채용공고 올리기

홍성학님을 응원해보세요!

지금 만족하고 있어요

미리보기

기본 정보

이름
홍성학
직업
백엔드 개발자(Java)
간단 소개

새로운 내용을 학습, 동료들과의 소통, 다른 관점의 대한 호기심 등 노력하는 백엔드 개발자 홍성학입니다.

기술 스택

기술 스택

Java, Spring Boot, JPA, MySQL, SQLD, JSP, Thymeleaf, C++, C

자기소개

자기소개
  • 비전공자가 개발자가 되려고 하는 이유 -

직장을 다니면서 "지속적인 성장, 시대 흐름의 변화, 외세의 영향 등을 보면서 계속해서 공부하고 트렌드에 뒤처지면 안 되겠다." 생각했습니다. 주로 제조업계에 근무해 새로운 변화에 대해 빠른 대응을 하기 쉽지 않습니다.
새로운 설비 도입, 공정 개선 방식 등 더 나은 방법이 있는데도 불구하고, 기존 업무에 이상이 없으면 문제가 발생할 때까지 그냥 가는 방식이었습니다.
저의 개인적인 능력의 한계를 느껴 더 나은 방법을 생각하고 공부하고 고민해 봤습니다. 하지만, 제조업 특성상 회사 설비의 의존과 설비 재료 등 회사 외에서 개인 능력을 발전하기에 많은 한계에 부딪혔습니다. 개발 공부는 회사 외에서도 쉽게 접근할 수 있고 노트북만 있으면 언제든지 할 수 있는 게 제가 생각에 너무 큰 장점이라 생각했습니다. 회사에서 원활한 소통을 추구한다지만, 분위기상 한 명의 관리자에 의해 하향식으로 전달되는 방식이 어떤 관점에서는 편하고 머리가 안 아프다지만, 개인적으로 능동적인 분위기 다른 사람의 관점을 보는 게 신선하고 재밌는 경우가 많고 배우는 점이 많다 생각합니다. 그래서 개발자들은 소통을 중시하는 문화를 알고 있어 개발자가 되려고 하는 큰 이유 중 하나입니다. 비전공자이면서 백엔드를 선택한 이유는 크게 2가지입니다.
첫 번째는 기존에 있던 성능을 더 나은 방향으로 개선하는 것을 좋아합니다. 튜닝 및 기존 공정 방식에서 새로운 도구나 작업 방식을 변경해 업무 효율이 올라가면 기존에 사용하던 시간이 절약되고 남는 시간으로 다른 부족한 부분을 개선하는 데 시간을 활용할 수 있습니다.
두 번째는 구체적인 데이터 및 수치화를 좋아합니다.백엔드 과정을 공부하면서 데이터의 성능 및 기록이 나오는 거를 확인하고 어떻게 하면 더 나은 방식이 될까 생각하고 고민하는 과정이 너무 재밌었습니다.

-향후 목표-
공부하면 할수록 부족한 점, 공부해야 하는 내용 등 더 나은 개발자가 되기 위해 많은 노력과 고생이 필요하다. 느끼고 있습니다.
공부하면서 개념과 코드가 이해가 안 될 때면 제 자신에게 화나고, 짜증이 나지만, 문제를 해결했을 때의 성취감, 기쁨이 개발을 하면서 크게 다가왔습니다. 앞으로 학습해야 할 내용이 너무 많지만, 공부를 하면서 더 나아지는 코드와 이해 안 됐던 코드가 이해가 되고 발전한다고 느낌과 희망이 힘든 과정을 극복할 수 있다. 생각합니다. 항상 수용적인 자세, 노력하는 개발자, 소통하고 싶고, 같이 일하고 싶은 개발자가 되는 것이 목표입니다.

교육

소속/기관명

코드스테이츠

종류 | 전공

사설 교육 | Java/Spring

재학 기간 | 재학 상태

2022.06. ~ 2022.12. | 졸업

프로젝트

프로젝트명

호주머니

소속/기관명

코드스테이츠

프로젝트 기간

2022.11. ~ 2022.12.

프로젝트 내용

당신의 주머니속 통합자산관리사, 가계부처럼 기록하고 목표 금액설정까지 쉽게할 수 있도록 도와드립니다.

