채용공고 올리기

강수영님을 응원해보세요!

INFCON 참여
지금 만족하고 있어요

미리보기

기본 정보

이름
강수영
직업
프론트엔드 개발자
간단 소개

프로젝트 경험들을 토대로 계속해서 성장 중 입니다. 사용자와 개발자의 경험을 향상시키는 개발을 지향합니다. 최근에는 백엔드에도 관심을 갖고 공부 중입니다.

기술 스택

기술 스택

Next.js, React, JavaScript, HTML/CSS, react-query, tailwind-css, redux-toolkit, React Context, zustand

경력

회사명

구름

직급 | 부서 | 근무 유형

풀스택 엔지니어 | sqd DEVEL

근무 기간

2024.08. ~ 2024.12. (5개월)

담당 업무

Devth GSIP Project


GSIP(Global SaaS Incubating Project) 과정으로 당사의 기존 코딩 테스트 관련 프로덕트를 기반으로 채용 과정을 지원하는 서비스 개발에 참여하였습니다.

  1. 채용 과정 서비스 개발:

    • 구인/구직 과정을 지원하는 플랫폼 개발

    • 채용 담당자에게는 채용공고 게시, 지원자 관리, 알림 메일 템플릿, 비대면 면접등

    • 지원자에게는 게시된 공고목록, 공고에 지원하기 위한 이력서 폼, ai 리뷰등

  2. 기존 코드 수정 및 유지보수:

    • 새로운 서비스 플로우에 맞게 기존 프로덕트 코드를 수정하는 작업

  3. 글로벌 시장 타겟팅을 위한 다국어 설정

프로젝트

프로젝트명

슬램톡 (slam-talk)

소속/기관명

구름 아카데미/동기와 비동기 팀

프로젝트 기간

2024.01. ~ 2024.05.

프로젝트 내용

https://www.slam-talk.site/

우리 동네 농구 관련 서비스(농구장 찾기,중고 거래,농구 약속 잡기등)을 제공합니다.

저는 유저들이 소통할 수 있는 공간을 위주로 개발하였습니다.

커뮤니티 게시판과 채팅 기능을 담당하였고, 유저가 소통하는 동안에 원활하게 동작하는 방향으로 개발하였습니다.

비고 : 본 과정 대상 수상

프로젝트명

푸름프렌즈IDE

소속/기관명

구름아카데미/푸름프렌즈

프로젝트 기간

2023.12. ~ 2023.12.

프로젝트 내용

알고리즘 문제 풀이에 최적화된 WebIDE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해당 프로젝트에서는 로그인을 비롯한 회원정보와 관련된 기능을 구현했습니다.

포트폴리오

첨부파일

첨부파일명

강수영_포트폴리오.pdf

교육

소속/기관명

인제대학교

종류 | 전공

대학교(학사) | 컴퓨터 공학

재학 기간 | 재학 상태

2014.03. ~ 2020.02. | 졸업

소속/기관명

구름 아카데미

종류 | 전공

사설 교육 | 풀스택 교육과정 2회차

재학 기간 | 재학 상태

2023.08. ~ 2024.02. | 졸업

소속/기관명

원티드 프론트엔드 프리온보딩 3월 챌린지

종류 | 전공

사설 교육

재학 기간 | 재학 상태

2024.03. ~ 2024.03. | 졸업

소속/기관명

원티드 프론트엔드 프리온보딩 8월 챌린지

종류 | 전공

사설 교육

재학 기간 | 재학 상태

2024.08. ~ 2024.08. | 졸업

대외활동

활동명

구름 아카데미 풀스택 교육과정 2회차 은상 수상

소속/기관명

구름

연도

내용

교육 과정 최종 발표 프로젝트에서 2등상 수상

자기소개

자기소개

저는 대학교에서 4년 동안 컴퓨터 공학을 전공하며 졸업하였습니다.

졸업 후에 여러 분야를 경험하고자 잠시 개발과 멀어진 적이 있었지만, 현재는 사용자에게 직관적인 UI/UX를 제공하고, 지속적인 성능 개선하는 웹 프론트엔드 개발자로 일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저는 문제에 맞서는 것을 즐깁니다. 단순히 에러를 해결하는 것뿐만 아니라 조금 더 나은 방식으로 기능 구현에 대한 구상하는 것을 좋아합니다. 해결하는 과정에서 힘든 점도 있겠지만, 끊임없이 시도하여 문제를 해결했을 때의 만족감을 즐깁니다.

1.실행을 통한 성장

팀 프로젝트에서 기획했던 모든 기능을 구현하고 배포한 후, 더 많은 사용자를 확보하기 위해 웹 개발 관련 교육생들이 있는 게시판에 홍보를 진행했습니다. 그러나 홍보 후 10분도 채 되지 않아, 제가 담당했던 게시판의 댓글 작성 기능이 정상적으로 동작하지 않는다는 팀원의 제보를 받았습니다.

문제 해결을 위해 원인 분석에 즉시 착수했고, 몇 가지 해결 방안을 구상했습니다. 처음 두 번의 시도는 실패했지만, 그 과정에서 오류의 근본 원인을 파악하고 수정할 수 있었습니다. 결국, 약 3시간 만에 문제를 완전히 해결했고, 이를 통해 유저에게 더 빠르고 안정적인 댓글 작성 기능을 제공할 수 있었습니다.

이 경험을 통해 유사한 기능을 구현할 때 더 효율적인 방법을 알게 되었으며, 예기치 않은 오류에 신속하게 대응하는 능력을 키웠습니다. 이러한 성장 과정을 문서화하여 앞으로도 잊지 않고 적용할 수 있도록 했습니다.

2. 기록하는 개발자

기억력이 좋지 않더라도, 이전보다 더 발전하기 위한 가장 좋은 방법은 경험을 기록하는 것이라 생각합니다. 비슷한 실수를 반복하지 않기 위해, 그리고 필요한 순간에 적절히 대응할 수 있도록 개인 블로그에 에러를 기록하거나, 개인 메모 앱에 중요한 내용을 남겨두고 있습니다. 또한, 프로젝트 진행 과정을 문서화하는 작업을 매우 중요하게 생각합니다. 이러한 문서화 작업이 단순한 기록에서 그치는 것이 아니라 협업에 큰 도움이 된다는 것을 깨달은 이후로, 참여하는 프로젝트에서 문서화에 더 큰 비중을 두고 있습니다.

3. 발전하는 개발자

지금까지 여러 과정을 거치면서 새로운 것들을 배우게 되었습니다. 팀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로컬 환경에서만 작동하던 프로젝트를 서버와 연결해 동작하게 만드는 과정을 경험했습니다.

그 과정에서 최적화를 위해 다양한 방법을 고민하고, 더 나은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새로운 라이브러리나 방식을 도입하여 개발하면서 팀 프로젝트와 개인적으로도 발전할 수 있었습니다.

소프트 스킬도 많이 향상되었습니다. 기존에는 주로 개인 프로젝트를 진행했기 때문에 정해진 컨벤션 없이 자유롭게 개발했지만, 팀 프로젝트를 통해 팀원들과 컨벤션을 설정하고, 진행 상황에 맞춰 api 명세서, 기능 요구사항등을 문서화하며 새로운 의사소통 방식을 익히게 되었습니다. 이를 통해 팀 프로젝트를 효과적으로 진행하는 방법을 배울 수 있었습니다.

댓글