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리보기
기본 정보

• 10년간의 대기업생활로 다듬어진 노련한 의사소통능력! • 20조가 넘는 프로젝트에도 참여 해본 경험을 갖춘 인재! • 새로운 도전과 배움에 열정적인 천부적인 개발자! • 능동적인 참여 자세와 긍정적인 마인드를 보유한 인재! • 팀을 이끌고자 하는 리더성향과 희생정신을 내포한 개발자!
기술 스택
경력
주식회사루미르
사원 • 기술7부
• Express.js -> Nest.js 프로젝트 마이그레이션 진행.
• GeoServer 데이터 관리.
• 데이터베이스 관리 업무.
• 연간 1억이 들어가는 솔루션을 사용하지 않는 인공위성 데이터 표출 시스템 개발.
• 이미지 렌더링 속도를 기존 3초 이상 걸리던 것을 새로운 방식으로 통해 1초 이내로 보여지도록 개발.
• 위성 사진을 저장하는 로직을 단순화 및 자동화를 하여 효율적인 업무가 가능토록 개발.
(1년 9개월 | 정규직)
삼성중공업
사원 • 기장철의설계
• 매년 100억 이상의 자재를 절약할 수 있는 데이터 시트를 스스로 제작.
• 매일 외국 선주와의 미팅 및 협의.
• 프로젝트마다 100명이 넘는 사람들과 협업.
• 선박 설계에 필요한 기본 설계를 진행.
• 선박의 기초 설계 부터 인도하는 과정 전체를 경험. (2년 기간의 프로젝트)
(8년 9개월 | 정규직)
프로젝트
루미르
Web-GIS (Prototype)
• 이미지 렌더링 효율을 향상 시켜 기존보다 배로 빠른 이미지 제공.
• 인공위성 영상을 업로드 시, Thumbnail 이미지 생성 ➡ Rendering 이미지 생성 ➡ 누끼작업 수행 ➡ GeoServer에 업로드 ➡ 영상의 자표 정보를 가져오기 ➡ DB에 저장 하는 파이프라인을 구축.
• Slide-Session 전략을 이용하기 위해 Access Token과 Refresh Token을 적용.
• MongDB의 내장/관계 기술을 이용해 데이터 호출에 대한 성능을 향상.
• 데이터 호출시 사용되는 속성값을 인덱싱하여 성능을 향상, 복합 식별자에 따른 인덱스 순서 변경을 통해 성능을 향상.
팀프로젝트
Aha Project
• 팀장 업무 및 Git 관리 업무 수행.
• 기업체 요구에 맞춰 ERP 시스템 기초설계 및 개발.
• Calendar 기능과 Restful 설계를 통해 현재 장비대여 대수와 목록을 제공.
• JWT 인증을 통한 로그인 방식 구현 및 각 페이지별인가 처리기능을 구현.
• Swagger를 통해 API 기능 문서화 처리
포트폴리오
교육
학점은행제
대학교(학사) | 컴퓨터공학
2021.04. ~ 현재
재학 중
거제공업고등학교
고등학교 | 기계제도
2012.03. ~ 2014.02.
졸업
자격증
컴퓨터활용능력
1급 | 대한상공회의소
2023.09.
E-Test Professional
1급 | 삼성SDS 멀티캠퍼스
2018.06.
전산응용기계제도
기능사 | 한국산업인력공단
2023.07.
컴퓨터응용선반
기능사 | 한국산업인력공단
2012.12.
컴퓨터응용밀링
기능사 | 한국산업인력공단
2012.10.
외국어
영어
일상 회화 가능
자기소개
변화를 해야 성장을 한다! 변화의 마스터 김종식입니다!
[삼성에서 길러진 인재]
고등학교 2학년 삼성중공업 취업이 확정시되어 1년 동안 삼성 연수원에서 교육받았으며 연수원에서 수석 졸업을 하였습니다. 그 후, 설계에서는 프로젝트 총 계약금이 4조가 되는Evergreen Container 20척 프로젝트에 2년 동안 진행을 한 경험이 있으며, 해당 프로젝트를 성공적으로 진행하여 선주들과의 추가적인 계약을 하는 데에 보탬이 되어 추가로 2조가량이 되는 프로젝트의 수주를 성공시켰습니다. 추가로 수주받은 프로젝트에서는 초기 설계부터 상세설계까지 직접적으로 투입이 되었습니다. 이러한 경험은 회사 내에서도 손꼽히는 경험으로 한 번에 여러 척의 배를 인도하면서도 문서화에 대한 정리가 잘되어져 업무의 뒤 처리가 깔끔하다는 평가를 받아 왔습니다.
[열정적이고 배우고자 하는 인재]
저에게 있어서 일이라는 것은 돈을 버는 수단 중 하나이면서도 항상 배우고, 공부해야 하는 근본적인 원동력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러기에 항상 할 줄 아는 것에만 머물러 있는 것이 아니라 새로운 것을 공부하고 시도해보는 성향으로 성장을 해왔습니다. 이러한 저의 성향은 이전 회사에서도 인정받아 새롭게 시작되는 프로젝트 및 설계개발 분야에 많이 투입되어 왔으며, 직접 개발은 하지는 않았지만 회사 내에서도 인공지능을 활용한 챗봇을 개발자들과 함께 개발을 진행해본 경험이 있습니다. 그리고 회사에서 사용되는 내부 시스템 분야와 설계프로그램에서도 부각 보여 여러 기능을 개발에 참여 해 본 경험이 있습니다.