[사용 기술 및 도구]
Java11, SpringBoot, MySQL, Spring Data JPA, Aamazon RDS

[기여]

  • 데이터베이스 모델 설계 및 구현
  • JWT를 이용한 로그인 서비스 구현
  • Aamazon RDS를 이용해 CloudDB와 연동

[상세 내용]

  • ERD 다이어그램을 통해 시각적으로 테이블을 설계해서 외부에서 봤을 때 직관적으로 알 수 있고 코드를 구현하는데 있어 이정표 역할을 했습니다.
  • JWT를 이용한 로그인 구현으로 인증/인가에 대한 내용을 학습 후 시큐리티의 SOP/CORS등 구현 과정에서 에러 경험을 바탕으로 글로만 접했던 내용을 직접 몸으로 겪어 봤습니다. 이후 Ngrok서버 설정과 AWS/EC2등 해결방법을 배웠습니다.
  • 로컬 컴퓨터로 다량의 데이터 베이스를 받아드리기엔 용량이 적어 AWS/RDS를 이용해 DB를 연동했습니다.

포트폴리오

URL

link

https://github.com/codestates-seb/seb40_main_024

깃허브
link

https://github.com/HongSungHak

깃허브

경력

회사명

한국훼스토

직급 | 부서 | 근무 유형

사원 | 밸브

근무 기간

2021.12. ~ 2022.06. (7개월)

담당 업무

한국훼스토는 공/유압 설비 및 생산 자동화 부품을 생산/판매/유통하는 회사입니다. 제가 근무했던 부서는 밸브 파트에서 제품 품질관리를 했습니다. 생산/조립팀에서 제품이 완성되면 제가 있는 품질 분야로 넘어와 테스트기를 통해 품질 테스트를 진행합니다. 품질 테스트가 완료되면 테스트가 진행하는 동안 모든 데이터로그를 엑셀파일에 기록합니다. 제품마다 데이터 수치가 오차 범위 내에 들어왔는지 확인하고 오차 범위를 벗어난 제품 중 직접 처리할 수 있는 부분은 품질 파트에서 처리하고 할 수 없는 부분은 생산팀이랑 같이 작업을 수행했습니다. 고객사들이 밸브 제품을 사용 중 문제가 생기는 등 A/S가 필요한 제품이 입고되면 , 제품을 5번의 테스트 과정을 통해 문제점을 확인하고 수리를 요청합니다. 수리가 완료된 제품을 10번의 테스트를 통해 과정이 통과되면 테스트한 모든 제품번호와 테스트 기록을 수리 요청사에 정보를 보내드리는 업무를 하였습니다.

회사명

삼성SDI

직급 | 부서 | 근무 유형

사원 | 조립1그룹

근무 기간

2019.09. ~ 2021.03. (1년 7개월)

담당 업무

삼성SDI에서는 원형/조립 1그룹에서 조립공정 중 극판/권취/후공정 중 저는 권취그룹에서 근무하였습니다. 극판그룹에서 양극/음극이 올라오면 권취에서 설비를 통해 원통형으로 모형을 만듭니다. 제가 담당하는 설비들이 원통형으로 잘 감기는지 확인하고 여러 에러 중 오차 범위 이탈/재료 등 간단한 에러는 작업자인 제가 직접 에러를 처리하고 처리 이후 생산된 본보기 제품 3개를 가져가 X-Ray기기를 통해 내부에 감김이 문제없는지 확인합니다. 설비에러가 발생했을 때 담당자에게 보고해 설비를 정지시킨 후 조치가 완료되면 다시 설비가동을 한 다음 위에 말한 본보기데이터 추출 후 제품에 문제없는지 확인하고 기록합니다. 생산된 전지가 후공정으로 넘어간 다음 후공정 쪽에서 담당 설비의 제품의 품질 확인요청 연락이 오면 해당 설비 감시를 통해 문제를 파악하는 업무를 하였습니다.

자격증

자격증명

SQLD(Sql 개발자)

점수 | 발급기관

합격 | Kdata(데이터자격검정)

취득연월

2023.07.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