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리보기
기본 정보

문제에 대해 논리적으로 접근하고, 능동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개발자가 되려고 고민합니다.
기술 스택
Java, JavaScript, TypeScript, Python, Node.js, Spring Boot, Spring, PostgreSQL, MongoDB, Oracle, GitHub, NestJS, jQuery
경력
(주)트리아
직원 | 개발팀
2021.09. ~ 2023.07. (1년 11개월)
금융 SI & SM & 솔루션 회사로 주요 업무는 외주 업무를 담당 했습니다.
외부 프로젝트가 없는 기간에는 회사 내부 솔루션 SM 업무를 하다가 프로젝트가 생기면 파견 나갔으며 파견직으로는 화면 개발자로 주로 컨설턴트와 현장의 직원들과 협업해서 필요한 화면을 만드는 업무를 하였습니다.
프로젝트
ALM 신용 리스크
신한 금융 투자
2023.03. ~ 2023.07.
본사의 금융 솔루션을 신한 금융 투자의 내부 패키지에 컨버팅 하는 작업을 하였습니다.
내부 솔루션은 JSP를 사용 했는데 신한은 WebSquare라는 UI 프레임워크를 사용해서 코드를 새로운 프레임워크에 맞도록 컨버팅 하는 작업을 수행 했습니다.
퍼블리셔와 내부 직원들과 같이 협업하며 화면 개발을 진행 했습니다.
신탁/수익증권 금융 투자세 시스템
삼성 생명
2022.09. ~ 2022.12.
금융투자세에 대한 법안에 대처하기 위해서 시스템을 구축하는 프로젝트로 화면 개발자로 투입 되었습니다.
다른 컨설팅 회사와 삼성생명 내부 직원들과 협업 했으며, 주 업무는 회의 혹은 설계 결과에 맞는 화면 개발 이었습니다.
처음 접하는 화면 UI 프레임워크 nexacro를 공부와 병행하며 사용 했습니다.
FRTB 바젤 시장 리스크 시스템(외주)
신한 금융 투자
2022.03. ~ 2022.08.
화면 개발자로 투입되어 컨설팅 결과를 화면 개발로 만들어내는 업무를 담당 했습니다.
내부 패키지 시스템에서 다른 시스템에 배치 작업을 요청할 수 있도록 Java URL 클래스를 이용해서 Http 통신을 하였고, 상황에 맞는 에러코드를 정의 하였습니다.
백엔드 서버 개발 뿐 아니라 화면 개발도 병행 했는데 처음 접하는 UI 프레임워크 WebSquare를 공부하고 사용 했습니다.
화면 설계서에 따른 화면 개발과 결과물에 대한 서류 작업을 했습니다.
PopJourney (Toy Project)
구디아카데미
2021.06. ~ 2021.08.
여행 정보를 얻을 수 있는 유저 커뮤니티를 만들었습니다.
기본적인 게시판 기반으로 지역별로 유저들의 리뷰와 정보를 공유하고, SNS 비슷하도록 팔로우 기능과 알림, 타임라인 기능을 구현 했습니다.
프레임워크로는 Spring Framework를 사용 했으며 빌드는 Maven을 이용했고, DB는 Oracle을 사용 했습니다.
포트폴리오
교육
기타
고등학교 | 이공계
2011.04. ~ 2014.04. | 졸업
기타
대학교(학사) | 항공소프트웨어공학과
2014.04. ~ 2021.08. | 졸업
기타
사설 교육 | 자바/스프링 개발자 양성 과정
2021.03. ~ 2021.09. | 졸업
카이스트
사설 교육 | SW 카이스트 정글
2023.08. ~ 2023.12. | 졸업
대외활동
어학연수
기타
필리핀 바기오 지역에서 3개월 어학연수를 다녀왔습니다.
주 목적은 스피킹을 위한 연수였고, 토익 공부랑 병행 했습니다.
자격증
SQLD
합격 | 한국데이터산업진흥원
2022.04.
정보처리기사
합격 | 한국산업인력공단
2023.06.
외국어
영어
일상 회화 가능
자기소개
저는 도전과 변화를 두려워하지 않는 사람입니다.
1년 이상의 직장 경험을 토대로 부족함을 느끼고, 이를 극복하기 위해 소프트웨어 정글 교육기관에 지원한 것은 새로운 도전에 대한 열망과 공부에 대한 열정을 표현하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편안함에 안주하기보다는 편안함을 의심하고 나 자신을 계속 성장 시켜줄 여정에 계속해서 참여하는 게 인생의 목표입니다.
고통이 항상 성장으로 이어지지는 않지만, 고통 없이는 성장이 없다는 것을 이해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개발자로서뿐만 아니라 인간으로서도 더 나은 모습으로 성장하고자 하는 갈망을 갖고 있습니다.
이전에는 소심한 성격으로 발표할 때 목소리만 아니라 다리까지 떨렸습니다.
그러나 성장을 향한 열망으로 발표 기회를 놓치지 않고 참여하며 자신감을 키우고자 노력했습니다.
특히 소프트웨어 정글 교육과정에서는 팀원이 주기적으로 바뀌는 상황에서 매번 팀을 이끄는 역할을 맡아 일정 조율과 팀원 간의 협업을 촉진하는 방법을 모색했습니다.
이러한 경험을 통해 소심한 성격에서 벗어나 여러 차례 팀장을 맡아 자신감을 키울 수 있었습니다.
또한, 발표 시에는 더욱 침착한 상태를 유지하며 상황에 적응하게 되었습니다.
이러한 과정은 고통을 동반하지만, 성장할 수 있는 소중한 경험이었고, 앞으로도 끊임없이 나아가기 위한 동력이 될 것이라고 생각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