/전공계열
대학교(학사) | 컴퓨터공학
재학 기간 (재학 상태)
2019.03. - 2024.02. (졸업)

대외활동

활동명
취업 리부트 코스
소속/기관
항해99
활동 연도
2024
활동 상세 설명

자료 구조와 알고리즘에 대한 심도 있는 공부를 했으며, 성능 최적화에 집중한 프로젝트를 진행했습니다. 이를 통해 코드의 효율성과 성능을 높이는 방법을 체득했습니다.

활동명
[유데미x스나이퍼팩토리] 앱/웹 개발자 인턴형 프로그램
소속/기관
인사이드아웃 사회적협동조합
활동 연도
2024
활동 상세 설명

디자이너와의 협업을 통해 짧은 시간 내에 효율적으로 협업하는 방법을 배웠으며, 디자인과 사용자 경험(UX)의 중요성을 깊이 이해하게 되었습니다. ‘SFACLOG’로 팀 프로젝트 우수팀에 선정되었습니다.

활동명
멋쟁이사자처럼 대학 11기
소속/기관
LIKELION
활동 연도
2023
활동 상세 설명

'디지털 격차'를 주제로 한 해커톤에 참여하였으며, 교내에서 리액트 스터디를 진행하여 리액트의 동작 원리 등 기초 지식을 체계적으로 익힐 수 있었습니다.

자격증

자격증명
정보처리기사
점수/급 | 발급 기관
- | 한국산업인력공단
취득월
2023.06
자격증명
TOPCIT
점수/급 | 발급 기관
수준 3 | 정보통신기획평가원
취득월
2023.05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