[팀원을 이끌어 가고 희생하는 리더 성향]
설계에 있는 동안 한 프로젝트를 수행하게 될 경우 최소 2년을 담당하고 설계하게 됩니다. 그렇기 때문에 많은 사람을 접하고 관리를 하게 되는데 거기서도 협력하는 직원 간에 믿음이 가고 소통이 잘되는 직원으로 인정받아 왔습니다. 이러한 저의 모습이 상사들에게도 좋은 평가를 받아 2년 반 넘게 상위 평가(考課)를 받아 왔습니다. 그리고 항상 제가 맡은 일을 마무리했다고 쉬는 것이 아니라 일이 많이 쌓은 사원 또는 선배들의 일들을 나누어 처리하면서 동료들 간에도 많은 신임을 받았습니다. 혹여나, 일이 많이 몰리게 되어 많은 업무를 처리하여야 하는 상황 같은 경우에는 새벽 6시에 출근하여 저녁 9시까지, 근무하면서까지 업무를 처리하고자 하는 책임감이 강하여 항상 마감일 전에 일을 처리하는 습관을 지녔습니다.
[능동적인 업무수행 능력]
저는 자재비를 매년 10억 이상 절약할 수 있는 데이터를 만든 경험이 있습니다. 배를 건조할 때 배관을 많이 사용하는데 자재비로는 100억 이상씩 들어가는 상황이었습니다. 해당 자재에 대해서 사용하지 않는 자재들이 많이 남아 버려지는 것을 보고 이것을 줄이면 회사에 도움이 되겠다고 판단하여, 자재 업체 및 생산하는 최소한의 자재로 같은 효과를 낼 수 있는 데이터를 만들어 냈고 해당 데이터로 매년 10억 가까이 절약을 할 수 있었습니다. 이러한 결과는 개인적으로 6개월동안 노력하여 만들어낸 결과로 내부에서도 많은 공로를 인정 받았습니다.
[천부적인 개발자 성향]
개발자로서 가져야 하는 덕목으로는 커뮤니케이션 및 자기 개발 능력이라고 생각합니다. 저는 이러한 덕목에 딱 맞는 인재라고 생각합니다. 저의 커뮤니케이션 능력을 말씀드리면 이미 제가 배운 내용이나 공유해야 하는 내용들을 팀원들에게 알려주고 있으며, 문제가 발생이 될 만한 부분들은 다시 피드백을 수렴하고 있습니다. 또한, 자기 개발 능력에서는 현재 국비교육 과정에서는 알려주지 못하는 분야까지 혼자서 공부하여 습득할 정도로 이미 숙달이 되어져 있으며, 아직도 새로 무언가를 더 배웠으면 하는 마음으로 개발 공부에 임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저의 성향은 미래에 더욱더 좋은 개발자로 만드는 데 많은 도움을 줄 것이며, 많은 기대에 부응할 수 있는 인재로 성장 할 것으로 생각합니다.
[강한의지와 오랜 끈기의 사나이]
저의 인생의 목표는 성공을 하여 생기는 힘을 가지고 제가 지키고자 하는 사람들을 지키는 것이 목표입니다. 이러한 저의 뚜렷한 목표 때문에 남들 보다 더욱 열심히살고 성실히 살아오고 있다고 확신합니다. 회사를 그만두고 개발자를 시작하겠다고 하였지만, 저의 이전 스펙은 단순 고졸 이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주변 사람들의 회유가 정말 많았습니다. 하지만 이러한 장애물에도 더욱 성장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드리고 싶었습니다. 성공하고자 하고 기회를 얻기에는 너무나도 낮은 스펙이었기에 꾸준히 공부하고, 매년 자격증을 취득 해왔습니다. 시간은 걸렸지만, 현재는 2024.02 월 컴퓨터공학 전공으로 학사를 취득을 할 예정이며, 매일 공부를 하는 습관을 꾸준히 지켜오고 있습니다. 이러한 저의 강한의지와 끈기는 저에게 꼭 위대한 성과를 만들어 줄 좋은 원동력이 될 것이라고 저는 확신합니다.
[문화 구축을 주도하는 개발자]
저는 회사에 없는 문화와 환경을 만들어 나가는데 주도하는 성향을 가지고 있습니다. 근무하던 회사에서는 문서화 업무에 대한 중요성이나 자신이 공부한 기술에 대한 발표하는 문화가 없었습니다. 이러한 회사에서의 개발 문화를 변경하기 위해 많은 노력을 했습니다. 우선, 남들이 시키지 않아도 문서화를 주도적으로 시행하여 API 문서화, 시퀀스 다이어그램 작성 등 여러 부분에 많은 시간을 부여 하고 이러한 문서를 지속적으로 공유를 했습니다. 또한, 비지니스적으로 많은 도움이 되는 공부들 (최적화, 아키텍처) 등을 먼저 공부를 하고 적용해봤으며, 성공적이든 실패를 하였든 팀원들에게 매번 공유를 하여 문화를 형성하는데 많은 노력을 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