채용공고 올리기

임수민님을 응원해보세요!

이직/구직 중이에요

미리보기

기본 정보

이름
임수민
직업
소프트웨어 엔지니어
간단 소개

더 좋은 서비스 개발을 위해 고민하는 개발자 입니다. 빠르게 학습하고 습득하여 서비스에 필요한 엔지니어링을 하는 것을 지향합니다.

기술 스택

기술 스택

JavaScript, TypeScript, Git, Kubernetes, Python, React, Next.js, AWS

경력

회사명

Ringle

직급 | 부서 | 근무 유형

인턴 | 개발팀

근무 기간

2023.03. ~ 2024.01. (11개월)

담당 업무
  • 인프라 엔지니어로서 AWS EC2 서버 5개를 Kubernetes Container 내로 이전하였습니다. Datadog 로 모니터링 프로세스를 구축하였습니다
  • 프론트엔드 엔지니어로서 화상 영어 수업 예습, 진행 화면 웹/앱 개편 릴리즈 프로젝트에 참여하였습니다. 릴리즈 이후 수업 예습률이 10% 증가 하였습니다.
회사명

YG엔터테인먼트

직급 | 부서 | 근무 유형

프리랜서 | IT 개발팀

근무 기간

2022.04. ~ 2022.10. (7개월)

담당 업무
  • 프론트엔드 엔지니어로서 데이터 크롤링 모니터링 백오피스 툴 프론트엔드를 개발하였습니다
  • Django Template 로 개발된 프론트엔드를 React 로 이전하였습니다.

프로젝트

프로젝트명

범용적인 수수료 없는 키오스트/ 웨이팅, 재고/제품 관리 어플리케이션

소속/기관명

기타(팀프로젝트)

프로젝트 기간

2024.02. ~ 2024.03.

프로젝트 내용
  • 기능 단위로 개발을 진행하였습니다. (웨이팅 기능, 웨이팅 어드민 대시보드 기능, 재고 관리 (재고 등록, 수정 및 입출고 & 히스토리 관리 기능 개발)
  • Next.js 14 를 사용하여 프론트엔드를 구축하고, Pocketbase 를 이용하여 데이터베이스 모델링을 하였습니다.
프로젝트명

제조업 데이터 AI 딥러닝 이상치 탐지 모델 개발 모니터링 웹 제작

소속/기관명

성균관대학교/시냅스이미징

프로젝트 기간

2022.03. ~ 2022.11.

프로젝트 내용
  • 핸드폰 카메라 렌즈 등의 제조 데이터의 정상 이미지만을 활용하여 이상치 탐지 딥러닝 모델을 파인튜닝 하였습니다. (Pytorch 기반)
  • 미검율(정상 이미지를 비정상 이미지로 판별) 0% 과검율(비정상 이미지를 정상 이미지로 판별) 30% 이내의 모델을 개발 완료 했습니다.
  • 모델 사이즈가 1GB 이하가 되도록 옵티마이징을 진행했습니다.
  • 이미지 판별 시뮬레이터 웹을 개발 했습니다. (Flask 기반 API 개발)
프로젝트명

크로메이트 공정 내 딥러닝 기반 이상치 탐지 시스템 개발

소속/기관명

성균관대학교

프로젝트 기간

2022.03. ~ 2022.07.

프로젝트 내용
  • 크로메이트 공정 이미지로 GAN 기반 이상치 탐지 모델을 파인튜닝하는 역할을 맡았습니다. (f-AnoGAN 논문과 소스 코드를 보며 tensorflow 를 기반으로 진행)
  • 양품과 불량품을 100% 구분 가능하도록 파인튜닝을 진행하였습니다. (크로메이트 공정 이미지 한정)
  • 해당 내용을 디벨롭 하여 크로메이트 공정 내 스마트 팩토리 프로세스 관련 저널을 출간했습니다.
  • 링크: https://www.mdpi.com/2076-3417/12/15/7549

교육

소속/기관명

성균관대학교

종류 | 전공

대학교(학사) | 데이터사이언스융합전공/소프트웨어(복수전공)

재학 기간 | 재학 상태

2018.03. ~ 2024.02. | 졸업

자격증

자격증명

Opic

점수 | 발급기관

IH | ACTFL

취득연월

2023.02.

외국어

외국어명

영어

점수

일상 회화 가능

외국어명

일본어

점수

일상 회화 가능

자기소개

자기소개

소프트웨어 개발자로서의 3가지 역량을 가지고 있습니다.
첫째, 빠르게 배워서 빠르게 서비스에 적용시키는 능력이 있습니다.
저는 학부 과정 중 3번의 산학 프로젝트 경험과 2번의 인턴/프리랜서 업무 경험을 통해, 배운 지식을 실무에 쓸 수 있는 능력을 갖추고 있습니다. 먼저, 배우는 것에 두려움을 가지고 있지 않습니다. 산학 프로젝트를 통해 딥러닝을 처음 접하게 되었을 때, 새로 배우는 것에 대한 두려움 보다는 기술에 대한 흥미가 강했고, 배움을 통하여 프로젝트를 완수시키고, 개인의 성장을 확인하였을 때 뿌듯함을 느끼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다음으로는, 서비스에 대한 애정으로 기술을 배우고 적용 시킬 때, 성취감을 느낍니다. 인턴 중 프론트엔드 프로젝트 진행을 통해 웹과 더불어 Webview 기반의 앱을 함께 개발하였을 때, 처음 사용하는 기술이지만 동료들과 협업하여 내가 맡은 부분의 서비스에 대한 애정을 가지고 기술을 공부하고 적용하였습니다. 이를 통해 서비스에 대한 열정으로 빠르게 배우고, 이를 적용하는 경험을 하였습니다. 서비스가 완성되었을 때, 성취감을 느끼고 배움에 보람을 느낍니다.
둘째, 소통과 협업에 강합니다.
여러 SW 엔지니어링 분야 프로젝트에 참여하며 개발하면서, 다른 분야의 엔지니어들이 서비스를 바라보는 시각을 알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인턴 생활 중에도 백엔드 개발 경험이 있었기 때문에 프론트엔드 엔지니어로서 백엔드 개발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더 원활하게 소통할 수 있었습니다. 프론트엔드 인턴 경험 때, 스쿼드 조직에서 일을 하며 PM, UI/UX 디자이너 분들과 소통을 많이 했습니다. 특히 디자이너분들과 함께 페이지 로직에 대해 심도 깊은 회의를 하며 맞춰가는 과정을 겪었습니다. 이를 통해 현업에서 다른 직무의 동료들과 소통하는 방법에 대해 알고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더 나은 것을 고민하는 개발자입니다.
그대로 머물러 있는 서비스는 사용자들에게 만족감을 주지 못한다는 것을 한 서비스 사용자의 입장으로서 알고 있습니다. 항상 배우고자 하는 자세로 새로운 것을 받아들이고, 좋은 것을 서비스 내로 체화 시키는 개발을 지향하고 있습니다. 기계처럼 개발하는 개발자보다는, 사용자들에게 더 나은 것을 고민하는 개발자로 성장하고 있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